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자동차] 우링(Wuling) 전기차 유통업체 이익 112배 증가

베트남 우링(Wuling) 자동차 유통업체인 TMT 모터스는 올해 1분기 세후이익이 약 340억 동(VND)에 달해 2024년 동기 대비 112배 증가했다.

 

TMT 모터스(TMT Motors Corporation, TMT Motors)의 1분기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약 6,760억 동(VND)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으며, 세후이익 또한 337억 동(VND)을 기록하며 2024년 1분기 대비 112배 증가했다. 회사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분기 이익이다. TMT 모터스는 작년에 3,250억 동(VND)의 사상 최대 손실을 기록했다.

 

 

TMT 모터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회사가 거둔 큰 이익은 재고 정리로 인한 금융 비용 76% 감소에 기인했으며, 판매, 관리 및 법인세 비용도 전년 동기 대비 수십억 동 감소했다.

 

올해 1분기에 큰 이익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TMT 모터스는 2,280억 동(VND)의 누적 손실을 기록했다. 따라서 베트남 우링(Wuling) 전기차 유통업체의 자본은 1,544억 동(VND)으로 총 부채의 10%에 해당한다. 금융 부채는 5,410억 동(VND)으로 3개월 만에 900억 동(VND) 감소했다.

 

지난 분기 말 이 기업의 총자산은 1조 3,640억 동(VND)으로 연초 대비 25% 증가했다. 이 중 재고가 가장 큰 비중(42%)을 차지하며 5,670억 동(VND)으로 17% 증가했다.

 

 

TMT 모터스는 과거 베트남 교통부(현 건설부) 기계공학과 산하 운송기계장비자재회사였다. 이전에는 경트럭 생산이 주력 사업이었다. 회사는 제너럴 모터스(GM)-상하이자동차(SAIC)-우링(Wuling) 합작법인의 파트너로서 베트남에서 우링 전기차를 제조, 조립 및 유통하고 있다. 현재 회사는 우링 미니 EV와 우링 빙고(Wuling Bingo) 두 가지 차량 라인을 판매하고 있으며, 가솔린 경트럭도 판매하고 있다.

 

TMT 모터스는 2025년까지 베트남 시장에 7종의 전기차 모델을 추가로 판매할 계획이다. 이 모델들은 220V 가정용 콘센트를 통해 가정에서 충전할 수 있다. 그중 바오준(Baojun) E100 모델은 2인승으로 설계되었으며, 배터리 포함 가격은 1억 5천만 동(세금 및 수수료 별도) 미만이다.

 

올해 연례 회의에서 TMT Motors 경영진은 5년에 걸쳐 두 단계로 나누어 전국 3만 개의 충전소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이 반 후(Bui Van Huu) 이사회 의장은 6월부터 하노이와 호찌민시에 시범적으로 충전소를 설치하고 올해 안에 200개의 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머지 2만 8,800개의 충전소는 2029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베트남

더보기
DHI 그룹-오비클바이오, '탄소저감 친환경 미생물 비료' 베트남 진출 업무 협약
지난 7월 18일(금) 베트남의 DHI 그룹(대표이사 안효선)과 한국의 미생물 비료 기업인 주식회사 오비클바이오(대표이사 이택윤)는 '탄소저감 친환경 미생물 비료'의 베트남 농업 진출 업무협약'을 맺었다. 베트남 DHI 그룹은 베트남의 패키징·식품·뷰티·마케팅 산업을 이끌며, 글로벌 탑 패션 브랜드를 주 고객으로 제품 패키징 서비스를 제공하고, 직접 생산한 유기농 딤섬을 전 세계 40개국에 수출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견조한 성장을 하는 기업이다. 오비클바이오는 메탄자화균·메틸영양균 기반의 미생물 비료를 연구·생산하는 농업 바이오 기업으로, 국내에서는 전남대학교 및 강원대학교 산하 친환경농산물안정성센터와 기술 검증 및 비료 인증 연구를 진행중에 있으며, 베트남 현지에서 껀터대학교 연구진 및 국립토양비료연구소와 메콩강 유역의 세계 최대 벼농사 지역에서 현지 실증 시험을 준비중이다. 주요 제품으로 자연 유래 미생물을 활용하여 벼농사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온실가스 메탄을 30% 이상 저감하는 벼농사 전용 친환경 미생물 비료와 과채류의 생산량을 20% 이상 증대하는 엽면 살포 방식의 미생물 비료를 개발하고 있다. 미생물 비료를 개발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 오비클바이오가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