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전기자동차] 빈패스트, 3000대 규모의 베트남 최대 자동차 구매 계약 체결

 

6월 1일, SM 그린 택시는 또한 거의 500대의 그린카 자동차로 나짱(칸호아)에서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했다.

 

2023년 6월 1일, 선택시 공동주식회사는 빈패스트로부터 3000대의 VF 5 플러스 전기차를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현재부터 2025년까지 양도하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자동차 구입 계약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 선택시(Sun Taxi)는 꽝빈, 꽝남, 꽝아이, 빈딘, 푸옌, 나짱, 판티엣, 자라이 및 꼰뚬을 포함한 성과 도시에 전기 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다. 2025년까지 선택시의 모든 3000대의 빈패스트 전기차가 전국에서 운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계약 체결식에서 선 택시 공동 주식 회사의 이사회 의장인 응우옌 이훙 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기 자동차는 세계의 일반적인 추세이며 베트남 기업은 뒤처질 수 없다. 선택시는 다년간의 택시 서비스 사업으로서 경험과 시범운영을 통해 운행인원 최적화, 운전자 지원 등 휘발유차에 비해 전기차의 장점을 실현하고 있으며, 동시에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유지보수 및 수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차는 냄새, 소음, 배기가스가 없는 장점으로 고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선택시는 전기차를 택시 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해 빈패스트와 협력하는 것이 고객과 지역사회에 탁월한 가치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빈패스트의 부사장 쩐레푸엉 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빈패스트는 점점 더 많은 운송 회사들이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하는 것을 선택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탁월한 경제 효율성, 고객의 좋은 피드백 및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은 동일한 비전을 가진 기업에 전달하고자 한다.

우리는 교통 환경을 조성하고 완성하는 데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동시에 최고의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선택시와 협력사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전국의 충전소 인프라를 통해 고객과 파트너가 차량 사용 중 안전하고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현재 빈패스트는 63개 성·시에 15만개의 자동차 및 전기오토바이 충전포트 시스템을 계획하고 있으며, 동시에 최대 10년간 정품보증, 전국논스톱서비스, 모바일수리(모바일서비스), 모바일 배터리 충전(모바일 충전), 보증 기간 동안 24/7 구조같은 애프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린카

 

2013년 10월부터 택시 운송 시장에 합류한 선 택시는 현재 17개 성 및 시에 걸쳐 290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6월 1일 SM 그린 택시는 나짱(칸호아)에서 500대 규모로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팜낫부옹의 택시 회사 요금 발표: 최저 12,000동/km, 최고 21,000동/km이다.


 


베트남

더보기
[베트남 사랑] 달랏에 머물며 행복의 소리를 듣다
8월 쏟아지는 비 속에서 쓴맛 나는 커피를 마시며 하얀 계곡을 바라보는 최영숙 박사의 눈빛에는 달랏의 꽃과 안개 속에서 행복의 목소리를 듣는 결의가 서려 있다. 한국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베트남 달랏으로 이주한 최영숙 박사(전 대구대 교수)는 장애아동 교육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남편 권장수 씨와 함께 수십억 동을 투자하며 현지 장애아동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영숙 박사는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 부총장 임명 준비 단계에 있었으나, 2007년 베트남 방문 후 모든 것을 바꿨다. 람동성 교육훈련부와 달랏 농아학교, 지적장애아동학교 교장단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의 열악함을 목격한 것이 계기였다. "시설 부족, 전문 커리큘럼 부재,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내 인생의 모든 결정을 바꿔놓았다"고 최 박사는 회상했다. 그녀의 결심에 남편 권장수 씨(한국 자동차 사업가)도 동참했다. 성공적인 사업을 접고 2009년 중반 베트남으로 이주한 권 씨는 "아내가 불우아동 돕는 의미 있는 일을 원한다고 하자, 망설임 없이 결정했다.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고 했지만, 우리는 항상 함께해야 했다"고 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