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쌀, 캐슈, 후추, 과일 수출은 크게 증가했으며, 이 품목의 전체 수출총액의 99%를 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 캄보디아 무역사무소는 올 들어 8월까지 캄보디아가 66개국에 554만톤의 농산물을 수출해 2020년 같은 기간보다 89.68%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베트남으로 수출되는 캄보디아의 농산물이 크게 증가해 대다수를 차지했다. 가령 캄보디아 쌀이 베트남에 8개월 동안 238만톤을 수출했다. 110만톤이 증가했는 데 이는 2020년 같은 기간 85.93% 증가와 맞먹는 양이다.
신선한 카사바 뿌리는 베트남에 35만5550톤을 수출해 전체 카사바 수출의 75.7%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태국으로 수출된다.
캄보디아는 캐슈넛을 86만9540톤을 수출해 전체 캐슈 수출의 99.2%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중국, 태국, 일본, 인도에 수출된다. 이와 비슷하게 캄보디아 고추의 베트남 수출량은 2447만톤으로 거의 100%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에 수출된 녹두 등 다른 제품은 2만3230톤으로 2020년 같은 기간보다 5배 증가했다. 베트남으로의 콩과 옥수수 수출도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을 차지한다.
바나나, 자몽, 싱싱한 망고 등 과일 제품과 함께 싱싱한 망고잼이 대량으로 베트남에 수출되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에서 농산물 경쟁력이 강한 나라다. 이 나라 사람들은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향상된 농산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인기가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캄보디아의 고추 농가들이 베트남 농부들보다 덜 집약적이긴 하지만, 생산성은 항상 헥타르당 6.4톤으로 이 지역의 최고 수준이다. 반면 베트남의 수확량은 캄보디아의 절반에 불과하다. 캄보디아 연간 고추 수확량의 약 95%가 수출용이며, 현재 고추를 구입하고 있는 두 나라는 베트남과 태국이다.
캄보디아는 또한 다른 양질의 농산물을 많이 장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캄보디아는 과일 재배를 장려하고 공급을 증가시켜 중국, 태국, 필리핀 시장에서 점점 더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