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최대 현대식 소매업체인 윈커머스(WCM)는 5년 안에 전국 매장 수를 1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마산그룹(Masan Group)의 대니 레(Danny Le) CEO가 온라인 주주총회에서 밝혔다. 레 CEO는 현대식 소매 형태가 현재 10% 미만인 베트남 소매 시장의 2029~2030년까지 25~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윈마트(WinMart), 윈마트+(WinMart+), 윈인(WiN) 체인을 운영하는 WCM은 2025년 3분기 기준 전국에 4,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6년에는 1,000~1,50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기별 지속 가능한 성장
WCM의 매출은 네트워크 확장과 동일 매장 성장률에 힘입어 1분기 10%, 2분기 13%, 3분기 22% 증가했다.
신규 매장의 수익성 또한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2024년 손익분기점 대비 첫해 1~2%의 EBIT(이자 및 세금 차감 전 이익) 마진을 달성했다.
전략적 확장 목표 지역인 농촌 지역에서는 투자 회수 기간이 지역 벤치마크에 맞춰 3년 미만으로 단축되었다.
임원진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이 데이터 기반 경영과 디지털 혁신에 힘입은 것이라고 밝혔다. 수익성이 낮은 소매 부문에서는 아무리 작은 운영 효율성이라도 마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WCM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하여 매장 위치, 제품 구색, 재고 계획을 수립한다. 4,300개의 현대식 매장과 40만 개의 기존 매장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을 파악하고 지역 소비 습관에 맞춰 제품 구성을 조정한다.
CFO 판응우옌쪼오ㅜ이(Phan Nguyen Trong Huy)는 "우리는 비현실적인 기술을 추구하지 않고, 각 매장에서 발생하는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라고 말했다.
초기 성공 사례는 MEATDeli 냉장육 부문에서 확인되었는데, 매출 기여도가 15% 증가했고, 연간 전체 성장률의 절반을 차지했다.
또 다른 획기적인 변화는 주문 프로세스 자동화에서 비롯되었다. 이전에는 매장 직원들이 근무 시간의 약 30%를 재고 보충 수요 예측에 사용했는데, 이는 매일 반복되는 업무였다. 이제 머신러닝 기반의 중앙 주문 시스템이 다음 주 매출을 예측하고 오늘 주문해야 할 재고량을 정확하게 계산한다.
그 결과, 연초 이후 총 주문량의 22%가 자동화되었으며, 2025년 말까지 66%, 2026년에는 90% 이상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니셔티브를 통해 WinCommerce는 매년 약 3,000억 동(미화 1,139만 달러)의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더 큰 이점은 고객 경험에 있다.
후이는 "직원들은 주문 계획에 시간을 허비하는 대신, 이제 고객과 소통하고 미소 짓고, 인사하고, 감사 인사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 이는 3,000억 동뿐만 아니라, 직원들이 고객 서비스에 집중할 때 그 파급 효과가 훨씬 더 클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네 번째 질문인 "누구에게 어떻게 판매할 것인가"는 WinCommerce가 지속적으로 개발 중인 고객 데이터 기반 개인화 전략을 통해 해결되고 있다. WinCommerce는 가까운 시일 내에 주주들과 더 자세한 정보를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적으로 현대식 소매점 접근성 확대
WCM의 확장은 베트남 총리령 제2326/QĐ-TTg호에 따라 승인된 베트남의 새로운 국가 소매 개발 전략과 일맥상통합니다. 이 전략은 식품 안전, 추적성,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슈퍼마켓, 편의점과 같은 현대식 유통 방식을 장려한다.
현재 34개 시·도에 4,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WCM은 도시와 농촌 지역 모두의 소비자에게 현대식 소매점을 더욱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WCM은 "단순히 매장을 늘리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모든 베트남 가정이 안전하고 고품질의 제품과 좋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을 개선하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