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건강과학

치사율 90% 바이러스가 세계보건기구를 걱정하게 한다

치명적인 마버그(Marburg)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계속 나타나고 있다.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해 사망률이 90%에 이른다.

 

코로나19 범유행과 원숭이두창 사례의 증가 이후, 많은 전문가들을 걱정시키는 또 다른 바이러스의 소식이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가나에서 전염성이 강한 마버그 바이러스가 보고되었다. 서아프리카의 한 국가가 이 바이러스의 사례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 명 사망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두 명의 마버그 감염자는 가나 남부 아샨티에 거주하는데 역학적인 연관성이 없다. 이전에, 그들의 테스트 샘플은 세네갈의 한 실험실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두 명의 감염 사례와 접촉한 98명의 가나인이 격리 중이다.

 

마버그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에볼라와 유사한 전염성이 매우 높으며 이를 예방할 백신이 없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이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90%에 이를 수 있다.

 

가나 보건 당국은 바이러스의 확산을 최소화하면서 감염자의 가까운 접촉을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버그 바이러스가 널리 퍼질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그것의 경로를 차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WHO 아프리카 지역 책임자인 마츠디소 모에티는 말했다.

 

마버그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마버그는 출혈열을 일으키는 희귀하지만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이다. 이것은 에볼라와 같은 계열의 바이러스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마버그는 "필로바이러스 계열의 유전적으로 독특한 동물 RNA 바이러스"이다. WHO는 바이러스의 변종과 환자 통제 능력에 따라 사망률이 24%에서 88%에 이른다고 말한다.

 

마버그는 아프리카 과일 박쥐로부터 인간에게 전염되었을지도 모른다. 이것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질병이 아니다.

 

일단 누군가가 감염되면, 그 바이러스는 혈액, 침, 소변과 같은 체액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사람들 사이에 쉽게 퍼질 수 있다. 친척과 의료진은 환자와 밀접히 접촉하기 때문에 가장 취약한 집단이다.

 

1967년 유럽에서 첫 감염 사례가 확인되었다. 프랑크푸르트의 마버그(독일), 베오그라드(세르비아)에서 2명의 주요 발병 사례가 처음 발생해 최소 7명이 사망했다. 한편, 2005년 앙골라에서 2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마버그는 어디서 발견되었는가?
두 번의 마버그 감염은 서아프리카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된 두 번째 사례이다. 이 지역에서 보고된 첫 번째 사례는 2021년 기니이다. 이 바이러스는 빠르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종사자들, 친척들, 이 사건의 가까운 접촉자들을 포함한 90명의 관련자들이 가나에서 감시되고 있다. WHO는 또한 고위험 이웃 국가들과 접촉하여 경보 상태를 경고했다고 말했다.

 

아프리카(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에서 마버그의 이전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다른 대륙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아프리카 밖에서 보고된 사례는 "산발적"이다. 하지만, 2008년, 한 네덜란드 여성이 우간다를 방문한 후 마버그 병으로 사망했다. 한 미국인 관광객도 2008년 우간다 여행 후 이 병에 걸렸지만 회복되었다. 이 두 사람 모두 과일 박쥐의 서식지인 국립공원의 유명한 동굴을 방문했다.

 

병의 증상은?

역학자인 루크 냐카라후카가 2018년 우간다 퀸 엘리자베스 국립공원에서 과학자 조너선 토너와 브라이언 암만에게 소독약을 뿌리고 있다. 그들은 박쥐가 어떻게 마버그 바이러스를 인간에게 전염시키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사진: 보니 조 마운트/워싱턴포스트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마버그병은 고열, 심한 두통, 탈진, 근육통, 그리고 경련과 함께 갑자기 발병한다.

가나에서는 두 명의 환자가 설사, 발열, 메스꺼움, 구토와 같은 증상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한 환자는 26세의 남성으로, 6월 26일에 입원했고 하루 후에 사망했다. 두 번째 사람은 51세의 남성으로, 6월 28일에 병원에 갔다가 같은 날 사망했다.

치명적인 경우, 환자는 보통 증상이 나타난 후 8-9일 후에 사망한다. 죽기 전에, 그 환자는 심한 출혈, 그리고 다장기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또한 5일째에 환자들이 가슴, 등, 또는 배에 가려움증이 없는 발진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 마버그병의 임상 진단은 말라리아나 장티푸스 같은 다른 전염병과 비슷한 증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마버그는 치료될 수 있나?
현재, 세계는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지원적인 치료 조치는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들은 수분을 공급받고, 산소 수치를 유지하며, 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을 받을 것이다. 일부 의학 전문가들은 에볼라에 사용되는 약이 마버그에 감염된 사람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한다.

 

현재, 마버그를 위한 몇 가지 실험적인 치료법이 동물들에게 실험되고 있다. 그러나, 그 방법들 중 어느 것도 인간 임상 실험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연구를 위해 환자로부터 채취한 바이러스 샘플은 "특수한 생물학적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최대한의 보호를 받는 실험실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검사라고 말했다.

 

WHO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WHO는 가나에 있는 다국적 조사팀을 지원하고 그 나라의 전문가들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또 환자 수가 적을 때 신속하게 대응하고 감염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보호장비와 질병 감시 강화, 추적 기능을 강화했다.

 

자세한 내용은 21일 온라인 브리핑에서 WHO 아프리카가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걱정되는 것은 이 질병의 지리적 범위가 퍼졌다는 것이다. 런던 위생 및 열대 의학 대학의 국제 공중 보건 전문가인 지미 휘트워스 교수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사망률이 높은 매우 심각한 감염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집단으로 유입됐는지, 그리고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더 감염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 질병을 가나의 아샨티 지역 밖으로 확산시킬 위험은 매우 낮다."

-워싱턴포스트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