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보기술산업부는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인공지능 및 반도체 산업 발전 분야 투자 협력 기회 확대를 위한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베트남 과학기술부 정보기술산업부가 한국정보기술진흥원(NIPA)과 공동으로 9월 18일 서울에서 "인공지능 및 반도체 -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및 투자 기회"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컨퍼런스에서 응우옌칵릭(Nguyen Khac Lich) 베트남 정보기술진흥원장은 최근 베트남이 여러 중요한 정책을 발표하여 특히 반도체 및 인공지능 분야 첨단 제품 투자 및 개발을 위한 유리한 법적 통로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안정적인 정치·경제 환경과 점차 강화되는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베트남은 삼성, 앰코테크놀로지, 하나마이크론, 인텔, 시놉시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USI 일렉트로닉 등 세계 유수의 기술 기업들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정보기술산업부 관계자는 "이러한 기업들의 관심과 투자 자본은 베트남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칩 생산과 AI 애플리케이션 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경제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말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AI 및
(굿모닝베트남미디어) 파리 2025년 9월 19일 -- 화웨이(Huawei)가 19일 '바람을 타다(Ride the Wind)'라는 슬로건 아래 프랑스 수도 파리에서 '글로벌 혁신 제품 출시(Global Innovative Product Launch)'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무엇보다 하이패션(high-fashion)의 미학과 전문가 수준의 건강•피트니스 모니터링 기능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차세대 HUAWEI WATCH GT 6 시리즈와 함께 HUAWEI WATCH Ultimate 2와 HUAWEI WATCH D2의 화려한 데뷔로 주목을 받았다. 화웨이는 이 제품들과 함께 HUAWEI nova 14 시리즈, HUAWEI FreeBuds 7i, HUAWEI MatePad 12 X도 선보였다. 모두 탁월한 이미징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제품들이다. 화웨이는 또 '지금은 당신 것(Now Is Yours)'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을 발표하고, 'GoPaint 전 세계 창작 활동 2025(GoPaint Worldwide Creating Activity 2025)'를 시작했다. 이는 기술을 일상생활의 일부로 통합하고 전 세계인들이 다 함께 미래를 상상하도
베트남 증시가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VN-지수는 금요일 장을 1,659포인트 부근에서 마감하며 전일 대비 약 7포인트 하락했다. 유동성은 여전히 낮았지만, 빈그룹(Vingroup) 주가가 버팀목 역할을 했다. VN-지수는 장 초반 매수 주문 덕에 상승 출발했지만 곧 하락세로 전환했다. 오전장에서는 매수·매도세가 균형을 이루며 큰 폭의 하락은 없었으나, VN 30 종목군 중심으로 약세가 나타났다. 점심시간을 앞두고는 매도세가 확산되며 낙폭이 커졌다. 오후 들어서는 부동산 업종이 시장을 지탱하며 지수는 한때 기준선에 근접하기도 했다. 그러나 장 마감 동시호가(ATC)에서 매물이 대거 나오면서 결국 1,659선 아래로 밀렸다. 전체적으로 상승 종목은 133개, 하락 종목은 189개였다.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도 10개 있었으며, GEE와 QCG가 대표적이다. 업종별로는 은행·증권주가 하락을 주도한 반면, 부동산주는 지수 방어에 기여했다. 특히 빈그룹의 VIC 주가는 5.7% 급등해 주당 15만3,200동을 기록했고, 거래대금만 8,320억 동에 달했다. 이 외에도 NVL이 5.6% 오르며 부동산 업종 전반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다만 VHM, VCG, V
