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는 2025년 2분기 주택 및 부동산 시장 정보를 발표했다. 건설부는 부동산 가격 상황이 안정되어 2024년 말과 같은 과열 현상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지방의 부동산 및 주택 가격은 기본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개발 지역은 2025년 1분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따라서 아파트 시장에서는 2025년 2분기 하노이, 호찌민시 및 전국 주요 도시의 아파트 가격이 전분기 대비 기본적으로 안정세를 보였지만, 두 도시 모두 거의 10년 만에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 하노이의 2025년 2분기 시장 평균 매매가는 m²당 8천만 동으로 전분기 대비 5.6% 상승했고, 호찌민시의 평균 아파트 가격은 m²당 8천9백만 동으로 전분기 대비 큰 변동이 없었다. 특히 인프라가 잘 구축되었거나 이미 분양된 프로젝트가 있는 지역의 2차 가격도 급등했다. 이러한 추세의 주요 원인으로는 토지 부족, 높은 투자 비용, 지연된 법적 절차, 그리고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감이 있다. 하노이의 일부 프로젝트 조사에 따르면 아파트 가격이 약 5~6% 상승했다. 해당 분기의 구체적인 아파트 매매 가격은 다음과 같다. 호치민시 건설부는 아파트 가격이 전반적
매출 회복으로 2분기 매출은 증가했지만, 노바랜드는 정기 비용 부담이 계속되면서 여전히 약 1,900억 동의 손실을 입었다. 새로 발표된 노바(No Va) 부동산 투자 그룹(Novaland - NVL)의 연결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매출은 22% 증가한 1조 9360억 동을 넘어섰다. 판매된 상품 비용을 공제한 후 회사의 이익은 6910억 동을 넘었으며, 이는 같은 기간의 마이너스 2조 5930억 동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NVL의 추가 재무 수익은 약 5,120억 동으로, 주로 투자 협력 계약으로 인한 이익 감소로 인해 13% 감소했다. 이 기간의 기타 수익은 계약 위반에 대한 벌금 징수로 인해 약 2,620억 동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2분기의 마이너스 1조 6380억 동에 비해 급격히 증가한 수치다. 한편, 정기 비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거래 활동을 강화하면서 판매 비용은 76% 증가한 1,550억 동에 육박했다. 비즈니스 관리 비용은 16% 감소한 3,140억 동을 넘어섰다. 재무 비용이 절반 이상 절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NVL은 여전히 1조 1,350억 동(VND) 이상을 지출했다. 이 중 가장 큰 비용은 투자 협력
호치민시와 하노이에 수많은 국제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는 것은 베트남의 소매 시장이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신호이며, 당국이 위조 제품에 대한 단속을 강화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더욱 지속 가능한 시장에서 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브랜드, 베트남 시장 입지 강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W) 베트남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호치민시 시장에 신규 상업용 부동산 프로젝트는 없었다. 누적 공급 면적은 120만 평방미터로 전년 동기 대비 6.26% 증가했다. 2분기 호치민시 남부 지역의 상업용 부동산 평균 임대료는 평방미터당 월 53.36달러로, 전 분기 대비 0.21% 소폭 하락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3.32% 감소했다. 호치민시의 상업용 부동산 점유율은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한 93.6%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4.16% 증가했다. 이는 안정적인 분기 수요와 연간 증가 추세를 반영한다. C&W 베트남 지사장인 짱부이는 "이러한 성장은 다카시마야에 입점한 일본 미키하우스, 빈콤 동코이에 입점한 오!썸과 같은 해외 브랜드뿐만 아니라 포세이돈 뷔페 체인과 같은 국내 브랜드의 비중심 지역 진출에 힘입은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빈펄의 100헥타르 규모 미람 골프장 및 스포츠 단지는 2년 안에 완공되어 2027년 초부터 운영될 것이다. 현재 의견 수렴 중인 환경영향평가(EIA) 보고서에 따르면, 미람 스포츠 단지 및 골프장은 뚜옌꽝성 미람구에 위치한다. 프로젝트 투자자는 빈펄 주식회사다. 