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베트남

[인포그래픽] 3차 대전을 생각하는 국가들

조사에 참여한 모든 국가에서 대다수의 응답자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세계 대전이 발발할 것이라고 믿는다.
호주는 가장 비관적이었고 일본은 가장 낙관적이다.


 

어느 나라가 제3차 세계 대전이 다가오고 있다고 믿는가?

 

팬데믹, 만연한 인플레이션, 흔들리는 세계 경제, 지정학적 폭발 이후 사람들이 미래에 대해 암울한 전망을 갖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소소(Ipsos)의 최근 조사 결과는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여론조사가 실시된 33개국 모두에서 응답자의 대다수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세계 초강대국 사이에 1차 세계 대전과 2차 세계 대전과 같은 규모의 세계 대전이 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박한 글로벌 분쟁의 가능성에 대해 여러 국가가 어떻게 느꼈는지 살펴보자.

 

 

일본은 임박한 세계적 분쟁에 대해 가장 확신이 없었다. 이러한 의견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역사적 경험에 의해 거의 확실하게 형성되었다.

 

호주는 임박한 세계 분쟁의 가장 확실한 곳이다. 호주는 아시아 및 서구 국가들과 독특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강대국 간의 지정학적 긴장이 호주에서 더 큰 울림을 줄 수 있다.

 

 

공포의 힘

 

매스 미디어가 다루는 부정적인 측면의 이야기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가장 널리 공유되는 이야기 유형을 고려할 때 사람들이 어떻게 미래에 대한 우울한 시각을 갖게 되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나쁜 느낌"은 제쳐두고 어떻게 이러한 인식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우선 여론은 정치적 우선순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임박한 갈등에 대한 이야기는 지정학적 정책과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전반적으로 군비 지출의 증가이다. 30개국 국민의 64%는 자국 정부가 "세계의 위험을 감안하여" 군비 지출을 늘려야 한다는 데 어느 정도 또는 강력하게 동의한다. 우크라이나를 제외하면 인도(84%)와 폴란드(81%)가 군비 지출 증가를 지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 다른 주목할만한 발견은 조사 대상 국가의 85%가 오늘날 세계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 협정과 제도가 필요하며 세계 강대국이 국제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 협정을 존중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은 국가 간의 협력이 무너지면 전쟁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비쥬얼캐피탈리스트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나라지식정보, K-헤리티지 AI 지식검색·문화콘텐츠 및 AX 본격화… 이스트소프트와 업무협약 체결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4일 AI 기반 지식검색 정보화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양사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AI 더빙·AI 키오스크·에이전트(앨런 LLM), 페르소에이아이(PERSO.ai) 등을 보유한 AI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공공문화 콘텐츠 AX 사업 본격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공공기관의 AX(인공지능 전환) 구축 및 정보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의 협력 사업은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자동 더빙 솔루션 ‘AI 더빙’ △지능형 디바이스 ‘AI 키오스크’ △에이전트 서비스 ‘앨런LLM’과 나라지식정보의 △공공사업 분야 노하우 △문화 데이터베이스 △헤리티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나라지식정보는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모토 아래 국내 180여 기관 600여 건의 데이터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AI OCR·RAG 지식검색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