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CGV는 베트남에서 하루 매출이 90억동으로 전염병 이전 같은 기간보다 높았다.
CJ CGV Co., Ltd(한국)의 최근 사업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지난 분기 매출은 455억원(약 8340억동 이상)에 달했다. 위 수치는 지난해 전염병이 절정에 달했던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50배 증가했으며 전염병 이전 같은 기간(2019년 3분기)보다 더 높다. 평균적으로 CGV 시네마 체인은 하루에 90억동 이상을 벌어들인다.
3분기 영업이익은 약 34억원(620억원이상에 해당)이었다. CGV베트남의 실적이 4분기 연속 개선된 것이다.
베트남은 한국 본국과 중국 억대 시장에 이어 CGV의 세 번째로 높은 수익 창출 시장이다. 동남아시아에서 CGV는 인도네시아에 더 많은 영화관 체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매출과 이익은 베트남에 비해 각각 40%와 32% 낮다(부분적으로는 베트남은 11개 미만의 극장을 가지고 있다).
터키에서는 CGV 네트워크가 베트남보다 22개 더 많지만 이 시장의 매출은 여전히 56% 낮은 반면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67억원(약 1230억동)이다.
CGV는 베트남 사업 성과가 봉쇄 기간 이후 영업 정상화와 영화제 흥행에 힘입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미니언즈와 한국 영화 '육사오'로 3/4분기에 많은 수익을 올렸다.
독립적인 박스 오피스 관찰자인 Box Office Vietnam의 자료에 따르면, 인기 있는 미국 만화는 모든 영화관에서 거의 2000억동의 수익을 올렸다. 반면 한국의 코미디 영화 육사오는 거의 1820억동 의 매출을 기록했다.
CGV의 리더들은 베트남에서 수익이 국내 영화 시장의 회복과 세계적으로 높은 기대를 받고 있는 영화들의 개봉에 힘입어 올해 마지막 분기에도 계속해서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10월과 11월에는 영화 시장은 블랙 팬서: 영원한 와칸다, 블랙 아담, 과거의 소녀, 초국가적 요원 2와 같은 높은 판매고를 올릴 영화들이 개봉한다.
CJ CGV 코리아는 7360만달러를 들여 당시 베트남 최대 영화관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던 메가스타의 지분 80%를 인수한 후 2011년 베트남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2년 후, CJ CGV는 메가스타 브랜드를 CGV로 전환했다. 또한 UPI, 픽사, 디즈니, 워너 브라더스와 같은 미국 스튜디오의 배급사가 되었다. 또한, 할리우드의 가장 큰 영화 배급사인 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와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로부터 독립적인 배급을 허가 받았다.
이 시스템은 3분기 말까지 30개 성·시에 81개 시네마 체인과 475개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다. CJ CGV는 이 사업부가 51%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베트남 최대 영화관 체인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주로 대형 유통업체인 빈콤과 센트럴그룹의 무역센터 네트워크 확대 계획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