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1.7℃
  • 흐림서울 23.8℃
  • 대전 23.5℃
  • 대구 23.9℃
  • 흐림울산 23.3℃
  • 광주 24.1℃
  • 부산 23.1℃
  • 구름많음고창 24.2℃
  • 제주 28.3℃
  • 흐림강화 23.8℃
  • 흐림보은 22.7℃
  • 흐림금산 23.6℃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한국건강과학

한국레노버, 카카오톡 채팅 상담 서비스 오픈으로 국내 프리미엄 서비스 강화

공식 홈페이지 내 QR 코드 또는 카카오톡 ‘친구’ 검색으로 실시간 상담 지원
‘이지케어’ 서비스, 3년 무상 워런티 등으로 국내 프리미엄 서비스 개선에 박차

 

(굿모닝베트남미디어) 한국레노버가 카카오톡 채팅 상담 서비스를 공식 오픈해 고객과의 소통 접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채널 '레노버서비스'는 기존 고객들이 레노버 서비스를 보다 간편하게 누리고, 레노버 브랜드 및 제품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이 전문가를 통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는 상담 채널이다. 1명의 상담원이 최대 4개의 대화창을 동시에 띄워 놓고 고객을 신속히 응대하는 서비스로, 기존 상담 서비스의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카카오톡에서 실시간으로 상담이 이뤄진다.

레노버서비스와 상담을 희망하는 고객은 레노버 공식 홈페이지에 QR코드를 통해 카카오톡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보유 제품에 대한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제품의 시리얼 번호와 홈페이지에 등록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전문 상담원과 대화가 가능하다. 이 밖에도 카카오톡 '친구' 탭에서 '레노버서비스'를 검색해 상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레노버서비스'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2시까지 운영한다.

한국레노버는 이번 카카오톡 채팅 상담 서비스 오픈을 기점으로 국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한국레노버는 고객이 서비스센터를 방문할 필요 없이 퀵서비스로 A/S를 받을 수 있는 '이지케어' 서비스를 국내에 선보여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수도권 한정으로 제공했던 이지케어 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해 편리하고 안전한 비대면 방식으로 소비자 PC를 대상으로 1년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밖에도 프리미엄 라인 요가 제품군은 기본 보증기간 3년, 아이디어패드 플렉스 제품은 2년으로 연장 제공해 고객이 오랜 기간 부담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올해 초에 새롭게 선보인 '레노버 헬프 앱'을 통해 서비스센터 방문 없이도 간편한 비대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국레노버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도 레노버 프리미어 서포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레노버 김윤호 대표는 '일반 및 기업 고객 모두가 프리미엄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전방위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하고 그 일의 하나로 사용자에게 가장 친숙한 플랫폼인 카카오톡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며 '불필요한 탐색 질문 단계를 과감하게 줄여 상담원과 효율적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최상의 서비스로 고객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더보기
Z세대를 위한 패키징 뉴스: 새로운 관점과 활력이 필요
시장 조사와 최신 통계에 따르면 대중은 여전히 ​​매일 모든 유형의 미디어에서 정보 콘텐츠를 강력하게 소비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공개 집단인 Z세대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상호 작용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 대중의 잠재 시장을 활용하기 위한 저널리즘의 혁신은 불가피하지만, 콘텐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방법이 어려운 문제이다. 관련성 있고 매력적이며 새로운 세대의 대중과 더 잘 상호 작용하는 형식으로 뉴스를 패키지하는 방법이다. Z세대의 공공식별화 Z세대는 정보 기술, 통신 및 미디어,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혁명과 관련된 세대인 디지털 시대(1996년 이후 출생)에서 태어나고 자란 세대로, 정보 사회의 핵심 세대이자 초연결 시대의 1세대이다. Z세대는 태어날 때부터 기술 혁명의 발전에 따라 접근하고 성장해 왔다. Z세대 공공은 정보 사회의 모든 정보 스트림에 접근하고 수신하며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디지털 공공이다.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공공이며 플랫폼이나 기술 애플리케이션의 지원을 통해 콘텐츠 선택의 폭이 가장 높다. 멀티미디어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