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6 (목)

  • 맑음동두천 29.1℃
  • 구름많음강릉 24.4℃
  • 구름조금서울 29.4℃
  • 구름많음대전 27.8℃
  • 흐림대구 27.2℃
  • 흐림울산 22.9℃
  • 흐림광주 24.9℃
  • 흐림부산 22.4℃
  • 구름많음고창 25.6℃
  • 제주 21.3℃
  • 맑음강화 26.1℃
  • 구름많음보은 27.2℃
  • 구름많음금산 26.7℃
  • 흐림강진군 23.1℃
  • 흐림경주시 27.4℃
  • 흐림거제 23.2℃
기상청 제공

베트남 국가 GDP는 앞으로 6년 안에 싱가포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국제통화기금은 2023년 베트남의 GDP 규모는 4300억달러가 넘어 세계 35위이다.

 

베트남의 2023년 경제규모?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가격으로 동남아시아 지역 전체의 GDP 규모는 약 3조 81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약 1조3700억달러의 GDP로 이 지역을 선도한다. 2위는 태국으로 2023년 GDP는 5195억달러이다. 다음은 싱가포르와 필리핀으로 GDP 규모는 각각 5014억3000만달러와 4366억2000만달러이다.

 

IMF는 베트남과 관련해 2023년 베트남의 GDP 규모가 약 4337억달러로 역내 5위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결과로 2023년 베트남의 경제 규모는 말레이시아(4155억7000만달러), 미얀마(645억달러), 캄보디아(418억6000만달러), 라오스(152억달러), 브루나이(151억3000만달러), 동티모르(20억달러)보다는 상위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IMF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세계 GDP 규모는 약 104조79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미국은 2023년 GDP 규모가 27조3600억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국이다. 두 번째로 큰 경제국은 2023년 GDP 규모가 17조7000억달러인 중국이다. 독일(4조4600억달러), 일본(4조2100억달러), 인도(3조5700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GDP 규모가 4300억달러가 넘는 베트남은 세계에서 35번째로 큰 경제국이다.

 

베트남의 GDP 규모가 2029년 싱가포르를 추월하고 2038년 세계 25대 경제대국 그룹에 진입

 

IMF는 2024년 베트남 GDP 규모를 인도네시아(1조4700억 달러), 태국(5488억9000만 달러), 싱가포르(5252억2000만달러), 필리핀(4715억달러) 등에 이어 5위인 약 4658억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고려하면 2024년 베트남의 경제규모 순위는 34위로 1단계 상승한다.

 

특히 IMF 전문가들은 오는 2029년까지 예상 GDP 규모가 베트남이 8천960억달러로 6천840억달러의 싱가포르를 제치고 동남아 2위, 세계 31위의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영국 독립경제예측분석센터(CEBR)의 예측에 따르면 2024년까지 CEBR은 현재 가격의 GDP 규모가 4620억달러에 달해 베트남의 규모가 2023년 보고서에 비해 1계단 상승한 33위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CEBR의 보고서는 향후 베트남의 경제규모 순위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CEBR은 2038년까지 예상 GDP 규모가 1조5590억달러로 베트남은 21위로 올라설 것이다. 태국(1조3130억달러), 싱가포르(8960억달러), 필리핀(1조5360억달러) 등 아세안 지역의 다른 경제규모를 제칠 것으로 전망했다.

 

아세안 지역에서, 베트남 이외에, 필리핀도 인상적인 성장을 한 국가다. 필리핀의 경제 규모는 2038년까지 세계 23위에 이를 수 있다. CERB에 따르면, 베트남과 필리핀은 세계 가치 사슬의 재배치, 내부 개혁, 노동 생산성 증가, 공공 및 민간 투자 덕분에 국가 순위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 그룹이다.

 


베트남

더보기
솔바이오, 중국 지난시와 기술 협력 업무협약 체결 "중국 진출 본격화"
솔바이오가 중국 산둥성 '지난 의학발전 의학검사 실험실 유한공사'와 손잡고 중국 진출 지원 및 엑소좀 선진 기술교류를 위한 협약을 체결, 중국 엑소좀 시장 진출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엑소좀 전문기업 '솔바이오'(각자대표 백세환, 반경식)는 중국 지난시로부터 '2024 한중 바이오헬스산업 협력교류회'에 초청받아, '엑소좀 정제분리 기술'과 '조기 암 진단기술' 이전, 엑소좀 및 조기 암 진단기술 전문인력 양성, 현지법인 설립, 투자유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키로 합의하고 中 산둥성 지난시 산하기관인 '지난 의학발전 의학검사 실험실 유한공사'(이하 '지난의학발전공사')와 업무협약을 전격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의학발전공사'가 소속된 지난국제의학과학센터는 '헬스케어 중국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약 40조원이 투입된 첨단 헬스케어 국제 스마트시티다. 대학병원과 연계한 △정밀의료 △의약품 △의료기기 △첨단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보유, △창업육성 △연구개발 △인재양성 등을 지원하는 첨단 헬스케어 산업단지다. 인구 1억7천만명이 거주하는 중국 동북3성 지역을 거점으로, 2천병상 규모의 대형병원과 최첨단 양성자 치료기 3기를 도입해 운영중이다. 솔바이오는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미디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