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베트남 소비 시장, '젊음'과 '디지털'로 무장한 새로운 물결

◆ 세대별 소비 및 유통 트렌드 분석: 동남아시아의 떠오르는 경제 강국 베트남이 젊은 인구와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새로운 소비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023년 총 소비 지출은 2,259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 성장했으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회복세를 넘어선 견고한 성장세로 평가된다. 특히 젊은 세대의 소비 주도와 디지털 결제 확산이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1억 인구 돌파, 젊은 생산 가능 인구가 소비 잠재력 견인 베트남은 2024년 기준 약 1억 1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15세부터 59세까지의 생산 가능 인구가 전체의 62.8%에 달한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젊고 활기찬 노동력과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1인당 GDP는 4,711달러로 아세안 5위 수준이지만, 꾸준한 소득 성장과 젊은 인구의 소비 의지가 맞물려 향후 소비 잠재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필수 지출 넘어 경험·서비스 소비 확대다 2023년 총 소비 지출 2,259억 달러 중 식품·음료가 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통 12%, 주거 11%가 그 뒤를 이었다. 주목할 점은 생활 필수 지출과 더불어 경험 및 서비스 지출이 모두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단순한 상품 구매를 넘어 삶의 질 향상과 개인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베이비부머부터 Z세대까지, 각기 다른 소비 패턴 베트남의 소비 시장은 세대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베이비부머(1946~64년생)는 안정과 전통, 건강식품을 중시하며, X세대(1965~80년생)는 가족과 실용성, 건강·웰빙 지출이 높다. 밀레니얼 세대(1981~96년생)는 교육, 여행, 신기술, 가치 소비를 지향한다. 특히 1997년 이후 출생한 Z세대는 디지털 친화적이며 패션, 경험, 자기표현에 강한 소비 성향을 보인다.

 

Z세대, 디지털과 경험을 소비하다 Z세대는 베트남 소비 시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온라인 플랫폼과 모바일 기기 사용에 능숙하다. 패션 트렌드에 민감하고, 단순한 소유보다는 특별한 경험과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소비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특성은 온라인 쇼핑과 소셜 미디어 기반의 소비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 QR 결제와 전자지갑, 젊은 세대의 선택: 베트남은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결제 수단 중 QR 결제가 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1위에 올랐고, 전자지갑이 31%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신용·직불카드 사용 또한 확산되는 추세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간편하고 빠른 디지털 결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 이는 베트남 소비 시장의 중요한 변화 중 하나로 꼽힌다.

 

◆ 2024년 전자상거래 시장 220억 달러 전망: 쇼피와 틱톡 강세 베트남의 온라인 쇼핑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19년 대비 4배 성장한 수치다. 플랫폼 점유율에서는 쇼피(Shopee)가 48%로 안정적인 1위를 지키고 있으며, 틱톡 샵(TikTok Shop)이 19%의 점유율로 급성장하며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신흥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의 전략은 고령층과 젊은 층 동시 공략, 경험·가치 소비 반영 필수다. 베트남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고령화되는 인구와 젊은 세대를 동시에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밀레니얼과 Z세대가 추구하는 경험과 가치 소비를 반영한 상품 기획이 중요하다. 단순히 저렴한 가격보다는 제품의 스토리, 브랜드 가치, 그리고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이다. 디지털 결제 및 온라인 플랫폼 최적화는 필수이다. 베트남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이해와 투자가 필수적이다.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고, 온라인 플랫폼에 최적화된 마케팅 및 유통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쇼피, 틱톡 샵과 같은 주요 온라인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시장 점유율 확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베트남 시장 진출 성공의 열쇠는 '세대 맞춤 + 디지털 중심 전략'에 있다. 젊고 역동적인 인구 구조와 빠르게 확산되는 디지털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는 기업만이 베트남의 거대한 소비 잠재력을 현실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한국무역협회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나라지식정보, K-헤리티지 AI 지식검색·문화콘텐츠 및 AX 본격화… 이스트소프트와 업무협약 체결
나라지식정보(대표 손영호)는 4일 AI 기반 지식검색 정보화와 문화 콘텐츠 영역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이스트소프트 본사에서 양사 대표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스트소프트는 AI 휴먼·AI 더빙·AI 키오스크·에이전트(앨런 LLM), 페르소에이아이(PERSO.ai) 등을 보유한 AI 서비스 전문 기업으로, 공공문화 콘텐츠 AX 사업 본격화를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AI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사업과 공공기관의 AX(인공지능 전환) 구축 및 정보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며 시너지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양사의 협력 사업은 이스트소프트의 △‘AI 휴먼’ △자동 더빙 솔루션 ‘AI 더빙’ △지능형 디바이스 ‘AI 키오스크’ △에이전트 서비스 ‘앨런LLM’과 나라지식정보의 △공공사업 분야 노하우 △문화 데이터베이스 △헤리티지 콘텐츠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나라지식정보는 ‘기록이 없으면 역사도 AI도 없다’는 모토 아래 국내 180여 기관 600여 건의 데이터 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AI OCR·RAG 지식검색 솔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