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시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생후 1개월 된 아기의 백일해 발생 사례를 기록했는데, 이는 올해 지역에서 발생한 첫 번째 사례다.
롱디엔(Long Dien) 지역에 거주하는 아이는 백신 접종 연령이 아니기 때문에 백일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 현재 아이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퇴원했다. 호찌민시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지역 보건소와 협력하여 전염병 조사 및 사례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아이와 같은 집에 사는 사람들만 접촉했으며, 감염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호찌민시는 주로 생후 2개월 미만의 아기를 대상으로 백일해 발생 사례가 종종 보고 된다. 확대 예방 접종 프로그램에 따라 생후 2~4개월에 백일해 백신을 접종하고, 생후 18개월에 추가 접종을 실시한다. 청소년은 면역력 강화를 위해 11~12세 또는 백일해 백신 마지막 접종 후 10년 후에 추가 접종을 받아야 한다.
백일해는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어린이에게서 발견된다. 이 질환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감염된 사람의 코와 목 점막에서 나오는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여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특히 학교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거주하는 어린이들 사이에서는 전파력이 매우 높다.
백일해는 발열이나 미열, 상기도 염증, 피로, 식욕 부진, 기침 등의 증상으로 시작될 수 있다. 백일해 발병은 매우 특징적이며, 아이가 통제할 수 없이 기침을 하고 천명음이 들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침이 끝날 무렵에는 맑은 가래가 많이 나오고 구토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질병은 종종 심각하게 진행되어 2차 감염, 폐렴, 기관지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기 쉽다. 특히 5세 미만 영유아와 영양실조 아동의 경우 더욱 그렇다. 4월, 까오방(Cao Bang)에서 생후 2개월 된 환자가 기침을 했을 때, 가족들은 병원에 데려가지 않고 집에서 약을 처방받았다. 입원 당시 이미 상태가 심각하여 생존할 수 없었으며, 국립 아동 병원 의사들은 사망 원인이 백일해라고 진단했다.

부모는 자녀를 정해진 시간에 백일해 예방 접종을 받도록 데려가야 한다. 아이의 몸, 코, 목을 매일 깨끗이 씻고, 생활 공간과 교실은 통풍이 잘 되고 깨끗하며 충분한 조명이 유지되어야 한다. 아이가 백일해 증상을 보이거나 백일해가 의심되는 경우,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고 격리하여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 비누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입을 가린다.
임산부는 임신 7개월 무렵 백일해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한다. 백일해 항체는 태반을 통해 산모에게서 아기에게 전달되어 아기가 생후 초기부터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을 준다.
백일해 백신을 접종받은 적이 없는 성인, 특히 고령자, 기저 질환자, 주요 보호자, 백신 미접종 아동과 자주 직접 접촉하는 사람, 의료 종사자 등도 예방 접종을 권장한다. 면역력 강화를 위해 10년마다 추가 접종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