계획 추가, 10월 14일 회의서 논의 람동성 인민위원회는 14일 판티엣-야응이아 고속도로를 성 계획 조정에 포함하는 절차 진행 상황에 대한 회의를 열었다. 건설국 제안에 따르면, 이 고속도로는 총 연장 140.6km로 빈투안(Binh Thuan), 함탄(Ham Thanh), 동장(Dong Giang), 라다(La Da), 호아박(Hoa Bac), 호아닌(Hoa Ninh), 바오람 1·2·4(Bao Lam), 꽝케(Quang Khe), 박 자응이아(Bac Gia Nghia), 쯔엉쑤언(Truong Xuan) 등을 통과한다. 프로젝트 출발점은 빈투안 동(구 함투안박 현)에 위치한 빈하오(Vinh Hao)-판티엣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판티엣 중심부로 이어지는 지선이 포함된다. 종착점은 계획된 부온마투옷(Buon Ma Thuot)-야응이아아 고속도로와 교차하며, 국도 14번을 통해 야응이아 중심부와 연결된다. 고속도로는 지형에 따라 시속 100~120km 설계 속도를 가지며, 완전 4차로 규모에 노면 폭 24.75m로 건설된다. 총 투자 규모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완공 시 다우자이(Dau Giay)-리엔꾸옹(Lien Khuong) 고속도로, 국도 14·20·2
베트남의 여러 인기 관광지가 2025년 세계 여행 어워드(World Travel Awards)에서 아시아 최고의 명소로 선정되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았다. 어워드 아시아·오세아니아 갈라 시상식은 10월 13일(월)에 열렸다. 하노이와 호이안, 문화 중심지로 인정 하노이는 “아시아 최고의 도시 여행지(Asia's Leading City Destination)”로 선정되었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풍스러운 도시 호이안은 “아시아 최고의 문화 도시 여행지(Asia's Leading Cultural City Destination)”로 이름을 올렸다. 붕따우, 첫 수상으로 주목 호치민시 중심부에서 차로 약 2시간 거리에 위치한 붕따우는 태국의 파타야, 말레이시아의 페낭을 제치고 “아시아 최고의 해안 휴양 도시(Asia's Leading Coastal City Break Destination)”로 처음 선정되었다. 특히 3km에 달하는 바이 사우(Bai Sau, 또는 투이 반 해변)는 국경일마다 수많은 관광객으로 붐비는 남부 베트남의 대표적 휴양지다. 닌빈, 신흥 관광지로 부상 하노이에서 남쪽으로 약 90km 떨어진 닌빈은 “아시아 최고의 신흥 관
베트남 커피 산업이 세계 가격 상승세를 타고 올해 수출 목표를 90억 달러로 설정, 작년 역대 최고치를 크게 앞지를 전망이다. 글로벌 공급 불안정 속 안정적 생산과 가공 제품 비중 확대가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산업통상부 수출입국에 따르면, 세계 커피 가격이 지속적으로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올해 베트남 커피 수출량은 160만 톤 이상, 수출액은 약 9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작년 전체 수출액 56억 2,000만 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이 기관은 4분기 진입을 앞두고 글로벌 커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많은 국가가 겨울철과 연말 연휴 시즌에 접어들면서 연간 최대 소비 기간이 도래하기 때문이다. 이는 매년 베트남 커피 산업의 수출 호조를 이끄는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한다. 베트남 커피 산업은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의 기상 영향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 변동 속에서 안정적 생산량을 유지하며 수혜를 입었다. 주요 시장의 수요 전환과 함께 가공 커피 제품 비중 확대가 수출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세관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베트남 커피 수출량은 8만 1,100톤, 수출액은 4억 6,23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8월 대비
