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넥스티어, 지능형 모션 제어를 위한 MotionIQ™ 소프트웨어 제품군 공개

 

  • 개발 가속화: 품질, 안전, 성능, 비용 효율성 향상
  • 넥스티어의 섀시 분야 전문성과 '바이 와이어' 기술 포트폴리오 활용

 

오번힐스, 미시간 2025년 8월 12일 -- 넥스티어 오토모티브(Nexteer Automotive)가 오늘 지능형 모션 제어를 위한 MotionIQ™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공개했다. 전 세계 1억 1500만 대 이상의 차량에 배포된 검증 완료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MotionIQ는 바이 와이어(By-Wire) 섀시 제어, 개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워크플로를 단일 제품군으로 간소화하여 완성차 업체(OEM)가 시장에 더 빠르게 진출하고 품질과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지능형 모션 제어의 미래 주도 넥스티어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제품군은 MotionIQ/Control™, MotionIQ/Dev™, MotionIQ/Health™ 등 3개 제품군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상호 연동하여 정밀한 모션 제어, 가속화된 섀시 개발, 고급 예측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한다. 각 제품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MotionIQ/Control™: 스티어 바이 브레이크(Steer-by-Brake), 핸즈오프 감지(Hands-Off Detection), 조용한 휠 스티어링(Quiet Wheel™ Steering), 노면 감지(Road Surface Detection) 등과 같은 첨단 차량 동역학 기능을 포함하여 우수한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수상 경력에 빛나는 고급 소프트웨어 솔루션 중 상당수는 넥스티어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EPS) 및 스티어-바이-와이어(SbW)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 실제 차량에 적용돼 있다.
  • MotionIQ/Dev™: 넥스티어의 시스템 통합 및 소프트웨어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첨단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다. 자동화된 코딩 및 통합을 통해 기능 개발 시간을 며칠에서 몇 분으로 단축한다. 노코드(no-code) 모델 기반 환경에서 이러한 첨단 툴, 검증된 시스템 통합 전문성, 유연한 개발 방식을 결합함으로써, 넥스티어는 OEM이 자체적으로 안전한 조향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새로운 기능을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비용 절감, 생산 리드타임 단축, 수작업 코딩으로 인한 오류 최소화가 가능하다.
  • MotionIQ/Health™: 예측 소프트웨어와 AI 기반 가상 센서를 활용해 스티어링 및 기타 섀시 부품, 타이어의 전기적, 기계적 기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차량 가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편리한 유지보수 일정 계획을 가능하게 하고, 진단 시간, 오류 및 비용을 크게 줄인다. 또한 모션IQ/Health™는 실제 수명 주기 조건에서 익명화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품 품질 및 개발에 대한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해 OEM 및 공급업체의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로빈 밀라벡(Robin Milavec) 넥스티어 오토모티브의 사장이자 최고 기술 책임자, 최고 전략 책임자, 집행 이사회 이사는 "오늘날 경쟁이 치열한 자동차 산업에서 OEM은 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고품질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더 빨리 시장에 출시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급업체는 단순한 파트너를 넘어 강력한 시너지 창출자가 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넥스티어의 MotionIQ 소프트웨어는 섀시 모션 제어, 개발 및 상태 모니터링을 단일 제품군으로 통합하여 OEM이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최신 바이 와이어 기술을 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요구에 부응한다. MotionIQ를 통해 넥스티어는 더 스마트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섀시 시스템이 설계되고 대규모로 통합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비용 및 개발 시간 절감 넥스티어는 또한 하드웨어 인 더 루프(HiL, Hardware-in-the-Loop)와 가상 ECU(V-ECU, Virtual Electronic Control Units) 등 능동형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위한 플랫폼을 포함해 포괄적인 테스트 및 검증 역량도 제공한다. 넥스티어의 레벨 3•4 V-ECU는 개발 주기 초기에 시스템 수준의 검증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OEM은 실제 하드웨어가 준비되기 전부터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시작하고, 개발 후반에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이 큰 오류를 사전에 발견•예방할 수 있다.

 

개발 및 통합 가속화를 위한 엔지니어링 협업 넥스티어와 같이 전문성과 글로벌 통찰력을 갖춘 파트너는 OEM이 최첨단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차량에 신속하게 설계, 개발, 테스트하고 원활하게 통합하여 혁신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넥스티어의 엔지니어 팀은 고객사 팀의 일부처럼 협력하여, 민첩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효율적인 제품 인도,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유연한 제품 개발을 보장한다. 넥스티어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는 기능 안전 표준인 ISO 26262에 따라 ASIL(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 D 인증을 받았으며, ASPICE 적합성 평가를 성공적으로 통과했다.

