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베트남브리핑] 베트남의 전력 부족: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정부 대응

1. 서론

 

베트남은 빠른 경제 성장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공급 능력을 초과하며 전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산업 생산과 정부의 중국+1 전략 하에서 글로벌 제조업 가치사슬 상향이라는 장기 목표를 위협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베트남의 전력 부족 원인, 제조업에 미친 영향, 기업 및 정부의 대응 전략, 그리고 향후 전망을 분석한다.

 

 

2. 전력 부족의 원인

 

베트남의 전력 수요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5년 전력 수요는 2024년 대비 10.5~13% 증가 할 것으로예상되며, 이는 약 2,200~2,500 MW의 추가 용량을 요구한다. GDP 1% 증가 시 전력 수요는 약 1.5% 증가하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2026~2030년에는 연간 12~15%의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공급 개발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 노후 석탄 발전소: kWh당 연료 소모가 많고, 피크 수요 시 고장이 빈번하다.
  • 수력 발전 의존도: 설치 용량의 약 29%가 수력 발전으로, 가뭄과 저수지 수위 변동에 취약하다.
  • 프로젝트 지연: 2021~2023년 계획된 북부 지역 신규 용량 10,800MW 중 3,160MW만 추가되었다.
  • 송전 병목 현상: 남북으로 긴 지형으로 인해 남부 잉여 전력을 북부 부족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3. 제조업에 미친 영향

 

전력 부족은 박닌(Bac Ninh)과 박장(Bac Giang)과 같은 산업 중심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삼성전자, 폭스콘, 캐논, 럭스셰어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의 공장이 위치해 있으며,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 캐논 공장은 월요일 오전 8시부터 화요일 오전 5시까지 21시간 정전으로 5개 산업단지가 영향을 받았다.
  • 폭스콘은 북부 조립 공장에서 전력 사용을 30% 감축했으며, 박장 공장은 오후 5시~오전 7시 45분 사이 운영을 제한했다.
  • 세계은행은 2023년 전력 위기로 14억 달러(베트남 GDP의 0.3%) 손실이 발생했다고 추정했다.
  • 반도체 생산은 전력 집약적 특성상 특히 취약하며, 칩 제조 공장은 연구 및 직원 교육에도 차질을 겪고 있다.

 

4. 기업의 대응

 

11,000개 이상의 기업이 국영 전력회사 EVN의 “수요 반응(Demand Response)” 프로그램에 참여해 피크 시간대 전력 사용을 줄이고 있다:

 

  • 에너지 집약 기업은 피크 시간대 소비를 25~30% 줄였다.
  • 비피크 시간대 운영으로 전기 요금을 약 15% 절감했다.
  • 에어컨 온도를 높이고, 중한 작업을 야간으로 조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5. 정부의 대응 전략

 

정부는 2023년 롤링 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

 

  • 송전망 업그레이드: 2024년 8월, 8억 7,600만 달러 규모의 500kV 서킷-3 송전선(광짜흐~포노이, 519km)이 완공되어 중부에서 북부로의 송전 용량을 2,500MW에서 5,000MW로 두 배 늘렸다.
  • 직접 전력 구매 계약(DPPA): 2025년 3월 법령 57/2025/ND-CP를 통해 월 200,000kWh 이상 소비 기업이 10MW 이상 재생 가능 프로젝트에서 직접 전력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민간 회선 또는 국가 송전망 연결 모델).
  •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제8차 전력 개발 계획(PDP8)에 따라 2030년까지 총 발전 용량을 2023년 80GW에서 236GW로, 2050년에는 840GW로 확대한다:
    • 태양광: 2030년까지 73GW(기존 목표 12.8GW).
    • 육상 풍력: 2030년까지 38GW.
    • 석탄 비중: 2030년 17%, 2050년 완전 단계적 폐지.
    • 재생 가능 에너지(수력 제외): 2030년 28~36%, 2050년 75%.
  • 국제 약속: COP26에서 2035년 배출 정점, 2040년 석탄 단계적 감축, 2050년 탄소 중립을 약속했다.
  • 전력 수입: 2030년까지 중국에서 3,700MW, 라오스에서 6,800MW 수입(현재 700MW, 4,200MW). 2024년까지 50억 kWh 수입 완료.

 

6. 재생 가능 에너지 프로젝트 및 일자리 창출

 

재생 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은 노동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 전력 부문은 약 30만 명을 고용하며, 2035년까지 50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니다:

  • 후옹린 4 풍력 발전소(꽝찌, 2025년 1월 가동): 30MW, 연간 90,000MWh 생산, 약 48,000가구에 전력 공급.
  • 몬순 풍력 프로젝트(라오스, 2025년 8월 가동): 600MW, 동남아 최대 풍력 발전소로 베트남에 전력 수출.
  •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소(2025년 5월 가동): 20MW.
  • 엔비전 남포 풍력 발전소(디엔비엔, 건설 중): 300MW, 2026년 12월 완공 예정.
  • 꽝찌 확장 계획: 2,300MW(육상 풍력 1,800MW, 해상 풍력 500MW).
  • 첫 해상 풍력 프로젝트: 2025년 말 건설 시작 예정, 지역별 상한 요금은 북부 3,975.1 동/kWh(0.15달러), 남부 3,868.5 동/kWh(0.15달러), 남중부 3,078.9 동/kWh(0.12달러).

 

7. 수입 지원 인프라

 

전력 수입을 지원하기 위해 프랑스 개발은행 AFD로부터 7,650만 달러 대출을 받아 빈증(Binh Duong)과 동나이(Dong Nai)에 500kV 변전소를 건설 중이다.

 

8. 도전 과제 및 향후 전망

 

베트남 정부는 단기 공급 안정화와 DPPA 및 국제 협력과 같은 장기 개혁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성공은 다음 요인에 달려 있다:

  • 정책 실행: 과거 재생 가능 요금 분쟁으로 불안정성이 초래된 바, 예측 가능한 가격 프레임워크가 필요
  • 산업 요구: 제조업체는 안정적인 계약 체결을 요구
  • 인력 전환: 화석 연료 근로자의 재생 가능 에너지 직업 전환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
  • 투자 필요: PDP8은 2030년까지 1,363억 달러 투자를 요구

 

9. 결론

베트남의 전력 부족은 제조업과 경제 성장에 심각한 위협이지만,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해결 가능성이 있다. 송전망 개선,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 DPPA 도입, 국제 협력은 장기 에너지 안보를 위한 핵심 전략이다. 성공적인 실행과 투자 유치, 인력 전환이 이루어진다면, 베트남은 제조업 허브로서의 입지를 유지하며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 실리콘밸리에서 GPU 효율화 솔루션으로 주목새 창으로 메일 보기
분산형 GPU AI 클라우드 스타트업 에이아이브(대표 박세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추진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GMEP)에 선정돼 참여한 미국 실리콘밸리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Tech Center)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에이아이브는 전 세계 GPU 에지 노드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연결하는 분산형 인프라 기술 ‘에어클라우드(Air Cloud)’를 개발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센터의 고비용·고전력 구조를 개선하고 AI 추론에 필요한 인프라를 누구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플러그앤플레이는 페이팔과 드롭박스를 배출한 세계 최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며, GMEP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 PoC, 투자 유치, 사업화를 지원하는 국가 프로그램이다. 에이아이브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실리콘밸리 현지에서 다수의 글로벌 VC 및 AI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하며, Air Cloud의 기술력과 성장 비전을 소개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현지 기업들과 PoC 및 공동 사업화 논의를 시작했으며, 국내외 기관들과의 투자 및 파트너십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에이아이브는 Air Clou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