베트남 호찌민시가 한국의 첨단 기술 기업들과 과학기술, 혁신,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는 호찌민시가 2030년과 2045년까지 세계 100대 살기 좋은 도시로 도약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호찌민시 부위원장 쩐티디에우투이(Tran Thi Dieu Thuy)는 지난 월요일, 베트남-한국 기업인 및 투자 협회(VKBIA),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판교 테크노밸리 대표단과 만남을 가졌다. 경기도는 호찌민시와 자매 결연을 맺은 12개 한국 지방자치단체 중 하나로, 정보기술(IT), 생명공학, 문화기술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판교 테크노밸리를 보유하고 있다. 회의에서 투이 부위원장은 VKBIA의 베트남-한국 기업 연결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경기도 기업들의 호찌민시 진출을 환영했다. 그녀는 호찌민시의 비전과 개발 전략을 공유하며, 특히 과학기술, 혁신, 디지털 전환 분야를 강조했다. 투이 부위원장은 "이 개발 여정에서 국제 친구들, 특히 한국 기업들의 동반과 지원을 기대한다. 과학기술은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의 핵심 요소이자 혁신의 튼튼한 기반을 만드는 분야로, 도시가 항상 중시한다"고 역설했다. 판교 테크노밸리 대표들은 '한국판
베트남 여행객은 이제 중국, 싱가포르,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환전 없이 QR 코드로 결제할 수 있다. 베트남의 무현금 결제 플랫폼 Zalopay가 '국제 QR 스캔' 기능을 중국으로 공식 확대하여 아시아 6개국 네트워크를 완성했다. 이제 사용자들은 베트남 동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이전에 싱가포르,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출시되었다. 이 서비스를 통해 베트남 관광객과 출장객은 환전이나 국제 신용카드 등록 없이 Zalopay 앱에서 쇼핑센터, 관광지, 레스토랑, 상점 등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다. 결제 절차는 간단하다. 사용자는 Zalopay 앱을 열고 'QR 스캔' 기능을 선택한 후, 지역을 목적지 국가로 변경하고 판매 지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된다. Zalopay의 CEO인 레란찌는 이 기능을 중국으로 확대함으로써 베트남 사용자들이 어디에서나 더욱 편리하고 끊김 없는 결제 경험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신뢰할 수 있는 금융 파트너로서 우리의 역할을 강화하는 전략적 단계이며, 향후 더 많은 국가로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라고 그녀는 말했다. Zalopay는
롯데프라퍼티즈 호찌민시(주)는 투티엠 신도시 지역에서 진행되던 9억 달러 규모의 롯데 에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종료를 알리는 문서를 호찌민시 재무부에 제출했다고 지역 투자신문(인베스트)이 보도했다. 호찌민시 재무부는 2025년 8월 20일, 롯데그룹 계열사인 롯데프라퍼티즈 호찌민시(주)로부터 프로젝트 종료를 알리는 문서를 접수했으며 종료 사유를 밝히지 않았다고 했다. 당국은 투자법에 따라 투자자가 2020년 투자법 제48조 제1항 a목의 규정에 따라 투자 프로젝트를 종료하기로 결정할 경우, 투자법의 여러 조항 이행을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지침을 제공하는 2021년 3월 26일자 정부령 31/2021/ND-CP 제57조의 규정에 따라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당국은 현재까지 상기 조항에 따른 프로젝트 종료 관련 서류를 접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롯데프라퍼티즈 호찌민시(주)(Lotte Properties HCMC Co., Ltd.)는 관할 당국이 승인한 법적 문서에 따라 투티엠 신도시 2a 기능구역에서 투티엠 에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투자자이다. 롯데 에코 스마트 시티 복합단지 프로젝트는 2022년 9월 착공되었다.
