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제프티(Xafty)가 미국 보건당국 산하 기관의 파트너십 프로그램인 RRPV(Rapid Response Partnership Vehicle) 연례회의 공식 초청을 받아 무대에 오르게 됐다. 이 달 26~2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RRPV 연례회의에서 제프티의 임상결과와 개발전략이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행사 참여가 아니라, 미국 보건당국 산하 공인 협력체(RRPV)의 공식 초청을 통해 발표 기회를 부여받은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사례라는 점에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로, RRPV는 팬데믹 등 보건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보건당국 후원으로 기술발표·프로젝트 매칭·조기 검토의 장을 제공하는 파트너십이다.
앞서 2025년 8월 5일,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산하 연구기관을 통해 mRNA 기반 차세대 백신 프로젝트 22건을 취소 또는 축소(descoping)한다고 발표했다. 규모는 약 5억 달러에 달한다. HHS는 이 같은 결정이 mRNA 기술이 COVID-19나 인플루엔자 등 상기도 감염 예방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데이터에 근거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차세대 백신 전략에 공백이 발생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백신 전략의 공백 속에서, 미국 보건당국은 세계 최초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제프티를 공식 초청해 발표 기회를 부여했다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치료제 중심 전략'으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제프티는 특정 바이러스만을 겨냥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광범위 억제 기전을 통해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이다. 이번 초청 발표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이 미국 보건당국의 공식 무대에 오르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배병준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이번 초청 발표는 제프티가 단순한 임상 성과를 넘어, 글로벌 보건안보 전략 자산의 잠재적 후보군으로 미국 보건당국의 공식 인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며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앞으로 국제 보건안보 체계와의 협력을 강화해 팬데믹 대응 전략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 참고자료 ■ RRPV(Rapid Response Partnership Vehicle) 소개 ㅇ 설립 배경: 미국 보건당국이 감염병·생물테러·팬데믹 등 보건안보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19년 출범. ㅇ 법적 근거: 미국의 Other Transaction Authority(OTA) 제도를 활용하여, 긴급 상황 시 기존의 복잡한 계약 절차 없이 민간·학계·정부가 빠르게 협력할 수 있도록 설계. ㅇ 역할과 기능 1. 정부-민간 협력 허브 - 기업, 대학, 연구소, 스타트업 등이 회원(Partners)으로 참여. - R&D부터 조달, 비축 계약까지 전주기 협력 지원. 2. 보건당국과 직접 연결 - 보건당국 관계자 및 연방정부 담당자들이 참여하는 회의·워크숍을 통해 직접 네트워킹 가능. - 기술 발표 및 1:1 매칭을 통해 조기 협력 기회 확보. 3. 신속한 계약 체결 - OTA 방식을 활용하여, 전통적 연방 조달보다 훨씬 빠르게 계약·투자·공급 체결 가능. 4. 연례회의(Annual Meeting) - 최신 기술·후보물질을 공식 발표하는 자리 - BARDA 및 미 연방정부 담당자들에게 직접 소개할 수 있는 사실상 '공식 무대' 역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