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최대 현대식 소매업체인 윈커머스(WCM)는 5년 안에 전국 매장 수를 1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마산그룹(Masan Group)의 대니 레(Danny Le) CEO가 온라인 주주총회에서 밝혔다. 레 CEO는 현대식 소매 형태가 현재 10% 미만인 베트남 소매 시장의 2029~2030년까지 25~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윈마트(WinMart), 윈마트+(WinMart+), 윈인(WiN) 체인을 운영하는 WCM은 2025년 3분기 기준 전국에 4,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6년에는 1,000~1,50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기별 지속 가능한 성장 WCM의 매출은 네트워크 확장과 동일 매장 성장률에 힘입어 1분기 10%, 2분기 13%, 3분기 22% 증가했다. 신규 매장의 수익성 또한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2024년 손익분기점 대비 첫해 1~2%의 EBIT(이자 및 세금 차감 전 이익) 마진을 달성했다. 전략적 확장 목표 지역인 농촌 지역에서는 투자 회수 기간이 지역 벤치마크에 맞춰 3년 미만으로 단축되었다. 임원진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이 데이터 기반 경영과 디지털 혁신에 힘입은 것이라고 밝혔다. 수익
베트남 호치민 증시가 이날 '줄다리기' 장세를 보였으나, 기둥주(대형주) 매도 압력에 VN지수가 소폭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44% 이상 종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합의가 약해 추가 반등 동력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VN지수는 장 초반 상승 출발 후 개장 주문 소화 과정에서 기준선 아래로 급락했다. 오전 장은 오가며 혼조세를 보였으며, 거래량은 전일 대비 개선됐으나 자금 흐름이 크게 차별화됐다. 오후 들어 줄다리기가 지속됐으나 오후 1시 30분부터 호세(호치민 증권거래소) 지수가 긍정적 국면을 타며 1,640포인트 근처를 시험했다. 그러나 2시 이후 다시 하락으로 전환, ATC(장마감 동시호가)에서 1,625포인트까지 밀렸으나 막판 반등으로 1,631포인트에 마감했다. 전일 대비 0.4포인트(0.02%) 하락한 수준이다. 호세 전체 종목 중 163개(44% 이상)가 상승, 138개 이상이 하락을 기록하며 시장 내 합의 수준이 낮음을 드러냈다. 상한가 종목 4개 중 DGC, GEE, PVD가 두드러졌으며, 이들 거래대금은 각각 800억 동, 177억 동 규모를 기록했다. 시장 지지 상위 10종목에 포함된 세 종목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으나, 전체
주가가 4포인트 이상 상승한 이번 거래에서 NVL과 HAG는 높은 유동성을 바탕으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가장 큰 호재로 작용했다. NVL은 오늘 거래 시간 대부분 동안 상한가인 14,150동을 유지했다. 이로 인해 노바랜드 그룹의 주가는 약 3주 전 가격대로 회복되었다. 유동성은 3,160억 동을 돌파하며 호치민증시(HoSE)에서 21위를 차지했다. NVL은 동나이성 건설국이 아쿠아시티 프로젝트의 저층 주택 204채가 미래 부동산으로 지정되어 사업에 착수했다는 소식에 고무되었다. 부이탄년(Bui Thanh Nhon)은 노바랜드에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던 이 프로젝트는 10월 말까지 약 2,400채의 주택에 대한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HAG도 마찬가지로 최고가를 기록하며 주당 17,650동을 기록했다. 이는 2015년 6월 중순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이다. 이 코드의 유동성은 6,660억 동을 넘어 HoSE에서 5위를 차지했다. 약 3,830만 주가 거래되었으며, 이는 8월 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최근 호앙안자라이(Hoang Anh Gia Lai)는 2026년 흥탕로이자라이(Hung Thang Loi Gia Lai)와 2027년 자숙로팡(Gia Suc Lo
