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뇌졸중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1,541명으로 동남아시아 최고 수준이며, 심각한 의료 부담을 초래한다.
이 데이터는 7월 24일 세계 뇌졸중 연합 컨퍼런스(GSA 2025)에서 쩐반투안 보건부 차관이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15개국의 뇌졸중 전문가와 의료진이 참석하여 최신 뇌혈관 중재술, 병원 전 응급 처치, 의료 치료 및 뇌졸중 후 재활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유했다.
뇌졸중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의료 부담이자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여겨진다. 뇌졸중은 전 세계 성인 사망 원인 중 심혈관 질환에 이어 두 번째로 높으며, 장애 발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연간 1,220만 건의 뇌졸중 발생률은 3초에 달하며, 이는 심각한 수준이다.
베트남의 추정 발병률은 연간 10만 명당 약 222건으로, 전체 발병률은 10만 명당 1,541건으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뇌졸중의 후유증은 매우 심각하다. 환자의 71%가 치료 후 일상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이 환자들의 의료비는 전 세계 GDP의 1.12%에 달한다.
"이러한 수치는 심각한 의료적 부담을 반영하며, 각 환자의 건강과 국가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하며, 이러한 현실은 전문성의 질을 향상시키고 뇌졸중 전문 분야를 개발할 것을 요구한다고 보건부 차관은 덧붙였다.

실제로 베트남에서는 뇌졸중 치료 의료기관이 2016년 12곳에서 2025년 150곳 이상으로 증가했다. 동시에 혈전 용해술 및 기계적 혈전 제거술과 같은 현대적인 치료법이 여러 지방 병원과 주요 의료센터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세계뇌졸중기구(WSO)의 글로벌 사업인 엔젤스 프로그램(Angels Program)은 2017년부터 베트남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치료 과정을 표준화하고 응급 처치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박마이 병원 뇌졸중 센터는 세계뇌졸중협회(WSA)의 평가 기준에 따라 다이아몬드 인증을 가장 많이 받은 세계 4대 센터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보건부 관계자들은 베트남이 여전히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인정했다. 그중 하나는 효과적인 처치를 위한 "골든타임"을 지나 병원에 늦게 도착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병원 전 응급 시스템은 아직 완전히 구축되지 않았으며, 뇌졸중 전문 신속 대응팀이 부족하다. 지역 간 치료 역량 격차는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고 시기적절한 치료 기회를 보장하는 데 큰 걸림돌이다.
이러한 현실에 직면하여 차관은 전국적으로 자격을 갖춘 뇌졸중 전문센터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및 국제 표준에 따라 운영의 질적 보장을 위한 기반으로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뇌졸중 센터 평가 기준을 개발 및 공표해야 한다. 또한, 현장팀의 역량을 강화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치료의 "골든타임"을 최적화해야 한다.
연구부는 뇌졸중 발생률 감소, 사망률 감소, 그리고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 감소라는 세 가지 핵심 목표를 목표로 국가 뇌졸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한다. 이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으로, 부문 간 협력과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번 행사에서 세계뇌졸중기구(WSO)는 베트남 최초로 박마이 병원에 전문 뇌졸중 센터 인증을 수여했다. 또한, 박마이 병원 뇌졸중 센터장 겸 하노이 뇌졸중 협회 회장인 마이주이톤(Mai Duy Ton) 부교수에게도 상을 수여했다. 톤 박사는 뇌졸중 분야에 대한 헌신과 기여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한 전 세계 8명의 뇌졸중 전문의 중 한 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