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업

삼성 휴대폰 제조사 1위 타이틀 차지

중국에서의 도전으로 애플은 시장 점유율 17.3%로 2위로 내려앉아 5,510만대의 아이폰을 출하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5,540만 대보다 감소했다.

 

리서치 회사 IDC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애플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안드로이드폰 제조업체들의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에 영향을 받아 약 10% 감소했다.

 

지난 분기 전 세계 휴대폰 총 출하량은 2억8,940만대로 7.8%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가운데 삼성전자가 20.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애플의 손에 주도적인 휴대폰 제조사 자리를 꿰찼다.

 

애플의 이 같은 판매량 감소는 애플이 지난해 말 삼성을 제치고 세계 1위 휴대폰 제조사로 올라선 직후 이뤄졌다. 이제 애플은 중국 브랜드, 특히 화웨이가 사용자들에게 점점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점유율 17.3%로 2위로 돌아섰다.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하나인 샤오미는 2024년 1분기 시장 점유율 14.1%로 3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최신 스마트폰 라인인 갤럭시S24 시리즈를 출시하고 이 기간 동안 6천만 대 이상을 출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터 제공업체 카운터포인트는 갤럭시S24 모델의 글로벌 판매량이 판매 첫 3주 동안 갤럭시S23 시리즈에 비해 8% 증가했다고 밝혔다.

 

IDC에 따르면 1분기 애플의 아이폰 출하량은 5010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540만대보다 감소했다. 애플의 중국 내 휴대폰 판매량도 2023년 마지막 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는 애플이 현재 중국 시장에서 직면한 도전을 강조한다. 다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일부 중국 회사와 정부 기관은 보안상의 이유로 직원들이 애플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했다.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그리고 다른 기기들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발표할 세계 개발자 회의를 6월에 개최할 것이다. 이 행사에서, 많은 사용자들과 투자자들은 애플이 지금까지 기기들에 인공지능 기술을 통합하는 것에 대해 많이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공지능 기술의 새로운 발전을 발표하기를 희망한다. 

 

애플은 올해 초 OpenAI의 전략적 파트너인 마이크로소프트에게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의 타이틀을 빼앗겼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웹케시, SK쉴더스와 고객 기반 확대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B2B 금융 AI 에이전트 기업 웹케시(대표 강원주)는 국내 대표 사이버보안 기업 SK쉴더스(대표 민기식)와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9일 열린 협약식은 서울 영등포구 웹케시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강원주 웹케시 대표와 김병무 SK쉴더스 사이버보안부문장(부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웹케시와 SK쉴더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 마케팅 및 프로모션 △기업 규모별 맞춤형 보안 서비스 공급 △추가 협업 과제 발굴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양사는 첫 단계로 웹케시의 경리업무 자동화 솔루션 ‘AI경리나라’의 4만여 중소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SK쉴더스의 구독형 보안 서비스 ‘사이버가드’를 부가상품 형태로 공급한다. 고객은 AI경리나라 홈페이지 내 스토어를 통해 보안 서비스를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 향후 두 회사는 대·중견기업 고객에게도 각 사 대표 솔루션을 맞춤 제공하며 협력 범위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웹케시는 SK쉴더스의 보안 서비스를 보다 합리적인 구성과 가격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사 금융 솔루션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