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굿모닝베트남미디어

[두산비나] 제마뎁트(Gemadept)용 '슈퍼' 크레인 6종 주문 생산 완료

사정거리가 70미터까지 되는 초대형 크레인들이며 대형 모선에서 65톤 화물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수 있다.

두산비나(꽝아이성 둥꿕 경제특구)가 14개월 이상 제조 끝에 제마뎁트 고객사 CMA CGM에 대한 제마링크(Gemalink)프로젝트하에 STS(Ship-To-Shore) 크레인 6종 수주 생산을 막 마쳤다.

제마링크 프로젝트는 높이 93m, 길이 150m, 폭 27m, 무게 1700톤/단위 이상 대형 RMQC 크레인 6종 등 총 1만200t톤이상 규모로 2019년 5월 17일 사인됐다.

 

윤영상 크레인조립본부장은 "이번 설계로 우리 크레인들은 해상 70m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최대 20만DWT급까지 모선에서 20피트 컨테이너 2개와 벌크 화물과 65톤, 85톤의 프로젝트 화물를 들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 6개 크레인은 3차례에 걸쳐 고객에게 인도됐다. 2020년 2월과 9월에 그리고 11월이 이 사업의 마지막 2개 기종이다. 3일간의 선박 수송과 갑판 보강 작업을 거쳐 27일 오전 크레인 5, 6호 2대가 두산비나를 출발해 11월 29일 제마링크 항구(바리아붕따우성의 까이맵티바이 항구 클러스터에 위치)에 도착할 것이다.

 

현재 1·2호 크레인은 2020년 9월 28일부터 사용 중이며, 3·4호 크레인은 이제 막 FAS(최종 합격증) 단계를 마치고 고객에게 인계하기 위해 시험공정 중이다. 이들 6개 크레인들이 상용화되면 제마링크 포트는 연간 150만TEU 이상의 1단계 처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 대량의 주문이 완료는 다시 한번 베트남 인력의 기술력과 기술수준을 다시 한 번 입증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생산되어 공급된 크레인 총수는 89대이다. 물동량이 많은 PSA상업항구(싱가포르)에 39척, JNPT와 BMCTPL(인도)에 23척, SGP(사우디아라비아)에 8척, 사마린다(인도네시아)에 7척, 다낭항, 사이공 신항, 응이손 정유석유화학공장항구, 제링크항구 등 베트남에서 12척의 크레인이 운영되고 있다.

-투자온라인제공


베트남

더보기
[정치] 또럼 서기장 방한: 과학기술 협력 기회 열어
응우옌민부 외교부 차관은 또럼 서기장의 방한을 통해 과학기술 혁신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서기장 부부는 이재명 대통령 부부의 초청으로 8월 10일부터 13일까지 대한민국을 국빈 방문한다. 또럼 서기장은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번째 외국 방문이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국빈 방문이다. 응우옌민부 외교부 차관은 인터뷰에서 "한국 측은 또럼 서기장을 첫 번째 '국빈'으로 초청했으며, 이는 베트남과의 관계뿐 아니라 서기장 개인에게도 중요성을 부여하는 한국 측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부 차관은 베트남과 한국이 정치, 안보-국방, 경제, 무역, 투자, 관광, 노동, 인적 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서로에게 중요한 파트너임을 강조했다. 이번 방문은 양측이 실질적이고 포괄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방향과 조치를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부 차관은 서기장 부부의 방한이 큰 성공을 거두어 양국 간 정치적 신뢰 강화와 실질적 협력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부 차관은 이번 방문의 중요성에 대해 "이번 방문은 과학기술, 혁신, 반도체를 포함한 디지털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빛의 벙커, 장민승 작가의 ‘서귀’展 선봬… 제주에서 바라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국내 최초 몰입형 복합문화예술 공간 ‘빛의 벙커’가 장민승 작가, 정재일 음악감독과 함께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신작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선보인다. 제주 성산에 위치한 빛의 벙커는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오는 8월 1일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제주의 자연과 신앙, 그리고 존재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제주콘텐츠진흥원의 2024~2025년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으며, 티모넷이 기획·제작을 맡았다. ‘서귀’는 총 16분 20초 분량의 파노라마 멀티채널 영상으로 구성되며,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오름, 문섬, 엉또폭포 등 제주의 지형과 영등굿, 동자석, 살장, 기메 같은 제의적 상징을 결합한다. 여섯 개의 시퀀스를 따라 물, 바람, 눈, 흙, 불, 그리고 다시 물로 회귀하는 여정을 그려낸다. 관객은 영상 속에서 한 편의 장례이자 탄생의식을 통과하며, 자연과 인간의 순환성에 감각적으로 몰입하게 된다. 제목 ‘서귀(西歸)’는 ‘서쪽으로 돌아감’, 즉 죽음을 은유하는 한자어로 제주 신앙에서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을 의미한다. 부제 ‘수취인불명’은 끝내 전해지지 못한 감정의 잔향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