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첨단 기술 추세는 농업을 재편하고 농부의 노동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의 부상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우려도 급격히 커지고 있다. 최근 끼엔장성 혼닷 지구에서 드론에 치여 한 남성이 목숨을 잃은 비극이 발생해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당국은 현재 이 사건을 조사하고 있으며, 빠르게 진화하는 이 산업에서 더 엄격한 안전 조치의 시급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 드론
드론을 이용해 살충제를 뿌리는 데, 특히 농작물은 일반적으로 기상 조건이 좋을 때 계절당 3~4번의 살충제를 뿌려야 한다. 기후가 나쁘면 살충제를 뿌리는 횟수는 증가한다.
"드론을 사용하면 유해한 살충제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작업 일정을 유지하면서 건강 문제를 피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속장성이 한 농부는 말한다. 그는 저렴한 임대료와 최소한의 준비(농부들은 살충제만 공급하면 된다)로 드론을 사용하는 것은 효과적이며 드론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용하여 쌀 수확량이 향상된다고 얘기한다.
속장성의 드론 소유자인 탕은 드론에 5억동(약 1만9670달러)를 투자했으며 4년 동안 살충제 살포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초기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농가 수가 적었다. 하지만 지난 2년 동안 매일 대여해 왔고 탕은 드론을 운영하기 위해 두 명을 고용해야 했다.
그는 드론 작동이 간단하다며 끼엔장성에서 발생한 사건은 드물고 예상치 못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농업 생산에 드론을 사용함으로써 농부들은 살충제와 비료의 20%를 절약하고 물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
드론 구매 서두르기
안장성에 거주하는 쯔엉찌에우푸는 드론 6대를 소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안장성에서 최초로 드론을 이용해 살충제와 비료 살포, 벼 파종 서비스를 제공한 최초의 사람이다. 2019년 말에 그는 각각 5억~6억동(1만9670~2만3610달러)에 드론 두 대를 구매했다. 사업이 번창하면서 그는 드론 운영자 그룹을 만들고 10대의 추가 장비를 구매했다.
하지만 많은 지역 주민들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드론에 투자하면서 푸는 서비스 수수료를 헥타르당 18만동(7달러)에서 12만동(4.7달러)으로 낮춰야 했고, 이로 인해 드론 운영자의 수입이 감소했다. 그는 드론 한 대가 매일 500헥타르의 쌀을 재배한다면 한 달에 최대 9천만동(3천539달러)을 벌=수 있다고 말했다. 비용을 공제한 후 드론 소유자는 일반적으로 한 달에 약 6천만동(2천362달러)을 벌 수 있다.
한편, 장비를 다루는 드론 조종사들의 월수입은 과거 1천만동(394달러)에서 현재 600만~700만동(236~275달러)으로 줄었는데, 이는 경쟁이 치열해진 영향으로 보인다.
드론을 안전하게 작동시키기
푸의 드론 운영자 팀은 드론 회사와 협력하여 안장성 주민들에게 교육 과정을 제공했다. 각 드론은 10~15분 안에 1헥타르의 논을 감당한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시간을 단축하고 싶어하는데, 이는 사고 위험이 높다고 푸는 말했다.
그는 드론은 송전선을 피하기 위해 도로가 아닌 논에 일시적으로 착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드론을 임대하려는 농부는 논에 착륙할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푸에 따르면 메콩 삼각주에서 드론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감독이 충분히 엄격하지 않다.
까마우성 주민인 응우옌반웃은 드론을 작동할 때 항상 주변 공간에 주의를 기울이고 사람들이 장치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드를 설치한다.ㅠ역시 끼미우성 출신인 레푸루안은 드론을 사용하여 살충제를 뿌리는 것은 편리하지만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살포 시간 동안 그는 가족에게 실내에 머물고 그 지역을 피하라고 조언했다.
까마우성에서는 현재 농업에 690대 이상의 드론이 사용되고 있다. 지방 농업 확장 센터의 대표는 드론 수입업체는 국방부에 6개월 비행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