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최대 민간기업 빈그룹(Vingroup)이 비엣콤뱅크(Vietcombank)를 넘어 증시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했다. 18일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마감 기준, 빈그룹의 VIC 주가는 1.33% 상승한 14만5000동을 기록하며 VN지수의 하락세 속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이로 인해 그룹 전체 시총은 558조 7천억동에 달해 비엣콤뱅크를 앞질렀다. 올해 들어 VIC 주가는 257% 급등하며 빈그룹의 시총을 400조 동 이상 불렸다. 그룹 내 다른 계열사 주식들도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유지했다. VHM(빈홈스), VRE(빈콤 리테일), VEF 등은 모두 녹색(상승)으로 마감했다. 빈그룹은 2017~2019년 시총 1위를 지켰으나 2020년부터 비엣콤뱅크에 자리를 내줬다. 이번 등극은 5년 만의 귀환으로 평가된다. 빈그룹의 강세는 창업주 팜낫브엉(Pham Nhat Vuong) 회장의 자산 증가로 이어졌다. 포브스(Forbes) 최신 업데이트에 따르면, 그의 자산은 올해 들어 100억달러 가까이 불어나 142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부호 순위 186위로, 처음으로 톱 200에 진입한 수준이다. 1968년생인 팜 회장은 빈그룹 회장 겸 빈
베트남 증시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보였다. VN지수가 장중 17포인트까지 떨어진 끝에 6포인트 하락하며 1,665포인트를 기록, 거래 유동성은 28조 동 아래로 떨어져 지난 7월 10일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시장은 '정보 공백'으로 인한 침체 분위기에 빠져들었다. 18일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장에서 VN지수는 개장 초 녹색(상승)으로 출발해 ATO(개장 전 매매) 세션 후 1,680포인트에 근접했으나 실패했다. 오전 10시 이후 지수가 흔들리며 기준선 아래로 떨어졌고, 오후 장에서도 추가 하락을 면치 못했다. 장 마감 직전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했으나 결국 6포인트(-0.36%) 하락한 1,665포인트로 마감됐다. 장중 변동폭은 25포인트를 넘어섰다. 이번 하락은 Fed의 올해 첫 금리 인하(25bp, 0.25%) 소식에도 현금 흐름이 부진한 가운데 나타났다. 개장부터 이전 세션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줄었고, 보통 활발한 오후 장에서도 거래량이 어제 대비 크게 줄었다. HoSE 전체 거래 대금은 27조 8천억 동으로 집계됐으며, 전 세션 대비 4조 7천억 동 감소했다. 분석가들은 "주요 데이터나 이벤트 부
베트남에서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0,500동(VND)을 넘어섰다. 산업통상부와 재무부의 조정에 따라 18일 오후 3시부터 유류 가격이 인상됐다. 이번 인상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와 원유 재고 감소 등 세계 시장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기 품목인 RON 95-III 휘발유 가격은 200동 상승한 2만600동/ℓ로, E5 RON 92 휘발유는 230동 오른 1만9980동/ℓ로 조정됐다. 디젤유는 60동 인상된 1만8700동/ℓ, 등유는 1만8540동/ℓ, 중유는 1만5130동/kg으로 각각 올랐다. 이번 가격 변동은 지난 7일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베트남 산업통상부는 "세계 유가 상승이 국내 가격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7일간 세계 시장에서 RON 95 휘발유 평균 가격은 1.4% 오른 배럴당 82.7달러를 기록했으며, 디젤유와 중유도 0.5% 상승했다. 아울러 베트남 최대 유류 업체인 페트롤리멕스(Petrolimex)와 PVOIL은 오는 8월 1일부터 E10 바이오휘발유(미네랄 휘발유에 10% 에탄올 혼합) 판매를 시범적으로 시작한다. 산업통상부는 내년 초부터 E10 휘발유만 유통하도록 제안 중이다. 이는 친환경 에너지 전
싱가포르 UOB은행의 글로벌 경제·시장연구부가 베트남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6.9%에서 7.5%로 상향 조정했다. 2025년 상반기 7.5%의 인상적인 성장세와 하반기 공공투자 확대 기대를 반영한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도 베트남 경제의 탄력성과 역동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UOB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7.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4분기에는 7.2%로 둔화되겠지만 연간 7.5% 성장을 달성할 전망이다. 