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커피 가격이 급등하면서 세계 최대 로부스타 커피 수출국인 베트남이 수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커피 가격은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약 40% 상승했다. 브라질·콜롬비아·인도네시아의 생산량이 감소한 반면, 유럽·미국·아시아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농업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한 달 동안 베트남의 커피 수출액은 5억6,000만 달러, 올해 1~7월 누적은 36억 달러로 전년 대비 20% 늘었다.
■ "국제 커피 시장, 지금이 가장 유리"
응우옌 남 하이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 회장은 “현재 국제 커피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도 베트남에 유리하다”며 “높은 가격과 안정적인 공급 능력을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원두 수출에 의존하기보다는 깊은 가공(deep processing) 분야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가공 커피 비중 15% 미만
현재 베트남 커피 수출에서 로스팅·인스턴트·스페셜티 등 **가공 커피가 차지하는 비중은 12~15%**에 불과하다. 이는 브라질·콜롬비아(30~40%)와 비교해 크게 뒤처진 수준이다 TNI 킹커피(킹커피) CEO 레 호앙 디엡 타오는 “깊은 가공에 투자하면 제품 가치를 몇 배로 높일 수 있지만, 인스턴트 커피 생산 라인에는 수천억 동(약 수백억 원) 규모의 초기 자본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은 투자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 기술·브랜드 격차가 걸림돌
베트남 내 일부 대기업(비나카페, 쭝응우옌, 네슬레 등)은 이미 투자를 확대했지만, 중소기업은 여전히 기술력과 자본 부족으로 한계를 보인다.
또한 브랜드 파워 측면에서도 국제 시장에서 베트남 커피는 아직 존재감이 미약하다. 세계 소비자들은 커피 브랜드로 스타벅스(미국), 라바짜(이탈리아), 네슬레(스위스)를 먼저 떠올리며, 베트남 커피는 여전히 원료 공급국 이미지가 강하다.
딘반탄 농업경제 전문가는 “지금처럼 원두 수출에 의존하면 베트남은 글로벌 대기업의 ‘원료 공장’에 머물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가공 투자와 국가 브랜드 전략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 긍정적 신호와 향후 전략
일부 기업들은 이미 가공 커피 수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
-
쭝응우옌 레전드: 중동·동유럽 시장으로 인스턴트 커피 수출 확대
-
비나카페: 아세안 시장 집중 공략
-
람동·자라이 지역 스타트업: 일본·한국 시장 겨냥 스페셜티 커피 브랜드 육성
원두 대신 로스팅 커피를 직접 판매해 한국 시장에 진출한 사례도 늘고 있으며, 이는 원두 수출 대비 두 배 이상의 가격을 받고 농가 소득 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베트남 커피 산업의 도약을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
가공 기술 투자: 인스턴트·스페셜티 커피 생산 라인 구축 지원 및 정부 차원의 금융 지원 필요.
-
국가 브랜드 육성: 태국의 ‘자스민 쌀’, 콜롬비아의 ‘아라비카 커피’처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가 브랜드 구축.
-
신흥 시장 공략: 중동, 남아시아, 동유럽 등 커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장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