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말레이시아의 자동차 판매량은 2년 연속 인도네시아를 앞지르며 동남아시아 자동차 시장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닛케이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5대 시장에서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7월부터 9월까지 총 판매량은 731,963대로, 2024년 동기 대비 4%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 4% 증가했다. 2024년 초 이후 2024년 4분기에만 80만 대를 넘어섰는데, 이는 수요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랫동안 ASEAN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이었던 인도네시아의 판매량은 17% 감소한 184,403대를 기록한 반면, 말레이시아는 안정적인 경제와 3분기 GDP 성장률 5.2%에 힘입어 3% 증가한 201,588대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가 차량 판매에서 인도네시아를 앞지른 것은 2분기 연속으로, 구매력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를 명확히 반영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일본 제조업체들의 강자로 여겨져 온 인도네시아는 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지만, 이 지역의 판매량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오랜 기간 선두 자리를 지켜온 도요타는 3분기에 26%, 다이하츠는 24% 감소했다. 미쓰비시 자동차와 스즈키는 소폭 성장을 기록한 유일한 일본 브랜드였다. 전반적으로 여전히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의 취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인 BYD Atto 1이 10월 도요타 이노바와 아반자를 제치고 처음으로 베스트셀러 모델에 올랐다. 이는 시장의 분명한 전환점을 보여준다. 저렴한 운영비, 저렴한 연간 세금, 그리고 자카르타에서 판매되는 차량의 홀짝 번호판 면제 정책 때문에 사용자들이 전기차로 전환하고 있다. 동부 자카르타의 한 고객은 "유지비가 훨씬 저렴하고, 세금 절차가 간편하며, 출퇴근이 편리하기 때문에" 미쓰비시 가솔린 차량에서 우링 에어EV 전기차로 바꿨다고 밝혔다.
소비자 수요 감소는 인도네시아에서 토요타와 렉서스를 판매하는 그룹인 아스트라 인터내셔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스트라의 10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고,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56%에서 47%로 줄었다.
말레이시아는 여전히 국내 브랜드인 페로두아(Perodua)와 프로톤(Proton)이 주도하고 있으며, 2025년 10월까지 각각 289,210대와 125,120대를 판매하여 시장 점유율 41.6%와 18%에 해당한다. 그러나 중국 브랜드, 특히 체리(Chery)와 BYD의 강력한 돌파구는 주목할 만하다. 체리는 전년 동기 대비 78.2% 증가한 25,631대를 판매했고, BYD는 56.5% 증가한 10,165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페탈링자야에 위치한 체리 전시장 관계자에 따르면, 티고(Tiggo), 오모다(Omoda), 재쿠(Jaecoo)와 같은 현지 조립 SUV 모델이 토요타 코롤라 크로스(Toyota Corolla Cross)와 혼다 HR-V와 직접 경쟁하고 있다. 세단에서 SUV로 전환하는 사용자들의 추세는 분명하다. 쿠알라룸푸르의 한 고객은 혼다 세단에서 Jaecoo J7 모델로 바꿨다고 말했다. 이 모델은 동급 일본차 대비 안정적인 품질, 세련된 디자인, 그리고 훨씬 경쟁력 있는 가격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VAMA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의 3분기 신차 판매량은 88,400대로 4% 감소했으며, 이는 2024년 3분기 이후 첫 감소세이다. 그러나 빈패스트는 1월부터 9월까지 주로 국내 시장에서 38,195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10월에는 빈패스트가 처음으로 20,000대를 돌파하며 시장 1위 4개 자리를 모두 차지했다.
빈패스트 외에도 현대차는 베트남에서 월 약 5,000대의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 닛케이는 이 두 브랜드를 합치면 베트남 시장 규모가 태국과 맞먹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태국 자동차 시장은 2024년 급격한 둔화 이후 2025년 3분기에 전년 대비 1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계 부채 비율이 GDP의 88.2%로 세계 7위로 높아 민간 소비의 지속적인 회복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