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광고] 베트남 비즈니스는 소셜 네트워크의 광고에 돈을 쏟아 붓는다.

기업들은 여전히 소셜 미디어와 검색 엔진 광고에 많은 돈을 쓰고 있다. 많은 베트남 기업들이 고객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요 채널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

기업은 두 가지 픞랫폼인 소셜네트워크와 검색엔진이 온라인 광고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여긴다. 베트남 기업은 이 두 채널에 많은 돈을 쓰고 있다.

 

베트남 전자상거래협회(VECOM)에 따르면 2020년 소셜네트워크 광고를 이용하는 사업체 비중은 계속 증가했다.

 

지난 4년간 소셜네트워크와 검색엔진 등 두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광고의 성장세가 기존 광고 형태를 뛰어넘었다. 이러한 두 가지 주요 방법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채널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플랫폼의 광고비율은 몇 년 전에 비해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0년에는 베트남 기업의 53%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광고했다. 이 비율은 2019년 49%에 비해 4% 증가했다. 이 플랫폼은 여러 해 동안 기업이 가장 우선시하는 주요 플랫폼이다.

 

2위는 검색엔진 광고였다. 다만 검색엔진 광고비율은 2019년 33%에서 2020년 29%로 낮아졌다. 수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 끝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신문과 온라인 신문 광고는 2019년에 비해 각각 14%, 15%가 증가했다. 한편, 텔레비전 광고는 13%로 약간 감소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최대 24%가 어떤 형태의 온라인 광고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2020년 광고시장의 하이라이트는 대다수 기업이 온라인 수단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비를 줄였다는 점이다.

 

VCOM에 따르면 2020년 온라인 광고비 지출액이 1000만동(450달러)보다 적다고 응답한 기업은 57%에 달했다. 광고비로 5000만동(거의 2500달러) 이상을 지출한 기업의 비율은 10%에 불과했다. 주요 원인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들이 광고에 대한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

 

다만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광고툴을 높게 평가하는 사업 비중은 2018년 52%에 비해 2020년에는 41%로 줄었다. 마찬가지로 2020년 검색엔진을 통한 온라인 광고 툴의 효과도 2018년 40%에 비해 31%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러한 채널들이 점점 더 비싸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2020년에는 온라인 광고 활동에 대한 예산 지출 측면에서 하노이와 호찌민시가 양대 도시이다. 이에 따라 호찌민시 사업장의 35%, 하노이 사업장의 33%가 온라인 광고비로 5천만동 이상을 지출했다. 베트남의 나머지 지방과 도시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는 현재 지역 간 전자상거래 발전의 차이와 일치한다.

-VN글로벌넷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다우기술, 다우오피스 AI 기능 업데이트… 지능형 챗봇으로 업무 효율 극대화
다우기술(대표 김윤덕)은 자사의 통합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DaouOffice)’의 AI 기능을 확대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AI를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일상 업무 속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업무용 AI’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 메신저, 근태관리, 인사관리 등 기업의 핵심 업무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이번 개선으로 AI 작성 기능은 기존 이메일 작성에 국한되지 않고 게시판과 커뮤니티 등 협업 영역 전반으로 확대됐다.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곧바로 AI를 통해 초안을 작성하거나 문장을 다듬을 수 있으며, 별도의 창 전환이 필요 없는 통합형 UI/UX 구조로 더욱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첨부파일 기반 AI 요약 기능이 추가돼 회의록, 보고서, 공지문 등 다양한 문서의 주요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첨부파일 요약 결과는 포털 화면 내에서 즉시 확인 가능해 효율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높였다. 여기에 더해 게시판과 문서관리 앱 데이터를 학습한 AI 챗봇 기능도 새롭게 추가됐다. 사용자가 ‘휴가 규정 알려줘’나 ‘첨부한 파일에서 작년 매출을 알려줘’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