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목재와 섬유 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관세 부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 29일 사이공 기업가 매거진과 베트남 혁신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세미나에서 응우옌찬푸엉 호치민시 수공예·목재가공협회(Hawa) 부회장은 “앞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미국 시장에 대해 여전히 낙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관 당국에 따르면 올해 1~7월 목재 및 목제품의 對美 수출액은 전년 동기 49억 달러에서 10% 이상 증가한 55억 달러를 기록했다. 푹 꾸옥 만 Hawa 회장은 “원산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면 베트남산 제품은 공정 경쟁이 가능하고 오히려 이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베트남 기업들은 지난 6월 미국산 목재 등을 포함한 약 30억 달러 규모의 구매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양국 간 무역 불균형 완화와 원산지 증명에 유리한 기반을 마련했다.
아마존 동남아시아 글로벌셀링 총괄 래리 후(Larry Hu) 디렉터는 “베트남은 글로벌 목재 가구 제조업에서 위상을 높여가고 있으며, 주방·인테리어·생활용품은 아마존 내에서 늘 상위권 판매를 차지한다”고 평가했다.
섬유·의류도 주요 수출 효자 품목으로, 같은 기간 對美 수출액이 89억 5천만 달러에서 15% 이상 증가한 103억 달러를 기록했다. 호치민시 섬유·의류협회 팜 반 비엣 부회장은 “아마존을 통한 온라인 수출만 상반기에 53% 급증했다”고 밝혔다.
신한증권 베트남(SSV)은 “베트남 섬유·의류의 일반 관세율이 20%로, 중국·인도보다 낮고 방글라데시·인도네시아와 유사해 단기적으로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TNG, SGI, 송홍, 길리멕스 등 주요 기업들은 올해 상반기에 수백 명의 인력을 추가 채용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는 시장 예측 능력 강화, 원부자재 내재화, 브랜드 구축 등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응우옌 찬 푸엉 부회장은 “고부가가치 및 틈새시장에 투자하고, 공급망을 소비자 인근으로 옮겨 미국 내 설치·디자인·유통까지 참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인디애나대 찐 응옥 안 박사(베트남 이니셔티브 네트워크 창립자)는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미국에서 조립·포장하는 ‘Made in Vietnam & Assemble in USA’ 전략이 효과적”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원산지 투명성 확보, 미국 산업협회 참여, 격전지 주(州) 투자 우선 고려 등을 조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미국 외에도 중국·유럽 등 대형 시장 진출 확대를 강조했다. 레오나르드 드 뱅시 경영대학원 교수이자 AVSE Global 회장인 응우옌 득 쿠엉은 “베트남 기업들은 EU-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을 잘 활용해 올 상반기 對EU 수출이 약 10% 증가했다”며 “디지털 전환, AI·빅데이터 활용, 품질 표준 강화, 기술 업데이트를 통해 EU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