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비지니스

[비즈니스] 16개 회사가 '1조 달러 클럽'에 가입 예상, 삼성은?

현재 전 세계에는 시가 총액 1조 달러에 도달한 기업이 6개 있다. 향후 5년 동안 이 권위 있는 "클럽"은 16개 회사가 더 추가될 수 다.

 

테슬라, 넷플릭스, 베크시어 해서웨이는 모두 향후 5년 이내에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달성할 기회가 있는 16개 기업 중 하나라고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최근 Approve.com 연구를 인용해 보도했다. 

 

올해 6월 말 페이스북은 미국 기업 중 5번째로 1조달러가 넘는 클럽에 가입했고, 그 이전에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구글의 모기업) 등 다른 기술 '거인'들이 차례로 이 대기록을 달성했다. 현재, 석유 생산업체인 사우디 아람코는 미국 이외에서 시가총액이 1조=달러 이상인 유일한 공기업이다.

이 리스트를 위해 Approve.com은 50대 기업의 자본금과 연간 평균 성장률을 분석해 기업이 얼마나 빨리 자본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파악했다. 이 분석은 이 경주에서 기술 부문의 기업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Approve.com이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보고서 전망은 매년의 성장만을 고려한 것이라고 한다. 최근 중국 정부의 기술기업에 대한 압력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는 다루지 않았다.

여기 1조 달러에 도달하기 위해 궤도에 오른 16개의 회사들이 있다.

1. 테슬라

시가총액: 7540억달러
부문: 차량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2년
연평균 성장률: 123.78%

 

2. 텐센트

시가총액: 5690억 달러
부문: 기술(중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2년
연평균 성장률: 97.04%

3. 컴캐스트

시가총액: 2630억달러
부문: 전기통신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3년
연평균성장률 186.93%

 

4. 메이투안(Meituan)

시가총액: 1,시가총액: 790억 달러
부문: 전자상거래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3년
연평균 성장률: 115.74%

5. 엔비디아(Nvidia)

시가총액: 5550억 달러
부문: 기술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4년
연평균 성장률: 48.27%

6. 크웨이초 무타이(Kweichow Moutai

시가총액: 3170억 달러
부문: 주류(중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4년
연평균 성장률: 48.6%

7. 넷플릭스

시가총액: 2570억 달러
부문: 엔터테인먼트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4년
연평균 성장률: 74.16%

8. 알리바바 그룹

시가총액: 4330억 달러
부문: 기술(중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5년
연평균 성장률: 19.16%

9. 대만반도체제조회사(TSMC)

시가총액: 6200억 달러
부문: 반도체(대만)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4년
연평균 성장률: 16.05%

10. 비자카드

시가총액: 4920억 달러
부문: 금융 서비스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5년
연평균 성장률: 22.32%

11. 마스터카드

시가총액: 3420억 달러
부문: 금융 서비스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5년
연평균 성장률: 32.15%

12. 페이팔

시가총액: 3320억 달러
부문: 금융 서비스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5년
연평균 성장률: 43.71%

13. 베크시어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

시가총액: 6350억 달러
부문: 투자 (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6년
연평균 성장률: 10.49%

14. 삼성

시가총액: 4440억 달러
부문: 기술 (한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6년
연평균 성장률: 19.24%

15. LVMH

시가총액: 3720억 달러
부문: 명품(프랑스)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6년
연평균 성장률: 22.78%

16. Salesforce

시가총액: 2500억 달러
부문: 소프트웨어(미국)
1조 달러에 도달하는 시기: 2026년
연평균 성장률: 40.67%


베트남

더보기

경제

더보기
출장 영수증 걱정 끝… 비즈플레이, B2E 솔루션 ‘bzp출장관리 서비스’로 종이 영수증 없는 출장 관리 시대 개막
Expense 비용관리 Total 솔루션 기업 비즈플레이(대표 김홍기)가 기업 및 공무원 사회에서 출장 증빙 자동화 솔루션 ‘bzp출장관리 서비스’가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bzp출장관리 서비스는 출장 예약부터 정산까지 통합 관리되는 올인원 솔루션으로, 기존에 복잡했던 출장관리 업무를 자동화한다. 비효율적인 출장 준비 및 정산 프로세스로 인해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해왔던 기업과 공공기관은 해당 서비스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출장관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출장자는 bzp출장관리 서비스 전용 앱을 통해 항공, 숙박, 열차, 비자, 여행사 등 출장에 필요한 예약을 규정에 맞게 진행할 수 있다. 예약 정보 연동과 출장비 정산 등의 업무를 통합적으로 자동화하는 것은 물론, 전 프로세스를 모바일로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관리자 측면에서도 업무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국내 전 카드사와 연동된 전자증빙을 통해 수기 검토, 증빙자료 보관 등의 업무가 사라졌으며, 출장비 상세 내역의 실시간 확인으로 보다 투명한 지출 관리가 가능해졌다. AI 기반 기능도 주목할 만하다. AI를 통해 출장자의 교통수단을 추천해주고, 항공 예약 시에는 최저가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