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구름조금동두천 -1.5℃
  • 맑음강릉 4.9℃
  • 맑음서울 -0.3℃
  • 맑음대전 3.1℃
  • 맑음대구 4.7℃
  • 맑음울산 5.2℃
  • 구름많음광주 6.2℃
  • 맑음부산 6.3℃
  • 구름많음고창 5.5℃
  • 구름많음제주 9.9℃
  • 구름조금강화 0.0℃
  • 맑음보은 1.2℃
  • 맑음금산 3.0℃
  • 구름많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6.9℃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테크놀리지] 베트남 인구의 약 40%가 5G 전파 수신 가능

5G 기지국 수는 구축 1년 만에 16,000개 이상으로 급증하여 전체 인구의 39.52%를 커버했지만, 2025년 말까지 90%를 커버한다는 목표에는 아직 미치지 못했다.

 

과학기술부는 11월 중순 발표한 과학기술개발혁신국가디지털전환과제 추진 보고서에서 인터넷이 전체 인구의 78%를 커버하고 모바일 커버리지가 99.8%에 달하는 등 통신 인프라가 "강력하게 발전"했다고 평가했으며, 5G 네트워크는 전국적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10월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에는 16,737개의 5G 기지국이 있으며, 이는 현재 4G 기지국 수의 14%에 해당하며, 전체 인구의 39.52%를 커버하여 5G 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고 있다.

 

신세대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확대는 베트남의 모바일 인터넷 속도 또한 크게 향상시켜 세계 순위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 Ookla Speedtest의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0월 최초의 통신사인 베트남이 5G를 상용화한 지 정확히 1년 만에 베트남의 인터넷 속도는 71Mbps에서 146Mbps로 상승하여 순위는 43위에서 15위로 올랐다.

 

베트남 인터넷 센터(Vietnam Internet Center)의 i-Speed ​​통계에 따르면, 10월 베트남의 모바일 데이터 속도는 81.7Mbps에 달했으며, 그중 비엣텔이 96.57Mbps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여 1위를 차지했고, VNPT가 66.97Mbps, MobiFone이 59.54Mbps로 그 뒤를 이었다.

 

5G 도입 가속화

 

베트남은 이전 계획에 따라 올해 전체 인구의 90%가 5G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목표를 설정했으며, 5G 기지국 수는 6만 8천 개 이상으로 4G 기지국의 57.5%에 해당한다. 현재 1만 6천 개 이상의 기지국이 있는 상황에서 5G 서비스 커버리지는 목표 달성에 아직 한참 못 미친다. 과학기술부는 보고서에서 "통신사업자들에게 전국적으로 5G 서비스 제공을 촉구"하는 과제를 제시했다.

 

 

베트남은 국내 5G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해 왔다. 국회 결의안 제193호는 5G 개발 자금 지원을 위한 시범 프로그램을 허용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통신사가 2025년 12월 31일까지 2만 개의 기지국을 추가로 구축할 경우 장비 비용의 15%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700MHz의 "골든 주파수"는 5G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사용되며, 비엣텔과 VNPT는 이 주파수를 확보했다.

 

통신사 및 스마트폰 판매업체 측에서는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사용자들이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비엣텔 텔레콤은 2025년 말까지 인구의 90%에 5G 서비스를 제공하여 1,200만 명의 가입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0월 창립 25주년 기념 행사에서 비엣텔 텔레콤 사장은 2030년까지 국가 디지털 인프라 전략에 따라 통신 및 인터넷 인프라, 데이터 인프라, 디지털 유틸리티 인프라를 포함한 기술과 네트워크를 혁신하고 6G 시대를 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토로라, 오포 등 여러 통신사와 협력하여 사용자들이 5G 기기를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 또한 가격 하락과 5G 기기 판매 증가를 보였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7월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 전체 스마트폰 시장이 15%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5G 휴대폰 판매량은 11% 증가했다. 베트남 내 5G 휴대폰의 평균 판매 가격도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하락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