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굿모닝베트남미디어

[한국글로벌학교:KGS] 베트남 ‘하이퐁의 기인’ 팜쑤언쯔엉 시인 겸 화가, 안경환 KGS 이사장에 부조(浮彫) 동판 제작·증정

베트남에서 ‘하이퐁의 기인’으로 유명한 시인 겸 화가인 팜쑤언쯔엉이 안경환 한국글로벌학교 이사장(전 조선대 교수)에게 부조(浮彫) 동판을 제작하여 증정해 한·베 양국 문화계에 훈훈한 화제가 되고 있다고 한국지방정부신문이 보도했다.

*좌로부터 양재호 한국글로벌학교 교장, 안경환 KGS 이사장, 팜쑤언쯔엉 시인, 호앙반콰 하이퐁 마리꾸리고등학교 교장(사진=안경환)

 

베트남 하이퐁에서 시(詩)작품과 부조(浮彫)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시인 겸 화가 팜쑤언쯔엉(Phạm Xuân Trường, 74세)은 지난 11월 21일 하이퐁 자택을 방문한 안경환(安景煥) 이사장에게 부조(浮彫) 동판을 증정했다.

세계 주요 유명 인사들을 대상으로 얼굴을 동판에 부조하여 전시회를 개최하는 팜쑤언쯔엉 은 “베트남이 낳은 세계 최고의 대문호 응우옌주(阮攸)가 베트남 고유문자인 쯔놈으로 쓴 작품《쭈옌끼에우》를 한국어로 번역⋅출판한 안경환 교수에 대한 소식을 언론과 동료 시인들로부터 듣고, 언젠가 자신이 만든 부조 동판을 만들어 기증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에 응우옌주(阮攸)의 탄생 255주년, 서거 200주년 그리고 ≪쭈옌끼에우(翹傳)≫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지 135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여 부조 작품을 증정하려고 했으나, 베트남에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이제야 증정하게 되었다”며, “한국 사람들이 ≪쭈옌끼에우≫를 통하여 베트남 문화를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되를 바란다”고 전했다.

팜쑤언쯔엉 시인 겸 화가는 베트남에서 “하이퐁의 기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유명 인사로 학교에서 미술 공부를 전혀 하지 않았음에도 독학으로 닦은 솜씨로 자금이 생기면 동(銅)을 구입하고 작품을 만들어 여러 유명 인사들에게 증정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팜쑤언쯔엉 시인은 1947년 하이퐁에서 태어나 꽝닌성 소재 탄광학교에서 공부한 적이 있고, 방자인(Vang Danh)탄광 직원, 베트남석유수출공사의 석유 운반선 기관사로 근무하다가 1993년 은퇴하였다. 1997년 하이퐁 문인협회에, 2007년에는 베트남 문인협회에 가입하여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1996년에 《갯나팔꽃》, 1997년에《바닷가 사람》, 2006년에《불에 탄 잔디》, 2015년에《신약(神藥)》, 2019년에《이상한 풀》등 모두 9편의 시집이 있다. 2018년에는 82명의 부조 작품 전시회를 하이퐁예술전시관에서 개최하였고, 각종 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베트남이 자랑하는 문학작품 ≪쭈옌끼에우(翹傳)≫는 전 세계 25개 국가에서 21개 언어로 번역된 70여 종의 번역본이 있는 세계적인 베트남 6.8조 서사시이다. 베트남판 심청이에 비유되는 주인공 끼에우는 관아로 잡혀가 모진 매를 맞는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자신을400냥에 팔아 아버지를 구하고 겪게 되는 인생 여정이 6.8조 대서사에 담겨있다. 한국어 번역본은 안경환 전 조선대 교수에 의해 2004년 10월 21일 번역 출판되어 한국 최초로 소개되었으며, 이날 안 교수의 한글 번역작품 ≪쭈옌끼에우≫ 1권과 팜쑤언쯔엉 시인의 시집 2권을 서로 교환 증정하였다.

 

제공: 안경환 한국글로벌학교(KGS)이사장

출처: 한국지방정부신문(http://www.localnewsroom.co.kr)

 


베트남

더보기
[테크놀리지] 베트남,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 ‘눈앞’… 인력 전문화·자체 개발 추진력 강화 필요
코아시아 세미 베트남(CoAsia Semi Vietnam)의 응우옌 탄 옌 대표는 베트남이 약 6,000명의 칩 설계 엔지니어를 보유하며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체 제품 개발을 이끌어갈 강력한 추진력과 전문화된 인력 확보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베트남 반도체 산업은 현재 칩 설계 분야 약 7,000명의 엔지니어와 패키징·테스트·소재·장비 제조 분야 약 6,000명의 엔지니어, 그리고 10,000명의 기술자를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0명 이상의 베트남계 반도체 전문가가 활동 중이다. 베트남 엔지니어들은 BMW, 도요타, 기아차 등 글로벌 기업에 사용되는 칩을 설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제품은 외국 기업 소유다. 응우옌 대표는 “대학이 즉시 취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이 신입 졸업생을 채용해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학교와 긴밀히 협력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돌핀 테크놀로지 베트남 센터의 레하이안 소장은 다년간의 경력을 가진 인력과 관리 인력 부족, 졸업생 기술 수준의 격차, 특정 분야 전문성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기업 협력 강화 ▲전문화 교육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빛의 벙커, 장민승 작가의 ‘서귀’展 선봬… 제주에서 바라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국내 최초 몰입형 복합문화예술 공간 ‘빛의 벙커’가 장민승 작가, 정재일 음악감독과 함께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신작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선보인다. 제주 성산에 위치한 빛의 벙커는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오는 8월 1일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제주의 자연과 신앙, 그리고 존재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제주콘텐츠진흥원의 2024~2025년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으며, 티모넷이 기획·제작을 맡았다. ‘서귀’는 총 16분 20초 분량의 파노라마 멀티채널 영상으로 구성되며,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오름, 문섬, 엉또폭포 등 제주의 지형과 영등굿, 동자석, 살장, 기메 같은 제의적 상징을 결합한다. 여섯 개의 시퀀스를 따라 물, 바람, 눈, 흙, 불, 그리고 다시 물로 회귀하는 여정을 그려낸다. 관객은 영상 속에서 한 편의 장례이자 탄생의식을 통과하며, 자연과 인간의 순환성에 감각적으로 몰입하게 된다. 제목 ‘서귀(西歸)’는 ‘서쪽으로 돌아감’, 즉 죽음을 은유하는 한자어로 제주 신앙에서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을 의미한다. 부제 ‘수취인불명’은 끝내 전해지지 못한 감정의 잔향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