프로젝트는 37번 국도에서 1km 이내, 빈홈즈(Vinhomes) 자회사가 투자한 540헥타르가 넘는 미람-뚜옌꽝 도시권 인근에 위치한다. 미람 스포츠 단지 및 골프장은 총 110헥타르 규모로, 18홀 골프장, 상업 시설, 리조트 호텔,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기술 인프라가 결합된 녹지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프로젝트는 빌라, 타운하우스, 아파트를 포함한 주거 지역으로도 계획되었다. 투자자는 현재 프로젝트가 주로 논, 생산림, 다년생 작물 재배지, 그리고 7헥타르가 넘는 주거용 부지라고 밝혔다. 프로젝트 연구 지역에는 약 63가구가 거주한다. 프로젝트의 총 투자액은 1조 3,000억 동(VND)이 넘는다. 투자자는 2025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보상, 부지 정리, 토지 취득 및 할당 절차를 진행하고, 2027년 1분기부터 공사를 완료하여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프로젝트는 완공 후 지역
2025년 7월 18일 오전, 남롱그룹 주택사업개발부(HOSE: NLG)는 호치민 서부 355ha 워터포인트 통합 도시 지역의 제품 생태계를 완성하기 위한 여정의 다음 단계로 솔라리아 라이즈 고층 아파트 단지 착공식을 가졌다. 솔라리아 라이즈는 8층에서 17층까지 4개의 타워를 포함한 3.1헥타르 규모로, 스튜디오부터 침실 3개짜리 아파트까지 다양한 유형의 약 700개 아파트를 시장에 제공한다. 이 프로젝트는 일본에서 10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남롱과 니시 닛폰 철도가 개발한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국제 EDGE 녹색 생활 모델에 따라 설계된 선구적인 프로젝트로, 에너지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자원을 절약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생활 생태계를 구축하여 현재와 미래의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리콘스는 종합 계약자 역할을 맡아 기초, 구조, 마감, 기계 및 전기, 기술 인프라부터 내부 조경에 이르기까지 모든 항목을 진행한다. 프로젝트에는 라스칼(Lascal: 경관 디자인), NQH 아키텍츠(건축 디자인) 등 국내외 유명 파트너들도 대거 참여한다. 워터포인트의 '중심부'에 위치한 솔라리아
호치민시 중심부의 일부 고급 아파트 단지는 토지 가격 상승과 고급 주택 시장 활성화를 위한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투자로 평방미터당 6억 동에 가까운 거래가를 기록했다. 마스테리 홈즈(Masterise Homes)는 최근 행사에서 사이공 구(구 1군) 그랜드 마리나(Grand Marina) 메가 프로젝트에 위치한 메리어트 레지던스 스페셜 에디션(Marriott Residences Special Edition) 고급 아파트 단지 내 레이크(Lake) 빌딩을 소개했다. 투자자가 발표한 가격표에 따르면, 54~64m² 면적의 원룸 아파트는 290억~310억 동, 67~88m² 면적의 투룸 아파트는 330억~500억 동에 거래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 평균 가격은 세금 및 공과금을 포함하여 평방미터당 4억 5천만~6억 동이다. 투자자는 이 프로젝트가 호치민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JW 메리어트 브랜드 기준에 따라 관리된다고 밝혔다. 레이크 빌딩만 인테리어가 완료되어 즉시 구매자에게 인도될 준비가 되었다. 이 지역 주변 기존 아파트 프로젝트의 매매가는 평방미터당 4억 동을 넘어섰다. 마스테리 홈즈는 이전에도 같은 프로젝트의 아파트를 평방미터당 3억 동에서 5억 동에 가까운
부동산 컨설팅 회사 DKRA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총 공급량이 201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구 호치민시의 아파트 시장은 가격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7월 1일부터 호치민시는 빈즈엉성, 바리아붕따우성과 통합되어 새로운 호치민시가 탄생했다. DKRA 그룹의 구 호치민시 및 주변 지역 부동산 시장 2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1차 아파트 공급량이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하여 약 20,583세대에 달했다. 구 빈증성과 구 호치민시는 여전히 주요 시장으로, 전체 1차 공급량의 79.6%를 차지했다. 신규 분양은 1만 세대 이상이 분양되어 전년 동기 대비 3.1배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2024년 2분기부터 2025년 2분기까지 분양량은 전년 동기 대비 3.3배 증가한 11,082세대를 기록했다. 