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성장하는 인프라와 강력한 수요로 인해 전문가들은 베트남이 향후 5년 내에 항공 화물 허브가 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이 발언은 8월 1일 오후 제3회 베트남 국제 물류 전시회(VILOG 2025)의 틀 내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ITL 그룹의 벤 안 CEO가 한 말이다.
"베트남은 5년, 빠르면 3년 내에 항공 화물 허브가 될 수 있다."라고 그는 예측했다. ITL은 22개 이상의 항공사를 대표하는 통합 물류 솔루션 제공업체로 주당 300편 이상의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지난달 tlacSEA Connect 공급망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베트남이 지역 물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항공 운송은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역할에서 '허브'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벤 안 CEO는 '허브'가 더 빠르고 명확해질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원동력은 인프라와 교통 수요의 동시 가속화다. 7월 31일 회의에서 팜민찐 총리는 롱탄 공항 프로젝트가 2026년 공식 운영을 위해 올해 기본적으로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부에서는 건설부가 2030년까지 연간 160만 톤의 화물 수송 능력을 갖추고 2050년까지 250만 톤으로 증가하는 자빈 국제공항 계획 조정을 승인하는 결정을 내렸다.
"롱탄과 자빈은 모두 인접한 물류 단지를 갖게 된다. 정부는 인프라를 개발하기로 결심했으며 공항과 산업단지 및 항구 간의 도로 연결이 완료되고 있다."라고 벤 안은 지적했다.
두 번째 원동력은 베트남이 주요 제조 기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어 화물 운송 수요가 높다는 점이다. 베트남의 항공화물 물동량은 연간 120만 톤에 달해 말레이시아(90만 톤), 필리핀(60만 톤)을 넘어섰으며, 두 자릿수 성장률에 힘입어 향후 2년 내 태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한다.
베트남 민간항공청의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첫 6개월 동안 화물 운송량은 총 695,700톤으로 2024년 같은 기간보다 14.6% 증가했다. 국제 화물 시장만 해도 17.7% 증가한 58만 톤에 달했다.
벤 안 CEO는 자빈 공항은 최초의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는 북쪽의 항공화물 수요가 남쪽에 비해 65%를 차지할 정도로 더 높고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곳은 항공 운송 수요가 많은 전자 및 첨단 기술 공장이 밀집해 있는 곳이다.
그러나 항공 화물 허브가 되려면 인프라와 수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공항은 또한 광범위한 항공사 네트워크를 포함한 연결성을 갖추고 많은 항공사의 운영 기반이 있어야 한다.
동시에 항공 물류 센터는 개방형 하늘 정책과 우호적인 대중교통 정책, 신속한 통관 절차, 자유무역 환경을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국제 상품의 원활한 입출항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항공사, 창고 운영자, 세관, 운송업체와 같은 물류 체인의 구성 요소를 동기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도 중요하다. 지상 물품의 처리는 매우 효율적이고 정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전자상거래, 전자 부품, 헬스케어와 같이 속도가 필요한 고가품의 경우 더욱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인천(대한민국)은 첨단 제조업 기반 덕분에 물류, 생산 및 연구, 민관 협력에 유리한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전형적인 '허브'이다. 이곳은 세계 3대 항공화물 운송업체인 대한항공의 거점이기도 하다.
또는 홍콩은 개방적이고 우호적인 정책, 현대적인 인프라, 효율적인 화물 처리 절차 덕분에 성공할 수 있다. 이 특별행정구는 세계 최고의 제조 및 소비 중심지인 중국의 대도시권 인근에 위치해 있어 혜택을 누리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는 넓은 제조업 기반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개방형 하늘 정책, 우수한 연결성 인프라, 우호적인 세관 및 대중교통 정책 덕분에 여전히 항공 허브다. "화물 빌리지" 생태계와 창이 항공 화물 커뮤니티 시스템(CACC)과 같은 강력한 디지털 플랫폼은 이해관계자 간의 연결을 동기화한다.
베트남 민간항공청은 "2024~2030년 베트남 민간항공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디지털 전환" 계획에서, 이 산업이 ASEAN 최고 그룹과 동등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고, 이 지역과 동등한 수준의 승객 및 화물 운송 센터 3개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트남은 후발주자로서 성공적인 모델을 통해 학습하고 친환경 및 디지털 솔루션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벤 안은 개선이 필요한 두 가지 문제는 보다 개방적이고 우호적인 세관 및 물품 입출국 운송 정책이라고 말했다. "또한 베트남에는 전문 화물 항공사가 없다. 이는 큰 병목 현상이다."라고 그는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