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산업

미국, 베트남 목재 상품에 30억 달러 이상 지출: 수입세 0%, 미국은 베트남의 VIP 손님

미국은 이 중요한 상품의 베트남 최대 수출 시장

관세청에 따르면 베트남의 목재 및 목재 제품 수출은 최근 몇 달 동안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5년 5월 매출액은 14억 1,00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는 2024년 5월에 비해 11.6% 증가한 수치다.

 

2025년 첫 5개월 동안 목재 상품의 총 수출액은 약 68억 1천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2024년 첫 5개월에 비해 10.3% 증가한 수치다.

 

베트남의 목재 및 목재 제품은 주로 미국 시장으로 수출되며, 이는 미국 전체 제품 수출액의 55.6%를 차지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37억 8천만 달러 이상이다.

 

2025년 5월에만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액은 8억 5,2101만 달러로 2025년 4월에 비해 6.6%, 2024년 5월에 비해 25.9% 증가했다.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베트남산 목조 가구의 세율은 0%이다. 그 뒤를 이어 매출이 높은 두 시장은 일본은 8억 5,906만 달러로 27.4% 증가했다. 중국은 7억 7,730만 달러로 20.3% 감소했다.

 

미국은 베트남 목재 및 목재 제품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한 후 다른 시장으로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각 시장마다 목재 가구에 대한 고유한 취향과 니즈가 있다. 따라서 미국에 판매하기 위해 생산된 목재 가구는 다른 시장에 판매되지 않을 수 있다. 미국 시장의 용량은 다른 시장이 보상하기에는 너무 크다.

 

따라서 현재 목재 산업 기업들은 공식적인 호혜세가 수용 가능한 수준에 도달하기를 바라며 미국에 상품을 배송할 수 있는 기회를 활용하고 있다. 베트남 목재 및 목재 제품은 미국 목재 및 목재 제품 수입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따라서 미국에 두 번째로 큰 목재 가구 수입국인 중국도 매우 높은 세금을 부과받는 상황이지만 미국 목재 가구 수입업체들이 대체 공급원을 쉽게 찾을 수 없다.

 

6월 초, 미국 상무부(DOC)는 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한 원목 및 베니어 합판에 대한 반덤핑(AD) 및 상계관세(CVD) 조사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접수했다. 130개 이상의 베트남 기업이 고발 대상에 올랐다.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비즈플레이 김홍기 대표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동참
Expense 비용 관리 Total 솔루션 기업 비즈플레이의 김홍기 대표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이 공동 주관하는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인구 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등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인구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진행됐다. 지난해 10월부터 다양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으며, 김홍기 비즈플레이 대표는 김종현 쿠콘 대표의 지명을 받아 동참하게 됐다. 비즈플레이는 임직원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복지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제주도 워케이션 제도 △캠핑장 및 전용 휴양시설 제공 △국내 유명 콘도 제휴 등을 통해 임직원이 편안하게 휴식하고 리프레쉬할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한다. 또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지향하며 매월 임직원 급여의 끝전을 모아 백혈병소아암협회에 기부하는 등 사회 환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김홍기 비즈플레이 대표는 “의미 있는 캠페인에 비즈플레이가 함께할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임직원 모두가 더 나은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비즈플레이는 경비지출관리 시장에 이어 B2E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