구 호치민시는 평방미터당 최대 4억 9,300만 동(미화 18,877달러)의 1차 분양가를 기록했으며, 최저 분양가는 3,800만 동(미화 1,455달러)이었다. 구 바리아붕따우 지역이 그 뒤를 이었고, 가격은 평방미터당 3,700만 동에서 1억 1,500만 동(미화 4,403달러)까지 다양했다. DKRA 그룹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일부 대형 중개 회사들은 부동산 시장의 매매 성수기 추세에 발맞춰 수천 명의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6월 초부터 다이모(구 즈엉노이)에 본사를 둔 득비엣(Duc Viet)의 부동산 중개 회사는 타이응우옌(Thai Nguyen)과 푸토(Phu Tho)와 같은 하노이 위성 시장의 부동산 프로젝트를 위해 수십 명의 중개인을 채용했다. 2년 전 부동산 시장이 어려워지자 비엣의 회사는 200명이 넘던 직원을 약 20명으로 감축해야 했는데, 여기에는 영업 담당자, 부서장, 회계사, 관리자 등이 포함되었다. 약 1년 전 회사는 다시 영업 인력을 채용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약 40명의 직원이 있다. 비엣은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흐름을 포착하기 위해 중개팀을 최소 두 배로 늘리는 더욱 야심 찬 목표를 세웠다고 밝혔다. 소규모 사업장뿐만 아니라 부동산 시장의 여러 대형 중개사들도 적극적으로 채용에 나섰다. 닷싼 그룹(Dat Xanh Group)의 부동산 서비스 부문을 담당하는 닷싼 서비스(Dat Xanh Services)는 6월 중순, 장기적인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300명 이상의 관리자와 3,000명의 영업 전문가를 채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업은 올해 매출
베트남 개발사 낀박시티개발지주회사(HoSE: KBC)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베트남의 새로운 소유권 이전에 따라 19개 자회사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최근 공시에 따르면 KBC의 자회사인 흥옌투자개발공사(HYG)가 트럼프 인터내셔널 베트남의 지분 99%를 인수했다. HYG를 통해 KBC는 현재 간접적으로 95.32%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7월 9일에 설립된 트럼프 인터내셔널 베트남은 북부 흥옌성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정관자본금은 5조 1,600억 동(1억 9,800만 달러)이다. 이번 개발은 지난 5월 흥옌에 베트남 최초의 트럼프 브랜드 골프 및 리조트 단지 기공식이 열린 직후 이루어졌다. 트럼프 인터내셔널 흥옌 프로젝트의 가치는 약 15억 달러에 달하며, 코아이짜우 지역의 6개 지역에 걸쳐 약 990.43헥타르에 달한다. 건설은 2029년 2분기까지 완료될 것이다. 최근 낀박시티의 AGM에서 발표된 성명에 따르면 트럼프 조직은 완공되면 프로젝트의 관리를 맡게 된다. 미국 정부 윤리국이 발표한 재무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가족 사업체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라이선스 수수료로 500만 달러를 받을 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호치민시와 하노이와 같은 대도시의 모습은 일련의 고층 빌딩의 등장으로 극적으로 변했다. 도시화 속도의 지표일 뿐만 아니라, 각 프로젝트는 투자자들의 위상, 야망, 그리고 정체성을 보여준다. 베트남 최고층 빌딩이자 한때 동남아시아 최고층 빌딩이었던 랜드마크 81이 빈그룹의 자랑이 된다면, 비텍스코와 더 선은 베트남 민간 기업들이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준다. 랜드마크 72 - 경남 하노이나 롯데와 같은 외국 "거물"의 존재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베트남 시장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보여준다.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7개의 타워 중 5개는 호치민시에, 2개는 하노이에 있다. 7개 빌딩의 총 투자액은 114조 동(VND)이 넘는다. 랜드마크 81 (461m) 461.2미터, 81층 높이의 랜드마크 81은 현재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며 2021년 말레이시아의 메르데카 118 건물이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 랜드마크 81은 현재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이며 세계 최고의 고층 빌딩 중 하나이다. 빈그룹(Vingroup Corporation)이 2014년 말 착공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