(굿모닝베트남미디어) 댈러스 2025년 9월 19일 -- 공간 절약형 유산소 및 근력 운동 제품 분야의 선두 기업인 킹스미스(KingSmith)가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끝없는 여정(One Endless Journey)' 글로벌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 캠페인의 취지는 10년간의 혁신을 기념하고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향해 첫걸음을 내딛도록 장려하는 데 있다. 9월 한 달간 진행되는 이 캠페인은 새로운 TV 광고, 창립을 기념한 인기 제품 특별 할인,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유산소 및 근력 운동 습관을 공유할 수 있는 전용 온라인 메세지월(Message Wall)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노력을 종합해 보면 소박하지만, 꾸준한 행동이 어떻게 지속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난 10년간 킹스미스의 사명은 가정에서 더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었다"라고 킹스미스 부사장 닉(Nick)은 전했다. "'끝없는 여정'의 취지는 킹스미스가 이룬 발전을 기념하고 더 많은 사람이 건강한 삶을 향한 여정을 시작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nbs
베트남의 과일·채소 수출이 중국 시장에서 회복세를 보이며 '성장 엔진'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중국의 엄격한 식품 안전 기준 강화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기업들의 품질 관리와 적응력이 빛을 발휘한 덕분이다. 세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베트남의 대중 과일·채소 수출액은 6억7800만달러(약 9300억원)를 기록, 전월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올 들어 중국이 농약 잔류물, 중금속, 황산화물, 카드뮴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베트남 수출업계는 상반기 내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7월부터 생과일의 이산화황 농도 한도를 50ppm으로 제한하는 조치가 시행되면서 태국 등 경쟁국 수출이 타격을 입었다. 태국에서는 지난달 용안 과일 수십 개 컨테이너가 이산화황 초과로 반송되며 농원 가격이 30%나 폭락했다. 반면 베트남은 안정적인 품질 관리로 수출이 순조롭게 이어졌다. 산업무역부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어려움을 겪던 대중 수출은 하반기 들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해 1~8월 누적 수출액은 28억달러(약 3조906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9.3% 감소했으나 초기 하락 폭에 비해 크게 좁혀졌다. 중국은 베트남 과일·채소 전체 수출의 60% 가까운 비중을
안장성 호아록 망고 가격은 공급 감소와 높은 수요로 인해 연초 대비 1.5배 상승했다. 혼닷(안장성)에서 호아록 망고는 kg당 4만~6만 동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연초 및 2024년 같은 기간보다 약 1만 5천~2만 동 높은 가격dl다. 이 가격으로 농가들은 kg당 1만~2만 동을 벌 수 있지만, 생산량은 감소했다. 호아록 혼닷 망고 협동조합의 응우옌탄도(Nguyen Thanh Do) 이사는 올해 비수기 수확량이 폭우로 인한 착과율 저하로 약 20% 감소했으며, 아름다운 외관을 가진 망고는 거의 없다고 밝혔다. "현재 많은 가구가 설 명절에 꽃을 가공하느라 팔 망고가 없다. 시장 공급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오르고 있다."라고 그는 말했다. 안장의 또 다른 농부는 8월부터 10월까지 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완성된 망고 1kg당 35,000~40,000동(VND)에 달하는 반면 수확량은 적기 때문에 잘 관리된 텃밭에서만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날씨 요인 외에도 많은 가구가 잭프루트와 두리안 재배로 전환하면서 망고 재배 면적이 줄어드는 것도 품귀 현상에 한몫하고 있다. 호찌민시에서 호아록 망고의 소매가는 품종에 따라 1kg당 80,000동에
(굿모닝베트남미디어) 프놈펜, 캄보디아 2025년 9월 19일 -- 중국 인민은행(People's Bank of China)과 캄보디아 국립은행(National Bank of Cambodia)의 공동 관리 아래 양국 간 QR 결제 연동을 한층 확대한 유니온페이 인터내셔널(UnionPay International)의 성과가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중국 유니온페이 월렛을 통한 캄보디아 내 결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배가량 증가하며 양국 간 결제 협력이 크게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2023년 11월 중국과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해 QR 결제 연동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캄보디아 국가 QR 표준인 KHQR이 유니온페이 앱과 중국 주요 상업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을 포함한 세계 200여 개 유니온페이 월렛과 상호 운용이 가능해졌다. 2025년 3월부터는 캄보디아 국가 결제 시스템 바콩(Bakong)의 '바콩 앱' 사용자들이 전 세계 유니온페이 QR 네트워크 가맹점과 중국 본토의 위챗페이 QR 네트워크에서 QR 결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유니온페이가 동남아시아에서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