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융∙주식

[암호화폐] 캄보디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바콩' 공식 발행

캄보디아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화폐 '바콩'을 발행하면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국 대열에 합류했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디지털화폐 '바콩'이 공식 가동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명칭은 현지 유명 고대 사원의 이름을 따랐다. 일본 핀테크 기업 '소라미츠(ソラミツ)'가 기반 블록체인 시스템을 설계했다. 

 

바콩은 현지 법정화폐 리엘(riel)과 달러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먼저 협력 금융기관에 신분증과 전화번호를 제출해 사용을 신청해야 한다. 이후 모바일 앱을 통해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해 개인간 결제와 송금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전자화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통장을 가진 캄보디아인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반면, 스마트폰은 동남아시아의 구석구석까지 도달했다.

 

*캄보디아 중앙은행

 

체아 세레이 캄보디아 중앙은행(National Bank of Com Penh) 중앙은행장은 18일 수도 프놈펜에서 열린 출범 행사에서 전자화폐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인 코비드-19의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 바콩 시스템을 공식 출범시켜 현금 없이 개인간 전자결제를 원활하게 진행해 사회복지를 증진시키고 질병의 확산을 막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올 초 그는 "바콩이 국가 결제 시스템의 중추가 될 것"이라면서 "캄보디아 이주 노동자들에게 더 나은 송금 방식을 제공하고, 현지 화폐 '리엘'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현재 캄보디아 경제는 90% 이상을 미국 달러에 의존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2017년부터 은행 간 결제 솔루션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해왔다. 지난해 10월에는 국경 간 거래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을 위해 말레이시아 은행과 협력했다.

 

중앙은행은 지난해 7월부터 시범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20여 개의 금융기관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수십 개가 더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앱 사용자들은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전화번호를 눌러 결제와 e-월렛 송금이 가능하다.

 

캄보디아 금융 기술 협회의 고위 관리인 펜 첸다는 바콩이 특히 현금 처리와 관련된 비용과 위험 때문에 중소기업에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방콕포스트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출장 영수증 걱정 끝… 비즈플레이, B2E 솔루션 ‘bzp출장관리 서비스’로 종이 영수증 없는 출장 관리 시대 개막
Expense 비용관리 Total 솔루션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기업 및 공무원 사회에서 출장 증빙 자동화 솔루션 ‘bzp출장관리 서비스’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bzp출장관리 서비스는 출장 예약부터 정산까지 통합 관리되는 올인원 솔루션으로, 기존에 복잡했던 출장관리 업무를 자동화한다. 비효율적인 출장 준비 및 정산 프로세스로 인해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해왔던 기업과 공공기관은 해당 서비스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출장관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출장자는 bzp출장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항공, 숙박, 열차, 비자, 여행사 등 출장에 필요한 예약을 규정에 맞게 진행할 수 있다. 예약 정보 연동과 출장비 정산 등의 업무를 통합적으로 자동화하는 것은 물론, 전 프로세스를 모바일로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관리자 측면에서도 업무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국내 전 카드사와 연동된 전자증빙을 통해 수기 검토, 증빙자료 보관 등의 업무가 사라졌으며, 출장비 상세 내역의 실시간 확인으로 보다 투명한 지출 관리가 가능해졌다. AI 기반 기능도 주목할 만하다. AI를 통해 출장자의 교통수단을 추천해주고, 항공 예약 시에는 최저가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