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의약품에 최대 250%의 수입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그가 제안한 최고 수준이다.
8월 5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에는 의약품에 "소액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1~1.5년 안에 이 세금이 "최대 수준"인 150~250%로 인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그가 이 문제를 언급하며 언급한 역대 최고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월 8일 내각 회의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가 "곧"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는 200%처럼 매우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부터 수입 의약품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 미국이 해외 공급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평가해 왔다. 이번 조사는 1962년 제정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하는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알루미늄, 철강, 자동차에 대한 조사 및 관세 부과를 위해 발동한 것과 동일한 법이다.

제약 산업은 그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무역 관세에서 면제되어 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 산업의 "불공정한" 가격 책정 관행을 거듭 비판하며 기업이 미국으로 제조업을 다시 유치하길 촉구해 왔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미국에서 의약품을 생산하기를 원한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압력에 직면하여 노바티스, 사노피, 로슈와 같은 많은 외국 제약 회사와 일라이 릴리, 존슨앤드존슨과 같은 국내 제약 회사들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그러나 제약 업계는 수입 관세가 비용을 증가시키고 약물 공급망을 교란시켜 환자들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은 17개 제약사에 서한을 보내 9월 29일까지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점진적으로 인하할 것을 촉구했다. 요건 중 하나는 메디케이드 건강보험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모든 환자에게 다른 선진국에서 이용 가능한 최저가로 전체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제약사가 서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