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12.6℃
  • 맑음대전 14.2℃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3.9℃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4.0℃
  • 맑음제주 17.1℃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2.7℃
  • 맑음금산 11.9℃
  • 맑음강진군 15.1℃
  • 맑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산업

미·중·네덜란드, 베트남 신발 최대 수입국

베트남의 신발 수출액이 1~8월 160억800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다. 미국, 중국, 네덜란드가 각각 10억 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베트남 관세청 예비 통계에 따르면, 8월 신발 수출은 전월 대비 9% 하락하고 2024년 8월 대비 4% 감소한 거의 20억 달러를 기록했다.

 

누적 기준으로 첫 8개월 동안 신발 수출은 160억8000만 달러를 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7.6% 상승했다.

 

미국은 여전히 최대 시장으로, 수입액이 60억7000만 달러를 초과해 베트남 총액의 37.8%를 차지하며 2024년 동기 대비 8.9% 증가했다. 네덜란드가 2위(11억7000만 달러 이상, 7.3%, 11.4% 증가), 중국이 뒤를 이었다(거의 11억2000만 달러, 7%, 15.1% 하락). 이 세 시장만 해도 베트남 공급업체로부터 신발을 수입하는 데 80억 달러 이상을 썼다.

 

10억 달러 미만의 다른 주요 시장으로는 일본(거의 8억300만 달러, 5%, 11.9% 증가), 벨기에(거의 7억9600만 달러, 4.95%, 3% 하락)가 있다.

 

베트남의 신발 수출은 대부분의 시장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성장세를 기록했다.

 

신발 산업은 자유무역협정(FTA)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수출을 가속화하고 특혜 관세 혜택을 누린 것으로 평가된다. 주목할 만한 FTA로는 EVFTA, UKVFTA, VKFTA, 특히 ASEAN-중국 FTA가 있다.

 

지난해 베트남의 전체 가죽·신발 수출은 271억2000만 달러로, 2023년 대비 12.9% 증가했으며 국가 총 수출의 6.7%를 차지했다. 이 중 신발만 229억 달러로 13% 증가해 84.3%를 구성했다. 한편 핸드백, 가방, 모자, 우산은 42억5000만 달러로 12.5% 상승했다.

 

미국 수출만 2024년 83억 달러로 15.7% 증가해 전체 신발 수출의 36.2%를 차지했다. EU가 2위로 57억 달러, 18.6% 증가해 25%를 차지했다. EU 내에서 벨기에(13억 달러, 9.5% 증가), 네덜란드(거의 17억 달러, 66.3% 증가), 독일(7억6760만 달러, 18.6% 하락)가 두드러졌다.

 

다른 시장으로는 중국(19억 달러, 2.3% 증가), 일본(11억 달러, 3.8% 증가), 영국(9억9540만 달러, 25.3% 증가), 한국(6억6040만 달러, 5.4% 증가), 캐나다(5억4270만 달러, 15.6% 증가), 멕시코(5억3890만 달러, 26.7% 증가), UAE(2억2040만 달러, 1.9% 증가)가 있다.

 

신발 재료 및 액세서리 수출의 경우 ASEAN 국가들이 베트남의 주요 시장이었다. 2024년 ASEAN으로의 수출액은 8억7300만 달러로 총액의 39.2%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24.3% 증가했다.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가 주요 목적지로, 각각 3억8300만 달러와 3억7200만 달러로 베트남의 ASEAN 신발 재료 수출 총액의 43.8%와 42.6%를 구성했다.

 

베트남은 현재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사코니, 브룩스 등 글로벌 브랜드의 주요 생산 기지다.

 

미국 스포츠웨어 거물 나이키의 2025 회계연도(5월 종료)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3회계연도 연속 나이키의 글로벌 최대 제조 기지로 남아 있다.

 

신발 생산에서 베트남은 나이키 총 생산량의 51%를 차지하며, 1년 전 50%에서 약간 증가했다. 인도네시아와 중국이 각각 28%와 17%로 뒤를 이었다. 나이키는 15개 계약 제조업체가 운영하는 11개국 97개 완제품 공장에서 신발을 공급받는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테크놀리지] 삼성,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폰 12월 5일 출시…가격 3000달러, 중국·싱가포르 등 한정 시장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 트라이폴드(3단 접이식) 스마트폰을 이르면 12월 초 선보일 전망이다. 고가 전략으로 기술력을 과시하며 애플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견제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포니어라(PhoneArena)는 한국 내 두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의 첫 트라이폴드폰(가칭 갤럭시 G 폴드)이 12월 5일 출시된다고 13일 보도했다. 삼성은 보통 12월 언팩드 행사를 열지 않지만, 이번에는 소규모 런칭 행사로 제품 특징·스펙·가격을 공개할 가능성이 크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갤럭시 G 폴드는 초기 중국·싱가포르·UAE·한국 등 한정 시장에서만 판매되며, 한국 내 가격은 약 440만 원(3000달러)으로 책정될 전망이다. 삼성의 초기 판매 목표는 2만~3만 대에 불과해 대량 생산보다는 기술 시연 목적이 강하다. 제품은 10월 말 서울 K-테크 쇼케이스에서 공개됐으며, 'G-타입' 디자인을 채택해 내측으로 접히는 구조로 내구성과 품질을 강조했다. 이는 화웨이 메이트 XT의 'S-타입' 외측 접이식과 차별화된다. 다만 시장 출시 전이어서 어느 방식이 우위인지 평가하기는 이르다. 접었을 때 6.5인치 스마트폰 크기, 펼쳤을 때 10인치 태블릿에 해당하며, 한국경제신문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