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터넷] AAG 케이블 수리, 베트남에서 국제선으로의 인터넷 정상화

AAG 해저케이블 수리는 31일 오후 완료됐으며 기술팀은 8월 2일 설치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한 통신사(ISP)에 따르면 아시아아메리카게이트웨이(AAG) 잠수함 수리선은 31일 13시20분 S1H 지점 케이블 결함 부분에서 마지막 용접을 마쳤다. 기술팀은 8월 2일에 케이블 설치를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절차는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최종 용접 후 필요한 절차이다.

 

앞서 19일 오전 붕타우 도킹장에서 약 108km 떨어진 S1H 케이블 지점에 결함이 있었다. 이 문제로 베트남에서 싱가포르, 홍콩으로 연결되는 전체 연결 용량의 15%에 영향을 미쳐 베트남 내 외국 웹사이트의 접속 속도에 영향을 미쳤다.

 

24일 ISP에 발표된 계획에 따르면 27일부터 31일까지 문제가 수리될 것으로 보인다. 7월 26일부로 수리 완료 예상 시점이 8월 3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현재로선 하루 일찍 문제를 해결한다. 사실, 수리 작업은 7월 26일에 시작되었다.

 

AAG는 5개의 중요한 해저 케이블 노선 중 하나로 베트남으로부터의 국제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케이블 노선의 길이는 20,191km이며, 2009년 11월에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홍콩, 필리핀, 미국을 거쳐 운행되었다.

 

▷관련기사: https://www.goodmorningvietnam.co.kr/news/article.html?no=43202

 

AAG 광케이블이 한 달여 만에 문제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AAG 노선은 6월 22일 붕따우 도킹 스테이션에서 약 102km 떨어진 S1H 지선에서도 고장이 났다. 7월 17일, 네트워크 운영자들은 AAG 케이블이 수리되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외국 웹사이트와의 인터넷 연결이 간헐적이라고 보고한다. 7월 19일 오전, 한 ISP가 AAG 케이블의 새로운 오류를 확인했다.

 

지난 5월과 6월에는 다른 두 개의 중요한 인터넷 케이블 회선인 아시아아프리카유럽1(AAE-1) 케이블 노선과 APG(Asia Pacific Gateway) 케이블 라인 중단되었다가 수리되었다.

 

AAG 해저 광케이블의 수리로 베트남에서 APG, SMW3, AAE-1, AAG, IA 등 국제 목적지까지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5개 케이블 노선이 모두 정상 운영되고 있다. 연결 방향이 많기 때문에 ISP는 특정 경로에 의존하지 않고 많은 케이블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경우가 많다.

-GMK미디어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나라지식정보, K-헤리티지 AI 지식검색·문화콘텐츠 및 AX 본격화… 이스트소프트와 업무협약 체결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4일 AI 기반 지식검색 정보화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양사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AI 더빙·AI 키오스크·에이전트(앨런 LLM), 페르소에이아이(PERSO.ai) 등을 보유한 AI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공공문화 콘텐츠 AX 사업 본격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공공기관의 AX(인공지능 전환) 구축 및 정보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의 협력 사업은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자동 더빙 솔루션 ‘AI 더빙’ △지능형 디바이스 ‘AI 키오스크’ △에이전트 서비스 ‘앨런LLM’과 나라지식정보의 △공공사업 분야 노하우 △문화 데이터베이스 △헤리티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나라지식정보는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모토 아래 국내 180여 기관 600여 건의 데이터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AI OCR·RAG 지식검색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