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스타트업] 베트남 10개 기업 '신흥 스타트업' 선정

프로지(Propzy), 센도, 쿨메이트, 로지... KPMG & HSBC는 "유니콘"이 되기 위한 혁신적이고, 빠르게 성장하고, 야심찬 스타트업으로 평가했다.

 

KPMG & HSBC가 창의성, 빠른 성장, 영향력, 그리고 '유니콘'이 되겠다는 야망 등의 기준을 바탕으로 베트남 스타트업 시장의 '신흥 거인' 상위 10명의 명단을 방금 발표했다. 계산에 따르면 이 상위 10위권의 총 가치는 약 3억달러이다.

 

번호 스타트업 사업분야
1 Propzy Real estate technology
2 Sipher Blockchain, FinTech, Gaming
3 Sendo Ecommerce
4 Jio Health Digital Health
5 Cleval Educational technology
6 CoolMate E-commerce about fashion
7 Eve HR HR Technology
8 Lozi E-commerce, delivery
9 FUN FinTech
10 HomeBase Real estate technology

 

현재 베트남에는 VNG, VNLife, MoMo, SkyMavis 등 4개의 "유니콘"(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이 있다. 조사 대상 12개국(중국·인도·일본·호주·싱가포르·한국·홍콩·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베트남·대만·태국 포함)의 '신흥 거인' 상위 10개국과 비교하면 베트남의 총 가치는 최하위권이다.

 

중국이 50억달러로 선두를 달리고 있고, 동남아 주변국 중 상위 10개국은 4억3천만달러에서 32억 달러에 이르는 가치를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보고서는 베트남이 코로나 19 확산 2년 만에 기술 관련 스타트업이 1400개가 더 생겨났다고도 밝혔다. 잔염병 전에, 이 숫자는 1600개였다.

 

그 숫자와 함께 베트남 스타트업으로의 자본 유입도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쳤던 시기에 급격히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가 등장한 2020년 스타트업에는 총 3억1천만달러가 쏟아졌는데, 이는 2019년 3억3천만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021년 유행이 최고조에 달했던 해까지 스타트업 시장은 총 11억달러 가까운 자금이 유입됐다. 특히 2022년 1분기에는 베트남 스타트업이 9200만달러의 투자 자본을 유치했다고 보고서는 기록했다.

 

동남아 상장국 중 베트남 스타트업이 유치한 자본 규모는 인도네시아(108억달러)와 싱가포르(85억달러)에 두지지만 말레이시아(5억3200만달러)와 태국(4억4400만 달러)보다는 많다.

 

HSBC 베트남 총괄 이사인 팀 에반스에 따르면, 베트남은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와 같은 나라들을 따라잡기에 가까운 스타트업 허브로 부상했다고 한다.

 

젊고 역동적이며 교육을 받은 인구, 높은 인터넷 커버리지와 스마트폰 사용, 정부 지원으로 베트남은 매력적인 여행지로서의 위치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그는 "투자자와 기술 기업 모두와 함께 이 나라를 잠재적 유니콘의 개발 요람으로 만들고 있다"고 전망했다.

 

KPMG 베트남 민간기업의 응우엔쭝끼엔 이사는 스타트업으로의 자본 유입의 대부분은 싱가포르로 주도로 아시아에서 왔다고 말했다. 다음은 한국, 중국, 홍콩, 일본의 투자자들이다.

 

자본의 대부분은 국내 시장에 집중하는 기업들에게 돌아간다. 국내 수요는 통합, 지역 확장 또는 국제화 전략이 마련되기 전까지 앞으로 2~3년 동안 강세를 유지할 것이다."라고 끼엔은 말했다.

 

K비전 펀드의 베트남 스타트업 커뮤니티 이사이자 투자 대표인 장쩐민탄은 Vn익스프레스에 베트남 스타트업이 코비드19 시즌 동안 수량과 자본 유치권 측면에서 번창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언급하면서 동남아시아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 베트남이 투자 '황금 기회' 국가로 여겨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를 위한 자본 유입이 매우 많아 창업기업이 늘어나 자본유치가 용이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재 베트남은 디지털 전환과 기술 적응률에서도 이 지역을 선도하고 있다. 따라서 스타트업들이 시장을 갖는 것이 더 쉽다"라고 민탄은 말했다.

 

그에 따르면 유행성기에 탄생한 스타트업들은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환이라는 공통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에드테크는 일반 교육 프로그램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가르친다. 한편, 헬스케어는 원격의료 지원 솔루션(Telepresence)에 주력하고 있다. 핀테크는 바이 나우 페이 레이터, 중소기업 대출(상인대출) 등의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빛의 벙커, 장민승 작가의 ‘서귀’展 선봬… 제주에서 바라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국내 최초 몰입형 복합문화예술 공간 ‘빛의 벙커’가 장민승 작가, 정재일 음악감독과 함께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신작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선보인다. 제주 성산에 위치한 빛의 벙커는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오는 8월 1일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제주의 자연과 신앙, 그리고 존재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제주콘텐츠진흥원의 2024~2025년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으며, 티모넷이 기획·제작을 맡았다. ‘서귀’는 총 16분 20초 분량의 파노라마 멀티채널 영상으로 구성되며,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오름, 문섬, 엉또폭포 등 제주의 지형과 영등굿, 동자석, 살장, 기메 같은 제의적 상징을 결합한다. 여섯 개의 시퀀스를 따라 물, 바람, 눈, 흙, 불, 그리고 다시 물로 회귀하는 여정을 그려낸다. 관객은 영상 속에서 한 편의 장례이자 탄생의식을 통과하며, 자연과 인간의 순환성에 감각적으로 몰입하게 된다. 제목 ‘서귀(西歸)’는 ‘서쪽으로 돌아감’, 즉 죽음을 은유하는 한자어로 제주 신앙에서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을 의미한다. 부제 ‘수취인불명’은 끝내 전해지지 못한 감정의 잔향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