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관계자는 많은 수의 고철 수집가들에게 고품질 플라스틱은 "돈"이기 때문에 해양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이 최대 수백만 톤에 달한다는 정보를 부인했습다. 이 정보는 11월 27일 베트남 유럽 상공회의소(유로참)가 주최한 녹색경제포럼에서 환경부 법무부 차관인 응우옌 탄옌(Nguyen Thanh Yen)이 발표했다.

수년간 폐기물 관리 시스템(플라스틱 포함)에서 일한 옌 씨는 베트남이 위 데이터에 대한 공식 통계나 조사 또는 조사를 실시한 적이 없다고 확인했다. 베트남의 플라스틱 폐기물 관련 데이터, 특히 환경 및 바다로 배출되는 양을 포함한 데이터는 해외 기관에서 발표해 왔다. 그중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20만 톤 이상에서 수백만 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옌 씨의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의 고철 산업은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백만 톤에 불과하다. 플라스틱 병과 같은 고품질 플라스틱 폐기물은 매립지로 버려지더라도 플라스틱은 "돈"이기 때문에 "고철" 수거업체가 수거한다.
따라서 수거되지 않은 플라스틱 폐기물은 재활용하기 어렵다. 하지만 하노이처럼 플라스틱 소비량이 많은 도시에서는 이러한 폐기물을 환경 관련 기업들이 수거하여 폐기물 처리 시설로 운반한다.
하노이는 일반적으로 매일 약 7,300톤의 쓰레기를 배출한다. 그중 티엔이(이미 가동 중)와 세라핀(시범 운영 중) 두 곳의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은 하루 총 6,700톤 이상의 처리 용량을 갖추고 있다.
옌 씨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환경으로 배출될 경우, 토양에 그대로 남아 강이나 하천과 같은 수로로 누출되지 않는 한 바다로 흘러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베트남 해양에 대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있다는 정보는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환경으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데이터 부족은 이러한 폐기물의 대부분이 비공식 부문에서 재활용되기 때문이다. 듀이탄 리사이클링(Duy Tan Recycling)과 안팟(An Phat)과 같은 기업에서는 플라스틱의 약 10~20%만 재활용한다.
베트남의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은 생산자 책임 재활용(EPR) 정책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EPR 시행령 초안에 따르면, 제조업체와 수입업체는 올해부터 포장재 수거, 재활용 및 처리 의무를 지며, 일정 재활용률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 포장재 재활용률은 10~22%이다.
실제로 포장재 수거 및 재활용 의무는 환경보호법(2020)을 세부적으로 규정한 시행령 08/2022에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작년의 수거 및 재활용 의무를 이행하거나 환경보호기금에 재정을 기부해야 한다. 옌 씨는 재정 계획이 실행하기 쉬워 많은 기업이 적극적으로 기금을 마련하여 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현재 이 기금은 최대 수천억 동(VND)에 달하지만, "어떻게 사용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 행사에 참석한 많은 연사들은 베트남이 필리핀과 같은 일부 인접 국가의 EPR 시행 경험에서 배울 점이 있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들은 베트남에 이어 EPR을 시행했지만, 소재에 지나치게 집착하기보다는 플라스틱 포장재에 집중했다. 2025년까지 필리핀의 플라스틱 의무 수거 및 재활용률은 50%에 도달했으며, 2028년까지 8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재활용 기업 BASF 베트남의 CEO인 에릭 콘트레라스는 현재 필리핀에서 쇼핑할 때 비닐봉지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고객은 종이봉투만 선택하거나 봉지를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음료 매장에서도 병과 컵을 직접 가져오도록 요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