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산업

[에너지]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LNG 소비에서 밝은 곳이 될 것

전문가들은 동남아 국가들이 2030년 LNG 시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
이 가운데 베트남이 전력 계획 VIII 덕분에 밝은 곳이 될 것이라고 전망

 

2022년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교역이 사상 최대 수준으로 증가한 것이 주된 원동력이지만, 유럽의 LNG 수요는 향후 몇 년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및 정제 컨설팅 회사인 넥산트ECA의 아시아 태평양 가스 연구 책임자인 토니 리건 씨는 유럽의 LNG 수요가 2027년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추정했다.

 

리건 씨는 "활동은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에 집중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베트남은 LNG 시장의 밝은 곳이다. 리건 씨는 향후 몇 년간 국내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발전계획 VIII'에 기인한다면서 이 계획은 2050년까지 모든 석탄 발전소를 대체 연료로 전환하거나 폐기해야 한다.

 

리건 씨는 "계획에 제시된 신규 발전소 중 13개는 LNG를 사용하고 나머지 10개는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향후 몇 년간 매우 강력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베트남은 에너지에 대한 강력한 매력을 만들어 낼 것이다."라고 말했다.

 

콜롬비아 대학교의 글로벌 에너지 정책 센터는 베트남이 오랫동안 "강력한 인구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중요한 LNG 성장 시장으로 여겨져 왔다고 말했다. 그 성장은 에너지 수요와 인구, 경제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S&P Global은 베트남 GDP가 2022년 3270억달러에서 2030년 7600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분석 및 컨설팅 업체인 모드 인텔리전스는 전 세계 LNG 시장이 2023년 746억달러에서 2028년 1034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인 에너지 대기업인 셸은 지난 두 달 동안 LNG 시장에서 "엄청난 성장을 보였다"며 3개국을 핵심 동력으로 꼽았고, 그 중 2개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라고 밝혔다.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가스텍 콘퍼런스에서 스티브 힐 셸에너지 부사장은 "독일, 베트남, 필리핀 등 3개국에 신규 공급을 했는데 모두 잠재적인 LNG 시장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힐 부사장은 "이들 시장은 LNG 수입의 도전을 극복하고 현재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이들 국가는 최근 첫 선적을 받아 LNG 야망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P 글로벌도 동남아가 LNG 천연가스의 선도시장이 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공유하고 있다. S&P 글로벌의 신흥 아시아 가스 및 LNG 시장 조사 책임자인 지신총은 "2033년까지 동남아시아의 LNG 수요는 연간 730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전 세계 LNG 시장의 12%를 차지한다. 이는 2022년 대비 수요가 거의 4배 증가한 것이다.  총 시장책임자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가스 공급의 지속적인 감소와 함께 전력 부문의 석탄에서 가스로의 전환이 성장 스토리의 주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들 시장이 수년 전부터 LNG를 수입해 왔기 때문에 가장 큰 시장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이들 시장의 수요는 여전히 미약하며 안정적인 가격에 의존한다고 경고했다. "LNG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필요한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자금이 지출될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 실리콘밸리에서 GPU 효율화 솔루션으로 주목새 창으로 메일 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대표 박세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추진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GMEP)에 선정돼 참여한 미국 실리콘밸리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Tech Center)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에이아이브는 전 세계 GPU 에지 노드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분산형 인프라 기술 ‘에어클라우드(Air Cloud)’를 개발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센터의 고비용·고전력 구조를 개선하고 AI 추론에 필요한 인프라를 누구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플러그앤플레이는 페이팔과 드롭박스를 배출한 세계 최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며, GMEP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PoC, 투자 유치, 사업화를 지원하는 국가 프로그램이다. 에이아이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실리콘밸리 현지에서 다수의 글로벌 VC 및 AI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Air Cloud의 기술력과 성장 비전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현지 기업들과 PoC 및 공동 사업화 논의를 시작했으며, 국내외 기관들과의 투자 및 파트너십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에이아이브는 Air Clou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