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말레이시아, 지역 데이터 센터 순위에서 동남아시아 선두

말레이시아는 부동산 컨설팅 회사 나이트프랭크(Knight Frank)의 동남아시아 데이터 센터 허브 순위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말레이시아 국영 통신사 Bernama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연간 429메가와트(MW)의 사용량, 견고한 인프라, 전략적 투자, 미래지향적 정책 덕분에 컨설팅 회사의 SEA-5 데이터 센터 기회 지수에서 지역 경쟁사를 앞지르고 있다.

 

이 지수는 최근 사용량 및 공급 수치를 포함한 주요 데이터 센터 요인과 인구 규모, GDP 성장, 외국인 투자자의 사업 용이성과 같은 다른 요소를 기준으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5개국을 비교한다.

 

나이트프랭크 말레시아는 말레이시아가 올해 첫 10개월 동안 315악8천만달러)의 디지털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2023년 총 투자액의 3배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Nvidia, Microsoft, Google, ByteDance, Amazon Web Services, Oracle과 같은 기술 거대 기업이 투자한 총 233억달러 규모의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포함된다.

 

더 스타는 나이트 프랭크 말레이시아의 토지 및 산업 솔루션 디렉터인 첼윈 수의 말을 인용해 "공공 이니셔티브와 민간 혁신의 시너지는 말레이시아를 산업 성장의 자석으로 자리매김하여 향후 몇 년 동안 현지 및 글로벌 플레이어 모두에게 방대한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54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504.8MW의 라이브 IT 용량을 갖추고 있다. SEA-5 국가 중 인도네시아는 연간 93MW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으며, 태국(31MW), 필리핀(1MW), 베트남(3MW)이 그 뒤를 이었다.

 

SEA-5 데이터 센터 시장은 현재 운영 시설과 진행 중인 개발을 모두 포함하여 총 3기가와트 이상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1.7기가와트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 한 해 동안 Amazon Web Services가 말레이시아와 태국으로 확장되고, Oracle Cloud가 말레이시아에서 출시되며, Microsoft가 태국에 새로운 데이터 센터 지역 계획을 발표하는 등 이들 국가 내 클라우드 지역에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베트남브리핑] 엔비디아의 베트남 진출: AI 부문 성장 가능성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 실리콘밸리에서 GPU 효율화 솔루션으로 주목새 창으로 메일 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대표 박세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추진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GMEP)에 선정돼 참여한 미국 실리콘밸리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Tech Center)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에이아이브는 전 세계 GPU 에지 노드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분산형 인프라 기술 ‘에어클라우드(Air Cloud)’를 개발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센터의 고비용·고전력 구조를 개선하고 AI 추론에 필요한 인프라를 누구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플러그앤플레이는 페이팔과 드롭박스를 배출한 세계 최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며, GMEP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PoC, 투자 유치, 사업화를 지원하는 국가 프로그램이다. 에이아이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실리콘밸리 현지에서 다수의 글로벌 VC 및 AI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Air Cloud의 기술력과 성장 비전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현지 기업들과 PoC 및 공동 사업화 논의를 시작했으며, 국내외 기관들과의 투자 및 파트너십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에이아이브는 Air Clou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