 

SDV 전환을 지원하는 전략적 파트너
OEM 업체들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 집중식 E/E(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채택하면서, 차량 서브시스템에 내장된 기능과 브랜드 핵심 기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점차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넥스티어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여러 글로벌 OEM과 협력하여 분리형 스티어링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다수의 EPS(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및 SbW(스티어-바이-와이어) 생산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이 접근 방식은 OEM이 OEM이 자사 고유의 스티어링 기능을 직접 소유하고 SDV의 시장 출시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넥스티어는 차량 플랫폼 전반에 공통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유지해 기술 통합과 업데이트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브랜드 차별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엔지니어링 효율성을 높인다.

 

MotionIQ™ 제품 또는 판매 관련 내용은 넥스티어 담당자(SoftwareSales@nexteer.com)에게 문의한다. 자세한 내용은 Nexteer.com/Software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www.nexteer.com/Software/

 

넥스티어 오토모티브(Nexteer Automotive) 소개
넥스티어 오토모티브(HK 1316)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흥미진진한 모빌리티를 가속화하는 글로벌 선도 모션 컨트롤 기술 전문 기업이다. 혁신적인 제품•기술 포트폴리오는 전기 및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스티어-바이-와이어 및 후륜 조향 시스템, 스티어링 칼럼 및 중간 샤프트, 드라이브라인 시스템, 소프트웨어 솔루션, 브레이크-바이-와이어 등 '모션-바이-와이어' 섀시 제어 기술을 지원한다. 넥스티어는 전동화, 소프트웨어/연결성, ADAS/자율주행, 공유 모빌리티 등 모든 메가트렌드에 걸쳐 모션 컨트롤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BMW, 포드(Ford), GM, RNM, 스텔란티스(Stellantis), 토요타(Toyota), VW을 비롯해 BYD, 샤오미(Xiaomi), 창안(ChangAn), 리오토(Li Auto), 체리(Chery), 그레이트 월(Great Wall), 지리(Geely), 샤오펑(Xpeng) 등 전 세계 60여 개 고객사를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www.nexteer.com

 

넥스티어 링크: 미디어 센터&MotionIQ 프레스 키트

 


베트남

더보기
[테크놀리지] 베트남,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 ‘눈앞’… 인력 전문화·자체 개발 추진력 강화 필요
코아시아 세미 베트남(CoAsia Semi Vietnam)의 응우옌 탄 옌 대표는 베트남이 약 6,000명의 칩 설계 엔지니어를 보유하며 완전한 칩 설계 역량 확보에 매우 근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자체 제품 개발을 이끌어갈 강력한 추진력과 전문화된 인력 확보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베트남 반도체 산업은 현재 칩 설계 분야 약 7,000명의 엔지니어와 패키징·테스트·소재·장비 제조 분야 약 6,000명의 엔지니어, 그리고 10,000명의 기술자를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100명 이상의 베트남계 반도체 전문가가 활동 중이다. 베트남 엔지니어들은 BMW, 도요타, 기아차 등 글로벌 기업에 사용되는 칩을 설계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제품은 외국 기업 소유다. 응우옌 대표는 “대학이 즉시 취업 가능한 인력을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이 신입 졸업생을 채용해 실무 교육을 제공하고, 학교와 긴밀히 협력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돌핀 테크놀로지 베트남 센터의 레하이안 소장은 다년간의 경력을 가진 인력과 관리 인력 부족, 졸업생 기술 수준의 격차, 특정 분야 전문성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기업 협력 강화 ▲전문화 교육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빛의 벙커, 장민승 작가의 ‘서귀’展 선봬… 제주에서 바라본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국내 최초 몰입형 복합문화예술 공간 ‘빛의 벙커’가 장민승 작가, 정재일 음악감독과 함께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신작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선보인다. 제주 성산에 위치한 빛의 벙커는 ‘서귀 - 수취인불명’展을 오는 8월 1일부터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제주의 자연과 신앙, 그리고 존재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담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제주콘텐츠진흥원의 2024~2025년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으며, 티모넷이 기획·제작을 맡았다. ‘서귀’는 총 16분 20초 분량의 파노라마 멀티채널 영상으로 구성되며, 한라산 선작지왓, 윗세오름, 문섬, 엉또폭포 등 제주의 지형과 영등굿, 동자석, 살장, 기메 같은 제의적 상징을 결합한다. 여섯 개의 시퀀스를 따라 물, 바람, 눈, 흙, 불, 그리고 다시 물로 회귀하는 여정을 그려낸다. 관객은 영상 속에서 한 편의 장례이자 탄생의식을 통과하며, 자연과 인간의 순환성에 감각적으로 몰입하게 된다. 제목 ‘서귀(西歸)’는 ‘서쪽으로 돌아감’, 즉 죽음을 은유하는 한자어로 제주 신앙에서 저승으로 향하는 여정을 의미한다. 부제 ‘수취인불명’은 끝내 전해지지 못한 감정의 잔향을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