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동남아시아에서 해외 유학생이 가장 많으며 한국에 2만5천명이 유학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순으로 해외 유학생이 많은 동남아 상위 국가이다.

 

국제교육컨설턴트 아큐멘(Acumen)의 2024년 동남아시아 주요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동남아시아 학생 35만명 이상이 유학 중인 것으로 나타나 중국, 인도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아웃바운드 학생 이동이 많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에서는 베트남이 13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각각 5만6천명, 태국이 3만 2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의 자료를 이용한 이 보고서는 베트남 학생들이 가장 많이 가는 두 곳은 4만4100명이 넘는 일본과 거의 2만5000명의 한국이라고 밝혔다. 미국도 베트남 학생들이 2만3100명이 넘는다. 그 밖에 베트남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은 나라는 호주(1만4100명)와 캐나다(9천명) 순이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학생들은 대부분 영국과 호주를 선택했다.

 

중국은 유네스코 자료에 등재되지 않았지만 동남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중국 정부는 태국에서 2만8천600명, 인도네시아에서 1만5천명, 베트남에서 1만1천300명, 말레이시아에서 9천500명의 학생을 받은 2019년 이후 유학생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아큐멘의 보고서는 서구 국가들이 동남아 학생들을 유치하는 데 있어 일본, 한국, 중국 등과 더 많은 경쟁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일본의 목표는 2027년까지 40만명으로 국제 등록을 늘리는 것이고, 한국의 목표는 30만명이며, 두 나라 모두 외국 졸업생들에게 더 많은 취업 기회를 약속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점점 더 많은 대학이 글로벌 엘리트 그룹에 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아시아 목적지는 일반적으로 동남아시아인에게 더 저렴하다.

 

2024년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대학순위에서 상위 200위 안에 아시아 대학은 33개로 지난해보다 5개 늘었다.

 

국제 교육 정보 사이트인 ICEF Monitor는 베트남이 학생 이동성 측면에서 상위 10개 국가 중 하나라고 밝혔다.

베트남인은 미국 유학생 상위 5위, 일본 2위, 호주 6위, 대만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베트남이 글로벌 교육 기관 채용의 '핫스팟'이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며 베트남 인구의 4분의 1 이상(28%)이 16세에서 30세 사이이고 대학 등록률이 1999년 대비 증가했다는 점을 지적했는데 2001년에는 10%에서 29%로 늘어났으며, 교육은 가족의 최우선 관심사이다.

 

2018년 HSBC 조사에 따르면 교육비 지출은 전체 가계 지출의 47%를 차지했다. 중산층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더 많은 가족이 자녀를 해외 유학에 보낼 여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은행은 말했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몰입형 클래식의 새 지평 ‘CLASSIC WEEKENDS’ 빛의 시어터에서 24일까지 진행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 위치한 빛의 시어터는 낮 시간대에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 ‘파라오의 이집트’를 선보이며, 저녁에는 클래식 공연이 이어지는 특별한 문화 프로그램을 8월 8일(금)부터 24일(일)까지 진행한다. ‘CLASSIC WEEKENDS(클래식 위크앤즈)’라는 타이틀로 펼쳐지는 이번 저녁 공연 시리즈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시청각 요소가 어우러진 몰입형 이머시브 공연으로, 관객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기존 공연 형식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클래식 경험을 선사한다. 지난 8월 8일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로 막을 올린 이번 공연은 음악, 영상, 공간 연출이 조화를 이루는 몰입형 이머시브 오페라로 관객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소프라노 홍혜란(비올레타 역), 테너 손지훈(알프레도 역), 바리톤 이동환(제르몽 역)이 출연한 이번 공연은 음악, 영상, 공간 연출이 완벽하게 어우러진 몰입형 이머시브 오페라로 큰 호응을 얻었다. ‘라 트라비아타’는 개막 이후 8월 16일에도 공연됐으며, 오는 22일과 24일에 남은 무대가 예정돼 있다. 8월 9일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첼리스트 문태국, 피아니스트 손정범으로 구성된 피아노 트리오가 우거진 정글과 심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