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의 위험이 시장에 흡수되면서 암호화폐가 수혜를 입고 있으며, 비트코인은 빠르게 115,000달러를 돌파하며 신저가를 경신했다.
비트코인(BTC)은 약 한 달 동안 개당 11만 달러 아래를 맴돌다가 어제인 7월 10일 단기 저항선을 돌파했다. 이전 세션에서 세계 최대 암호화폐는 반복적으로 이전 고점을 재테스트했지만 지속적인 매도 압력으로 인해 실패했다.
11시 25분경(하노이 시간 기준) 비트코인이 갑자기 급격히 상승하여 코인당 112,000달러를 넘어섰다.
7월 11일, 차트는 거의 수직에 가까웠다. 0시 30분경 시장 가격은 113,500달러로 이전 24시간 대비 4% 가까이 상승한 후 상승세를 이어가며 11만 5,000달러를 넘어섰다(5시 30분 기준). 암호화폐는 이전 최고치보다 약 1,900달러 높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러한 급등으로 인해 BTC의 시가총액은 2조 2,5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비트코인은 이제 은과 알파벳(구글의 모회사) 시가총액을 제치고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자산이 되었다. 비트코인은 금,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에 다음의 자산이다.
이더리움은 6% 가까이 상승한 개당 약 2,813달러를 기록했다. XRP, BNB, SOL과 같은 인기 암호화폐도 약 2~4% 상승했다.
비트코인의 랠리는 ETF에 대한 강력한 유입, 펀드 매니저들의 지속적인 채택, 점점 더 우호적인 규제 환경에 힘입어 촉발되었다. 또한 미국 하원은 최근 7월 16일 "미국을 세계의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기"라는 제목의 청문회를 통해 다음 주를 "암호화폐 주간"으로 선포했다. 트레이더들은 수개월간의 규제 침묵 끝에 구체적인 징후를 찾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미국 증시가 타격을 받으면서 국내 증시가 폭락하면서 비트코인이 상승했다. 그러나 미국 주식 선물은 0.1% 하락에 그쳤고 글로벌 기술주들은 상승세를 이어갔고, 엔비디아는 잠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기록했다.
코인데스크는 옵션 거래 플랫폼 SignalPlus의 정보 책임자 어거스틴 팬이 "암호화폐 가격이 리스크 온 배경과 투자 자본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거시적 환경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암호화폐 관리 회사 해시덱스의 글로벌 시장 대변인 게리 오셔는 강세장이 "끝나지 않았다"고 예측한다. 회사는 더 많은 금융 기관이 게임에 뛰어들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새로운 촉매제가 올해 BTC를 14만 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