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시는 최근 뎅기열로 인한 사망자 6명을 기록했으며, 이 중 빈즈엉(구)에서 2명, 바리아붕따우(구)에서 1명이 발생했다. 보건 당국은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7월 11일, 호찌민시 질병통제예방센터 관계자는 지난주 호찌민시에서 838건의 뎅기열 확진자가 발생하여 올해 초부터 누적 확진자 수가 14,37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중 호찌민시 구 지역에서는 11,000명 이상, 빈즈엉 구 지역에서는 약 2,500명, 바리아붕따우 구 지역에서는 86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감시 자료에 따르면, 도시는 질병을 옮기는 모기가 번식하기에 유리한 환경인 우기의 절정에 접어들고 있다. 주간 발생 건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6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주요 발병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 시기는 도시가 특히 경계해야 할 시기이다.
전문가들은 발병 관리 및 모기 유충 박멸이 정기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경우 2차 감염 사슬 형성 위험이 매우 높아져 특히 어린이 병원과 지역 병원의 치료 시스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호찌민시는 뎅기열을 통제하는 핵심 해결책으로 적극적인 예방, 조기 발견, 철저한 치료를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각 지자체는 뎅기열 감염 감시, 발병 대응 및 위험 평가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뎅기열로 인한 확진자와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가정에서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주민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온라인 건강" 애플리케이션 채널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위험 지점 처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모기 유충을 박멸하기 위해 에데스(Aedes) 모기가 알을 낳을 수 있는 물통을 찾아 없애고 사용하지 않는 양동이, 물통, 물탱크 등은 덮어두고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꽃병, 화분 받침대, 물컵 등은 정기적으로 교체하고 헹구거나, 암석 정원이나 수생 식물 등에 구피를 길러 모기 유충을 잡아 먹게 한다. 일상생활에 사용하지만 사용하지 않거나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물통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정리해 덮어 둔다.
모기장을 치고 잠을 자거나, 모기 스프레이, 모기향, 모기 기피 크림, 모기 라켓 등의 조치로 모기를 박멸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한다. 전염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해 보건 당국과 협력하여 모기 유충 박멸 캠페인 및 화학 살포시한다
모기 유충으로 인한 뎅기열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을 발견하면, "온라인 의료" 앱에 해당 주소를 신속하게 신고하여 조치를 취한다. 열이 있는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찰 및 치료를 받고, 집에서 자가 치료는 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