상위 10대 민간기업 순위에서 빈그룹(Vingroup)은 여전히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호아팟(Hoa Phat), 모바일월드(Mobile World), VP뱅크(VPBank), 마산그룹(Masan Group)은 2024년 대비 이 네 곳의 순위를 유지했다. 2025년 11월 12일, 베트남 리포트(Vietnam Report Joint Stock Company, 이하 베트남 리포트)는 비엣남넷(VietNamNet) 신문과 공동으로 2025년 베트남 500대 기업 순위(VNR500 Ranking)를 발표했다.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우옌(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 Nguyen Co., Ltd.)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베트남 국립산업에너지그룹(PetroVietnam, 이전 명칭: 베트남석유가스그룹), 베트남 국립석유그룹(Petrolimex), 군수산업통신그룹(Viettel), 베트남 국립석탄광물산업그룹(Vinacomin),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베트남농업농촌개발은행(Agribank), 베트남산업무역은행(VietinBank) 등 베테랑 기업들이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빈그룹(Vingroup)은 202
HD 현대 에코 비나는 2025년 12월까지 꽝응아이성 둥꾸앗 경제구역에 위치한 두산 에너빌리티 베트남(두산 비나) 산업단지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회사 임원이 밝혔다. 베트남 중부 해안의 100헥타르에 건설된 3억 달러 규모의 산업 단지는 발전소 장비, 포트 크레인, 담수화 플랜트, 난방기, 모듈 및 철강 구조물, 해상 풍력 발전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세 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인수 계획은 응우옌호앙장 꽝아이성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HD 현대 에코 비나 최승현 대표 간의 회동에서 논의되었다. 최 대표는 성 지도자들에게 회사가 양도 관련 법적 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도가 완료되면 HD 현대 에코 비나는 해양 환경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는 LNG 및 특수 가스 탱크 제조라는 추가 사업 부문을 등록하게 된다. 이번 양도를 통해 HD 현대는 두산 비나의 모든 기존 자산, 시설, 직원, 재무 구조,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그리고 기존 고객과의 계약을 모두 인수하게 된다. 최 대표는 꽝아이성 당국에 친환경 조선업을 중심으로 사업 부문 확장 및 다각화를 위한 추가 부지 제공을 검토해 줄 것을 제안했다. 꽝아이성 당국은 두산 비나와 HD 현대의
국회가 설정한 2026년 경제성장 목표는 10% 이상, 1인당 GDP는 5,400~5,500달러이다. 11월 13일 오전, 국회는 대의원 90.5% 이상의 찬성으로 2026년 사회경제 발전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국회는 내년 경제성장률을 10% 이상으로, 1인당 GDP는 5,400~5,500달러에 도달하도록 노력하기로 결의했다. 물가상승률은 4.5% 내외로 통제한다. 국회가 설정한 목표는 8% 이상의 경제성장률과 1인당 GDP 약 5,000달러인 올해 예상치보다 높다. 결의안에 따르면, 정부는 거시경제 안정 유지, 인플레이션 억제, 주요 경제 균형 확보와 연계하여 성장 촉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통화 및 재정 정책은 유연하게 운영되어야 하며, 합리적이고 집중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국회 결의안은 "신용 흐름은 생산 및 기업 부문으로 유도되어야 하며,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부문의 신용은 통제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동시에 정부는 금, 부동산, 주식 시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전자상거래, 식품 서비스, 소매 유통망에서 발생하는 세수 손실을 방지해야 한다. 자원 동원 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 부채와 재정 적자를 통제해야 하며, 여기에는
주중 회복세 이후 국내 투자자들의 신중한 심리가 '발산'되면서 VN 지수는 38포인트 추가 상승하며 1,600포인트를 회복했다. 호찌민 VN 지수는 장 내내 상승세를 보이며 상승폭을 확대했다. 막판 강력한 자금 유입으로 VN 지수는 38포인트 급등하여 1,632포인트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지난 한 달 동안 가장 큰 폭의 상승폭이다. 대형주는 큰 폭의 조정 이후 시장이 강세를 회복하는 데 큰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VN30은 30개 구성 종목 중 29개가 기준선보다 높게 마감하면서 51포인트 상승했다. VN다이렉트 증권사의 통계에 따르면, 오늘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10개 종목 중 3개는 빈그룹 그룹 종목들이었다. VRE는 5.6% 상승했고, VIC와 VHM은 각각 5%와 4% 상승했다. 다음으로는 은행 종목들이었다. 은행주는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기준가를 유지한 OCB를 제외하고, 이 부문의 모든 종목은 상승세를 보였다. TCB가 4% 상승하며 가격 상승을 주도했고, SSB, EIB, SHB가 모두 3% 이상 상승했다. 부동산주도 상승을 견인했는데 NVL과 CII는 모두 오늘 상한가로 마감했으며, 장 마감 시점에는 매도자가 없었다. PDR, H
