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블록체인] BAYC #4172의 운영을 맡은 젤리스페이스, 라이선스 사업 진행 시작

▼ BAYC #4172와 젤리스, 이미지 제공=젤리스페이스

 

1년만에 가치 2500배 상승 달성한 BAYC, 그 정체는?

 

유가랩스의 대체불가능토큰(NFT) 브랜드 BAYC(Bored Ape Yacht Club)는 0.08ETH(이더리움, 한화 약 20만원)에서 시작하여 1년만에 자산가치 바닥가(floor price) 152ETH을 달성했다. 이는 한화 약 5억4천만원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이다. 유가랩스는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메타버스로의 사업 확장에 나섰다. 가상토지 콘셉의 Otherdeed NFT는 BAYC 보유자에게 분양된다. 랜드 민팅은 유가랩스의 자체 가상화폐인 에이프코인(APE Coin)으로만 참여가 가능하기에 에이프코인의 가치 역시 함께 상승했다.

 

래퍼 스눕독(Snoop Dogg), 에미넴(Eminem), 가수 저스틴 비버 등 수많은 연예인들이 전세계적으로 1만개 뿐인 NFT의 홀더로서 BAYC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있다. 얼마 전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설립자 일론 머스크(Elon Musk) 역시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BAYC NFT로 바꾸며 홀더 인증을 한 바 있다.

 

프로젝트의 확장성과 화제성을 바탕으로 유가랩스의 BAYC 캐릭터 유인원(Ape)들은 디즈니를 넘보는 IP(Intellectual Property)로 확장될 것이라 평가받고 있다.

 

오픈 라이선스란?

 

BAYC 홀더의 경우, 본인이 구매한 특정 NFT의 IP를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영업을 시작한 보어드 앤 헝그리(Bored & Hungry)는 BAYC의 IP를 활용한 사업으로, BAYC 홀더가 본인이 소유한 NFT로 브랜딩한 햄버거 식당이다. 보어드 앤 헝그리에서는 에이프코인(APE)으로 음식값을 지불할 수 있다. 또한 홀더들에게는 세트 메뉴 무료, 메뉴 이름에 NFT 커뮤니티 용어 사용 등 BAYC의 세계관에 열광하는 홀더 및 커뮤니티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처럼 본인이 NFT를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는 기간동안 해당 NFT의 IP를 2차 저작물에 활용하거나 사업에 이용하는 것을 ‘오픈 라이선싱’이라고 한다. 가장 빠르게 IP를 확장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업군에 IP를 배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젤리스페이스, BAYC #4172의 라이선스 운영을 맡다    

 

NFT 프로젝트 ‘메타젤리스’를 론칭한 블록체인 브랜드 기획사 ‘젤리스페이스’에서 BAYC NFT를 통한 라이선스 사업을 운영한다. 젤리스페이스는 BAYC #4172의 홀더이자, 이전부터 자사 캐릭터 IP에 대한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활용을 추진해왔다. 이는 메타젤리스의 NFT 라이선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메타젤리스 NFT를 입양한 홀더는 해당 NFT에 대한 라이선스 권리를 갖게 된다.

 

(주)젤리스페이스 조현진 대표는 “메타젤리스도 한국의 BAYC가 되고자 한다. 홀더들의 커뮤니티 가치를 키우는 방안으로 NFT의 오픈 라이선스를 적극 활용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BAYC #4172의 홀더이자 메타젤리스의 대표로서 오픈 라이선스를 통한 비즈니스 협업을 통해 메타젤리스의 가치 상승과 함께 인지도 상승 및 홀더 혜택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 협업 필요시 (주)젤리스페이스 에 문의 : talk@zellyspace.com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미국, 중국 내 반도체 생산 제한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 하락
미국 정부가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한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 확보를 허용했던 허가를 취소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월요일 하락했다. 이 조치는 120일 후 발효될 예정이다. 분석가들은 삼성전자 DRAM 생산량의 3분의 1 이상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SK하이닉스 DRAM 및 NAND 생산량의 30~4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고 추산한다. 삼성전자 주가는 오전 거래에서 2.3%, SK하이닉스 주가는 4.4% 하락했다. 이는 코스피 지수가 0.7%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두 반도체 회사는 지금까지 미국이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에 부과한 광범위한 제한 조치에 대한 예외 조치의 혜택을 누려왔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조치에 대해 한국 및 미국 정부와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은 언급을 거부했다. NH투자증권 류영호 선임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에서는 현상 유지를 유지하면서 한국을 중심으로 신규 생산 라인과 공정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칩 조립 및 제품 공급업체들의 주가도 영향을 받

문화연예

더보기
[게임] 스타일라잇, 정식 출시일 공개와 더불어 서울 지하철 역사 OOH 눈길
AAA급 3D 스타일링 게임 스타일라잇이 오는 9월 10일 정식 출시를 확정했다. 이번 발표와 함께 사전 예약자 수가 50만 명을 돌파하며, 정식 론칭 전부터 흥행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한 정식 출시와 동시에 홍대입구역, 강남역을 비롯한 서울 주요 거점에서 대규모 옥외 광고 캠페인을 전개하며 본격적인 마케팅 행보에 나선다. 대형 래핑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공개되는 비주얼은 스타일라잇 특유의 세련된 그래픽과 감각적인 스타일링을 강조하며, 지나가는 이들에게 스타일라잇만의 고유한 세계관과 스타일 아이덴티티를 도심 속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출시를 기념해 공개된 메인 키 비주얼(KV)은 걸그룹 콘셉트로 제작됐으며, 신규 싱글 뮤직비디오 ‘나답게, 빛나게’가 함께 공개됐다. K-POP 문화의 본고장인 한국 시장을 겨냥해 유저들의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체험판 성과로 확인된 경쟁력 8월 28일 종료된 사전체험판은 설치 다음 날 재접속률(D1 리텐션) 약 80%를 기록했다. 이는 신규 이용자 10명 중 8명이 체험판을 설치한 다음 날 다시 접속한 것으로, 모바일 게임 업계 평균(30~40%)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를 통해 게임의 높은 완성도와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