이는 2024년 실제 성장률 7.09%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2026년 성장률 전망은 7%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상반기 강한 성장세는 주로 수출 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파트너국에 대한 '상호주의' 관세를 90일 내 임시 기본세율 10%로 낮춘 후 시장 심리가 회복되면서 수출이 전년 대비 14% 급증했다. 하반기 들어 미국이 8월 1일 마감 전에 각국별 개별 관세를 확정지음에 따라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다. 베트남에 대한 관세율은 20%로 설정됐다. 경제 지표도 긍정적이다.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2개월 연속 50
VN 지수는 대부분의 거래 시간 동안 급등락을 거듭하다가 장중 10포인트 이상 급락하며 종가를 형성했다. 호찌민 증권거래소를 대표하는 지수는 기준선 대비 5포인트 이내의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변동폭을 보였다. 장 막판에는 강한 매도 압력으로 인해 변동폭이 더욱 확대되었다. 지수는 기준선 대비 약 10포인트 하락한 1,671포인트로 마감했다. 시장에 지지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조정 회의와 FTSE 지수 상향 조정에 대한 공식 정보가 다가옴에 따라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이어지면서 두 번째 연속 조정이 발생했다. 호찌민시 증권거래소(HCMC)는 오늘 200개 이상의 종목이 하락하며 상승 종목 수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하락을 기록했다. 대형주 바스켓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는데, 19개 종목이 기준선 이하로 마감했고, 10개 종목이 상승했다. 은행업종은 매도 압력이 강해 주요 종목들이 잇따라 급락했다. BID는 2.5% 하락했고, VPB, CTG, VIB, MBB, TCB는 1.7~2.2% 조정을 받았다. LPB와 STB는 시장 추세에 역행하는 드문 종목들이었지만, 상승폭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증권 종목 모두 하락했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구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 소비자 10명 중 5명 이상은 매일 건기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올바른 제품 선택에 자신이 있다는 응답은 18%에 그쳐 ‘정보 기반 섭취’에 대한 인식 격차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건강 및 웰니스 뉴트리션 전문 글로벌 기업 허벌라이프가 ‘2025 아시아태평양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 설문조사(2025 Asia Pacific Responsible Supplementation Survey)’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해 일본, 호주,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태평양 11개국 소비자 9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은 ▲건기식 섭취 빈도 및 동기 ▲제품 선택 기준 ▲신뢰하는 정보 출처 등 건기식 전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의 55%가 건기식을 매일 섭취하고 있으며,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비율은 80%에 달했다. 이는 아태지역 평균인 각 43%(매일 섭취)와 73%(주 1회 이상 섭취)를 상회하는 수치로, 섭취 목적은 ▲전반적인 건강 및
베트남 정부가 롱탄국제공항의 조기 개항을 추진하면서 호치민 인근 관광도시 붕따우가 글로벌 관광·투자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베트남 전문 투자개발사 NIT JSC는 붕따우에 대규모 복합 리조트 단지 ‘SUNNY WHALE 빌라&테마파크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지난 5일 밝혔다. 붕따우는 과거 베트남 왕족의 휴양지로 사랑받은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오늘날 미국·호주 등 해외 관광객의 수요가 가장 높은 도시로 자리매김하며 국제적인 매력을 입증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 수요에서 미국, 호주, 인도, 일본, 한국 순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롱탄국제공항(2026년 개항 예정)과 고속도로·철도망 확충으로 붕따우는 호치민과 1시간 이내로 연결되는 글로벌 관광·투자 허브로 도약할 전망이다. 