베트남 국내 달러(USD) 가격이 글로벌 시장 약세에도 불구하고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 고용지표 부진으로 국제 달러화가 소폭 하락한 가운데, 베트남 중앙은행의 기준환율 인상 여파가 국내 은행과 자유시장에 파급됐다. 12일 오전, 베트남 국가은행(중앙은행)은 VND/USD 기준환율을 전일 대비 11동 상승한 25,129동으로 발표했다. 이달 들어 기준환율은 총 25동 정도 올랐다. 곧바로 상업은행 달러 가격도 일제히 조정됐다. 비엣콤뱅크(Vietcombank)는 매입가를 12동 올려 26,125원으로, 매도가는 24동 인상해 26,385원으로 책정했다. ACB은행은 매입가 10동 상승 26,130원, 매도가 12동 올려 26,385원으로 마감했다. 자유시장에서는 달러가 매입 27,820동, 매도 27,920동에 거래되며 전일 대비 40~50동 상승했다. 현재 자유시장 달러 가격은 은행가 대비 1,500동 정도 프리미엄을 유지하고 있다. UOB은행(싱가포르) 글로벌시장·경제연구부 전문가들은 "올해 들어 VND가 USD 대비 약 3.5% 평가절하됐다"며 "반면 지역 통화들은 달러 약세 추세를 타고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미 연방준비제도(Fed
웹케시글로벌(대표 이실권)이 싸이버로지텍(대표 송영규) 베트남 법인과 베트남 시장 내 B2B 핀테크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산업 네트워크를 결합해 베트남 기업의 재무·물류·운영 업무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사는 웹케시글로벌의 기업 금융 솔루션과 싸이버로지텍베트남의 해운·물류·항만·제조ERP 전문 솔루션을 연계해 통합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금흐름, 재고, 운송, 세금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핵심 업무를 실시간으로 연동하고, 현지 기업들이 단일 플랫폼에서 재무와 물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웹케시글로벌은 △중견·대기업 대상 자금관리 플랫폼 ‘WeCMS’ △전자세금계산서 및 세무신고 솔루션 ‘WeTax’ △QR 기반 청구·수납 자동화 서비스 ‘WeBill365’를 중심으로 솔루션 연계를 추진해 기업 금융 업무 효율성과 자동화 수준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싸이버로지텍베트남은 해운·터미널·포워딩·창고 등 공급망 전반에 특화된 솔루션 ‘OPUS’ 및 ‘ALLEGRO’ 시리즈를 비롯해 제조ERP와 글로벌개발센터(GDC)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는 지난 11월 1일(토), 영어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하고 글 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2025 중등 영어 말하기의 날(English Speech Day)”을 개최했다. 이번 대회에는 7~9학년 학생들이 참가해 아래 네 가지 주제 중 하나를 선택, 자신만의 시각으로 주제를 재해석한 후 유창한 영어로 열정적인 연설을 펼쳤다. < 2025 English Speech Day Topics > 1) What Courage Means to Me 2) How Diversity Makes Us Stronger 3) Small Actions That Can Change the World 4) The Role of Technology in Making the World More Equal 개회사에서 김명환 교장은 “영어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고, 이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능력은 글로벌 리더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단순히 언어를 배우는 단계를 넘어, 세계를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주체적 학습자로 성장하 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격려의 말을 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