베트남의 음식·음료(F&B) 시장에서 초저가 모델인 '7K 밀크티'와 '69K 핫팟'이 내년 상반기까지 저가·중저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전망이다. 소비자들의 절약 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모델이 학생·근로자 밀집 지역에서 복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주목받고 있다. iPOS.vn과 네슬레 프로페셔널이 공동으로 진행한 '2025년 상반기 베트남 F&B 시장 보고서' 발간 행사가 지난 13일 호치민에서 열렸다. 이 보고서는 상반기 동안 시장이 강력한 선별 과정을 거쳤으며, 5만여 개 이상의 F&B 매장이 문을 닫은 가운데 선두 기업들이 매장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아이코닉 위치로 재배치하며 경험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말까지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되는 두 가지 모델은 초저가 F&B와 커피숍·코워킹 스페이스 결합 형태다. 특히 호치민에서 부상한 7K 밀크티(약 350원)와 69K 핫팟(약 3,000원) 모델은 소비자 절약 심리가 식지 않고 다른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최소 6개월 이상 저가·중저가 부문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예측됐다. 설문조사 결과, 고객의 65%가
포춘지(Fortune)는 2025년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Most Powerful Women Asia)’ 명단을 발표하며 아시아 지역의 영향력 있는 여성 리더들을 조명했다. 베트남에서는 레티투 투이(Le Thi Thu Thuy, 빈그룹/빈패스트), 마이끼에우리엔(Mai Kieu Lien, 비나밀크), 응우옌티호아(Nguyen Thi Hoa, 비엣텔 글로벌), 당후인욱미(Dang Huynh Uc My, AgriS) 등 4명이 명단에 올랐다. 이들은 여성 리더의 역할뿐만 아니라 산업, 소비재, 통신, 농업 등 주요 분야에서 베트남 기업의 성장을 반영한다. 레 티 투 투이(Le Thi Thu Thuy) 직책: 빈그룹 부회장, 빈패스트 회장 소속: 빈그룹(Vingroup), 빈패스트(VinFast) 레 티 투 투이는 빈그룹의 전략적 방향과 글로벌 계획을 책임지고 있으며, 그룹의 전기차 제조사인 빈패스트의 회장을 맡고 있다. 1974년 빈딘(Binh Dinh) 출생인 그녀는 하노이 대외무역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일본 국제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MBA)를 취득했으며, 공인재무관리사(CFA)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빈그룹 합류 전에는 일본, 태국, 싱가포
10월 11일, 빈패스트는 베트남 시장에서 올해 3분기 만에 10만 대를 돌파한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가 되었다. 제조사 발표에 따르면, 빈패스트는 9월에 모든 종류의 전기차 13,914대를 판매하여 연초부터 3분기 말까지 누적 판매량이 103,884대에 달했다. 이는 베트남 자동차 시장 역사상 전례 없는 판매량이다. 특히, 가장 많이 판매된 모델은 VF 3로, 9개월 동안 총 31,386대가 판매되었으며, 이 중 2,682대는 2025년 9월에만 판매되었다. 2위는 VF 5로, 올해 1~3분기 동안 30,956대, 지난달에만 3,847대가 판매되었다. VF 5의 서비스 최적화 버전인 헤리오 그린(Herio Green)도 총 8,604대가 판매되었으며, 이 중 2,173대는 9월에만 판매되었다. 빈패스트(VinFast)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판매된 모델은 VF 6로, 연초부터 현재까지 14,425대가 판매되었으며, 이 중 9월에는 1,933대가 판매되었다. VF 7은 올해 9개월 동안 누적 5,877대, 9월에는 778대가 판매되었다. 7인승 MPV 모델은 리무진 그린 서비스 사업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고객에게 2,120대를 인도하며 업계 1위를 차지했다. 빈패
억만장자 응우옌티프엉타오(Nguyen Thi Phuong Thao) 회장의 베트남 민간 재벌 소비코 그룹(Sovico Group)이 호치민시 메트로 4호선 프로젝트 연구를 맡기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호치민시 혹몬(Hoc Mon)에서 야베(Nha Be)까지 총 47.3km에 달하는 노선으로, 도시 교통망의 핵심 동맥이 될 전망이다.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와 소비코 그룹은 10월 10일(금) 개막한 2025년 베트남 민간 경제 지형 프로그램(ViPEL 2025) 프레임워크 내에서 이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올해 6월 소비코 그룹은 시 인민위원회에 문서를 제출하며 메트로 4호선 연구 허가를 요청했다. 회사는 풍부한 경험, 투자 역량, 탄탄한 재무 상태를 강조하며 도시 인프라 개발과 남부 지역의 광범위한 사회경제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밝혔다. 제안서에 따르면, 47.3km 노선 중 25km 이상은 지하 구간, 거의 22km는 고가 구간으로 구성되며, 37개 역과 동탄(Dong Thanh)·히엡푹(Hiep Phuoc) 2개 차량기지가 포함된다. 노선은 동탄(혹몬)에서 시작해 탄쑤안(Thanh Xuan), 하후이지압(Ha Huy Giap),
