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해수면이 1cm씩 상승하는 가운데, 호찌민시의 평균 지반 침하율은 2~5cm로, 지반이 약한 저지대 지역이 "점진적으로 가라앉고 있다".
3,000m² 규모의 안락구 문화체육센터(구 빈떤구) 담장 기슭 주변에는 지반 침하로 인해 지면과 20cm 정도의 틈이 생겼다. 무술 도장에는 세라믹 타일이 많이 가라앉아 있고, 배드민턴장과 농구장에는 긴 균열이 많다. 일부 주택 기둥에는 어른 손바닥 너비만큼 수평으로 균열이 나 있다.
마찬가지로, 500m 떨어진 같은 구 레꼬 거리 골목길에 있는 여러 가구의 집들도 기초와 벽에 균열이 생겼다. 쩐 레 도 쑤언 쫑 씨는 자신의 가족이 사는 3층 집의 기초가 수년 동안 가라앉아 왔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주방 바닥이 가라앉아 손상되었고, 이후 다른 방으로 번졌다. 지난 5년 동안 그의 가족은 기초를 올리고 여러 번 수리했지만, 이제는 벽의 균열이 더 길어졌다.
"집을 지을 때 이 지역의 지반이 약하다는 것을 알고 기초를 많이 보강했지만, 여전히 바닥이 가라앉고 벽에는 균열이 생긴다."라고 쫑 씨는 말했다.
쫑 씨의 집과 안락구 문화체육센터는 호찌민시의 지반 침하로 피해를 입은 건축물이다. 남부수자원계획조사연맹(DWRPIS) 자료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안락구의 누적 침하량은 81cm로 호찌민시 지역 중 가장 높았으며, 이는 호찌민시의 전체 침하량인 23cm보다 훨씬 높다.
지속가능개발연구소(자연자원환경대학교) 소장인 레 쭝 쫀 부교수와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호찌민시의 지반 침하 상황은 10년 이상 지속되어 왔으며 현재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호찌민시의 지반 침하율은 연평균 2~5cm였다. 지질이 약하거나 상업용 건물이 밀집된 지역은 연평균 7~8cm까지 침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교의 셰릴 테이(Cheryl Tay)와 동료들이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및 스위스 연방공과대학(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수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호찌민시는 해수면 상승 속도보다 더 빠르게 침하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연구진은 위성 레이더를 사용하여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48개 해안 도시의 침하율을 측정했다. 이 중 44개 도시에서 가장 빠르게 침하하는 지역은 해수면 상승보다 더 빠르게 침하하고 있다.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도시들이 가장 많이 침하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중국 톈진과 인도 아메다바드의 일부 지역은 연간 2cm 이상 빠르게 침하하고 있는 반면, 호찌민시는 연간 평균 1.62cm씩 침하하고 있다.
전문가 그룹은 호치민시의 상황을 조사한 결과, 현재의 침하 속도가 2030년까지 지속된다면 추가로 20제곱킬로미터가 해수면 아래로 잠기고 침수될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8월 말, 레 쭝 쫀(Le Trung Chon) 부교수 연구팀이 InSAR 기법을 이용하여 2015년부터 현재까지 호찌민시의 침하율을 분석한 결과, 빨간색 영역이 침하 속도가 빠른 지역이다.
레 쭝 촌 부교수는 침하 원인에 대해 호찌민시는 약한 지질 기반, 특히 쉽게 압축되는 젊은 홀로세 퇴적층에 위치해 있다고 설명했다. 지하수의 과도한 개발이 주요 원인으로, 토양의 공극압을 낮춰 다짐을 유발한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건설 공사 증가는 약한 지반에 가해지는 정하중을 증가시키고, 교통량 증가로 인한 하중과 결합하여 침하를 더욱 심화시킨다.
레 쭝 쫀 부교수는 시 당국이 계획, 설계 및 공사 유지 관리의 전체 과정에서 침하 데이터를 필수 입력 자료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침하는 인간의 영향과 결합된 자연 현상이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데이터 과학과 적극적으로 "공존"해야 한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즉각적인 해결책은 5~10년간의 상세한 침하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사회와 투자자들에게 데이터를 공개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지역이 빠르게 침하되는지 알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고, 정부는 현실에 맞춰 인프라 계획 및 홍수 예방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 7구 지역의 지반 침하가 1.5m였지만 매년 평균 5cm씩 침하되었다면, 10년 후에는 1m 정도만 낮아질 것이다. 이러한 정보만으로도 기술적 문제와 건설 비용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라고 쫀 씨는 말했다.
베이징과 도쿄 등 많은 도시들이 건설 허가 및 지반 안정성 예측을 위한 기준으로 지반 침하 지도를 활용하여 건설 위험과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있다. 호찌민시의 경우, 이러한 데이터를 계획에 통합함으로써 도시가 인프라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며 "자연과 조화로운 삶"이라는 철학에 따라 도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호치민시 국립대학교 물관리기후변화센터 전 소장인 호롱피 부교수 박사는 홍수 피해 극복에 집중하는 것 외에도 장기적인 적응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도시는 우기와 만조 시 물을 선제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제방, 하천 제방, 조수 수문, 대용량 양수장 건설 등 홍수 조절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홍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물을 고르게 저장하고 분산시키는 조절 호수와 준설 수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합니다.
피 씨는 장기적인 해결책과 함께 호치민시는 미완성 프로젝트, 특히 90% 이상 완료된 약 10조 동 규모의 조수 방벽 사업을 완료하기 위해 당장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가 가동되면 도심과 저지대이며 다른 지역보다 지질 구조가 취약한 남부 지역의 홍수 조절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호치민시 정부는 기후 변화와 홍수의 복잡성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2040년까지의 총괄 계획과 2060년까지의 비전 수립 과정에서 기존 인프라를 활성화하고 신규 공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홍수 방지층, 적응층, 피해 저감층 등 3단계의 홍수 방지 체계를 구축했다.
방호층은 제방, 호안, 도로, 조수 암거, 만조, 해수면 상승, 홍수 방류량 조절을 위한 홍수 조절 통로 등 견고한 인프라 솔루션에 중점을 둘 것이다. 적응 계층은 제방 및 호안 시스템 내에 홍수로 인한 유출수를 저장하는 저수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네트워크에는 물을 모아 홍수 지점까지 저류할 수 있는 개방형 및 지하 호수, 운하, 공원이 포함된다.
피해 완화 계층은 주요 도로의 기초를 높여 홍수 구역을 분리하고, 극심한 사고 발생 시 구조 활동을 지원하고, 비상 상황 시 예측, 조기 경보 및 대피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하드 및 소프트 인프라 솔루션을 결합한다.
호찌민시는 이러한 솔루션 외에도 기존 주거 지역과 신개발 지역 간의 조화로운 방향으로 건설 고도를 계획하여 최상의 자연 배수를 확보할 것이다. 특히 고도는 세 개의 배수 구역으로 나뉜다. 제방 시스템 보호 구역 외부, 제방, 홍수 방지 회랑은 지역에 따라 2.6~3.8m가 필요하며, 보호 구역 내부는 2~2.5m의 고도가 필요하다. 기존 도시지역의 경우 현재 상태 대비 30~40cm의 표고가 필요하며, 각 지역의 규정에 따라 점차 2~2.5m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