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2 (토)

  • 구름많음동두천 3.2℃
  • 구름조금강릉 3.5℃
  • 흐림서울 3.3℃
  • 맑음대전 0.9℃
  • 맑음대구 3.4℃
  • 맑음울산 1.8℃
  • 맑음광주 2.0℃
  • 맑음부산 3.0℃
  • 맑음고창 2.1℃
  • 흐림제주 6.0℃
  • 구름조금강화 3.9℃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1.1℃
  • 구름조금강진군 0.1℃
  • 맑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3.6℃
기상청 제공

건강과학

[코비드-19 백신] 백신은 체내에서 얼마나 오래 지속됩니까?

면역체계에 병원체를 인지하고 파괴하도록 지시한 뒤 백신 성분이 몸에서 단시간 내에 제거되고 바이러스를 막기 위한 면역반응만 남게 된다.

 

각국이 집단 면역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백신의 생물학적 효과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세계에서 가장 흔한 속설은 '백신 성분이 체내에 오래 남아 해를 끼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구의 일부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대해 주저하게 만든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백신이 단지 며칠 혹은 몇 주 안에 몸에서 제거될 것이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만이 오랫동안 남아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백신은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역할만 하며 나중에 병원균에 반응하는 법을 가르친다.

 

기술에 상관없이 모든 백신은 질병의 위험 없이 면역체계를 병원체에 노출시키는 기본 목표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는 보통 세포를 감염시키고 복제하는데 사용한다. 백신은 적절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이 과정을 모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백신은 또한 단백질이 생산되는 세포로 이동하여 바이러스의 구성 요소로서 "위장"해야 한다.

 

모든 백신은 이 원리를 따르고 근육 내 주입으로 바이러스 정보를 제공하지만 작용 메커니즘이 다르다. 화이자와 모더나처럼 mRNA 기술을 사용하는 반면,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다.

 

어떤 기술을 사용하든 효과는 동일하다. 세포는 백신의 유전자 주형을 사용하여 nCoV의 S 단백질(바이러스가 체내로 들어가는 것을 돕는 구성요소)을 만든다. 단백질 S는 세포 표면으로 이동하여 면역 체계에 의해 감지된다. 특수면역세포도 S단백질을 흡수해 다른 세포에 알리고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기제를 만든다.

 

일단 면역반응이 자극되면 백신 자체가 몸에서 빠르게 제거된다. 백신 mRNA는 단백질 S의 유전자 공식인 mRNA 요소 그룹을 감싸는 지방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이 세포에 들어갈 때, 외피는 무해한 지방으로 분해되고, mRNA는 단백질 S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세포에 의해 운반된다. 일단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mRNA가 사용되면, 그것은 분해되고 세포에서 제거된다.

사실, mRNA는 매우 깨지기 쉬운데, 가장 안정적인 형태는 며칠밖에 지속되지 않는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극저온 보관이 필요한 이유다.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 등 벡터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무해한 독감 바이러스)를 벡터로 활용해 S단백질의 유전자 주형을 세포에 전달한다. 벡터바이러스는 감염 성분이 모두 제거돼 복제도, 질병도 일으킬 수 없다. 바이러스 벡터는 세포에 결합하고 면역체계가 병원균을 인지할 수 있도록 유전적 구성요소를 제공한 다음 스스로를 제거한다.

 

따라서 백신은 정상인의 DNA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다.

 

백신에 의해 생성된 S 단백질은 면역계가 이를 이물질로 식별해 파괴하고 이 과정에서 세포가 바이러스를 인식하도록 지시한다. S 단백질은 또한 몇 주 후에 몸에서 완전히 제거된다. 이 기간 동안 그들은 종종 주사 부위, 즉 이두근에 지속된다.

 

그러나 면역 체계에서 생성된 항체는 주사 후 수개월 동안 체내에 남아 있습다. 백신은 또한 기억 면역 세포의 생산을 자극한다. 이는 항체 수치가 떨어지더라도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처리하기 위해 더 많은 항체와 세포를 생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차 접종 6개월 후 65세 이상 및 특정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 화이자 백신을 승인했다.

-GMK미디어(CNA)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