현지 언론 비나인사이드는 2025년 12월에서 2026년 1월 첫 항공편 착륙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이 프로젝트는 호치민시에서 약 90km 떨어진 붕따우 해변 산중턱에 위치한 69,201㎡(약 21,000평) 규모의 토지를 기반으로 한다. 주요 시설로는 럭셔리 빌라 35세대, 호텔 200객실, 상업센터 168실, 워터파크,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PC·콘솔 게임 다운로드, 매출, 광고비, 오디언스를 사로잡은 퍼블리셔, 그리고 가장 큰 성장을 이끄는 지역 등을 포함한 ‘PC·콘솔 게임 인덱스’ 리포트를 발표했다. PC·콘솔 게임 산업은 프리미엄과 부분 유료화 모델 전반에서 플레이어들의 시간과 소비를 꾸준히 끌어들이며, 2025년 현재 총 다운로드 수 10억 건 이상을 기록했다. 스팀은 방대한 라이브러리와 정기적인 세일 이벤트를 통해 PC 디지털 게임 유통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플레이스테이션은 콘솔 부문 선두 지위와 강력한 해외 시장 침투력을 바탕으로 여전히 높은 실적을 기록하며, 엑스박스는 총 다운로드 수에서는 다소 뒤처지지만 Game Pass와 크로스 플랫폼 접근성을 중심으로 상당한 시장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액션 장르는 모든 게임 플랫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장르로, 약 2억6200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다른 모든 카테고리를 크게 앞서고 있다. 흥미롭게도 올해 가장 높은 성과를 거둔 액션 게임은 ‘R.E.P.O.’, ‘Split Fiction’, ‘Peak’ 등 인디 및 AA 게임이었다.
주요 내용 인구가 적고 제조업, 알루미늄 제련, 석유화학과 같이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을 가진 국가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 측면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아이슬란드, 카타르, 싱가포르가 상위 3개국이지만, 북미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전 세계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은 산업화, 기후 조건, 자원 가용성, 정책 선택에 따라 현저한 지역적 격차를 보이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인구가 적고 중공업이나 석유화학 산업에 의존하는 산업화된 경제를 가진 국가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높은 상위권에 속한다. 이 차트는 2024년 1인당 에너지 소비량 상위 15개국과 에너지 연구소의 2025년 세계 에너지 통계 검토 데이터(https://www.energyinst.org/statistical-review/resources-and-data-downloads)를 사용하여 전 세계 지역의 1인당 소비량을 보여준다. 아이슬란드와 카타르, 1인당 에너지 소비량 선두 아이슬란드는 2024년 1인당 788GJ의 에너지 소비량을 기록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소비량을 기록했고, 1인당 769GJ를 기록한 카타르를 근소한 차이로 앞지르며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베트남의 전자지갑 MoMo의 공동창업자 응우옌바디엡(Nguyen Ba Diep)이 베트남 정부에 핀테크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단일 규제 기관을 설립하고 더 유연한 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핀테크 기업들이 여러 부처의 중복 규제를 받으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디엡 공동창업자는 16일(현지시간) 베트남 민간부문 경제포럼(VPSF)에서 "디지털화와 핀테크 관련 사안을 담당하는 단일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며 "기업들이 라이선스와 보고 절차에 과도한 시간을 쏟지 않고 본연의 전문 분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부 핀테크 기업이 최대 5개 규제 기관과 거래해야 하는 현실을 비판하며, 이로 인해 혁신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오픈 데이터와 오픈 API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해 은행, 보험사, 증권사, 핀테크 기업 간의 연결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의료, 사회보장, 전자상거래 기록 등 비전통적 데이터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이 가능해지면 신용 평가, 자산 관리, 디지털 보험, 자금 시장 서비스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대출 기관이 대출 금리를 개인화하고 안전한 차입자와 위험한 차입자를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