메콩델타 발전의 핵심 동맥… 2027년 착공 목표, 2025년 4월 총리 지시로 예비타당성 조사 완료 베트남 메콩델타의 변혁 꿈을 말할 때,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나 바다로 뻗어가는 고속도로가 먼저 떠오른다. 그러나 이 지역의 발전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잠재력을 가진 프로젝트는 바로 호치민-껀토 철도다. 올해 4월 팜민찐 총리가 건설부에 관련 부처·지자체와 협력해 이 철도 프로젝트를 연구·준비할 것을 지시하며, 2027년 착공을 목표로 제시했다. 미투안 프로젝트 관리위원회는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이 175.2km 복선 철도는 호치민시 안빈역에서 시작해 껀토시 껀토역으로 끝난다. 호치민시, 떠이닌성, 동탑성, 빈롱성, 껀토를 관통하며, 표준궤(1,435mm), 전철화된 철도로 승용·화물 열차가 시속 160km로 운행하도록 설계됐다. 노선에는 주요역 12개(추가 4개 예정), 안빈·떤끼엔·껀토 기지 3개, 탄드억·떰히엡·까이라이·빈민 정비시설 4개가 포함된다. 사이공강, 밤꼬동강, 밤꼬따이강을 가로지르는 3개 대형교량과 띠엔강·하우강을 건너는 2개 대교가 핵심이다. 새로운 지역 구조의 촉매 단순 교통 프로젝트를 넘어 호치민-껀토 철도는
베트남 채용 플랫폼 캐리어비엣(CareerViet)과 시장조사 회사 암코 베트남(Amco Vietnam)이 공동으로 실시한 연례 조사 결과가 지난 목요일 저녁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12회째를 맞이하며,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약 8만 8천100명의 직장인과 2천명의 고위 관리자를 대상으로 6천700개 이상의 기업을 조사했다. 대기업 부문 상위 10위에는 비나밀크 외에 한국의 전자제품 제조사 삼성전자 호치민 CE 컴플렉스(Samsung Electronics HCMC CE Complex), 소비재 생산업체 마산 컨슈머(Masan Consumer), 철강업체 호아센 그룹(Hoa Sen Group), 부동산 개발사 빈홈스(Vinhomes), 인스턴트 면 생산업체 에스쿡(Acecook), 민간은행 HD뱅크, 주얼리 업체 PNJ, 슈퍼마켓 체인 롯데마트 베트남(Lotte Mart Vietnam), 일본 가전제품 업체 파나소닉(Panasonic)이 이름을 올렸다. 중소 기업 부문에서는 증권사 VP뱅크 증권(VPBank Securities)과 바오비엣 증권(Bao Viet Securities), 소비전자 부문 토시바 베트남 컨슈머 프로덕츠(Toshiba Vietnam
삼성의 Galaxy AI가 2025년 Better Choice Awards에서 ‘우수 베트남 AI 솔루션’과 ‘베트남인을 위한 AI 적용 선도 브랜드’ 두 부문에서 수상하며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는 글로벌화 속에서 베트남의 정체성을 확고히 다진 성과로, Galaxy AI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베트남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며 국민적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계기가 됐다. 베트남어를 이해하는 AI, 일상을 바꾸다 Galaxy AI는 베트남어를 완벽히 이해하며 사용자와의 자연스러운 소통을 가능케 한다. 실시간 번역 기능(Live Translate)은 국제적인 대화에서 언어 장벽을 허물고, 노트 정리 기능(Note Assist)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정리해 창의력을 극대화한다. 또한, 생성 편집(Generative Edit)은 개인의 영감에 기반한 창작을 지원하며, 화면에 원을 그리기만 하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Circle to Search는 세상을 더 쉽게 탐험하게 한다. 특히, 베트남인 엔지니어들의 손으로 최적화된 Galaxy AI는 일, 학습, 창작에서 사용자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으며, 소소한 행동에서부터 큰 성취로 이어지는 힘을 창출한다. 국가적 가치와 문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