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9.5℃
  • 흐림강릉 23.2℃
  • 구름많음서울 19.6℃
  • 구름많음대전 22.1℃
  • 흐림대구 22.4℃
  • 구름많음울산 16.7℃
  • 구름많음광주 19.3℃
  • 흐림부산 15.3℃
  • 구름많음고창 19.0℃
  • 구름많음제주 21.8℃
  • 구름많음강화 17.1℃
  • 구름많음보은 20.0℃
  • 맑음금산 22.0℃
  • 구름많음강진군 17.7℃
  • 구름조금경주시 20.8℃
  • 구름조금거제 15.7℃
기상청 제공

굿모닝베트남미디어

억만장자 국가별 순위

포브스에 따르면 전 세계 억만장자 수는 2010년 이후 3배 가까이 증가해 올해 2,095명에 달하며 총 순자산은 10년전의 3조5천억 달러에 비해 8조 달러에 이른다.

포브스의 2020년 세계 억만장자 명단 역시 아시아에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국은 2010년 64명에서 2020년 389명(홍콩 66명 제외)의 억만장자로 10년 만에 가장 많은 나라다.  태국은 2010년 3명에서 2020년에 20명, 싱가포르도 2010년 4명에서 올해 26명으로 급증했다. 인도의 경우 2010년에 비해 108퍼센트나 증가해 2020년에는 102명에 이른다. 

 

1. 아메리카

현재 억만장자 수 : 614명

억만장자는 2010년 이후 210명 늘었다.

주목할 만한 새 이름: 매킨지베조스, 키리에 제너, 팀 스위니 

포브스 통계에 따르면, 614명의 미국 억만장자들이 2조9천억 달러 상당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 2010년 미국은 총 404명의 억만장자를 기록했으며, 자산은 1조3천억 달러였다. 지난 10년 동안 210명의 새로운 억만장자가 등장하여 미국 억만장자의 수가 52퍼센트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10년간 61명의 기술 억만장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억만장자의 17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2. 중국

현재 억만장자: 389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325명

주목할 만한 새 이름: 리융신, 로빈 쩡

올해에만 80명의 중국 억만장자가 세계 최고 부호 리스트에 올랐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억만장자는 2010년 64명에서 급증했다. 폴리 파머틱의 CEO인 판민화는 5명의 새로운 제약 억만장자 중 한 명이다. 2020년까지 순자산은 10억 달러다.

 

 

 

 

3.독일

현재 억만장자 수: 107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55명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이름: 가브리엘라 마이스터와 그녀의 가족

독일 억만장자는 유럽 최대 경제대국이 잘 성장했던 지난 10년간 두 배 이상 늘었다. 도이체 분데스방크의 연구에 따르면 2010~2017년 사이 독일의 평균 가계 자산은 약 20퍼센트 증가했다. 도이체 분데스방크는 또한 이는 부동산 가격에 직접 비례하는 순자산가치를 가진 독일 부동산 소유주들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4. 인도

현재 억만장자 수: 102명의 억만장자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53명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이름: 바이주 라벤드란

지난 10년 동안 4번째로 높은 억만장자 성장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최근 몇 년간 억만장자 사이에서 큰 변동을 겪었다. 인도의 억만장자 수는 2011~2012년 사이에 감소했고 2015~2016년에도 감소했다.

인도의 2019년 경제성장률은 나렌드라 모디가 연임한 뒤 6년 만에 최저치인 5%로 떨어졌다. 인도에서 12년 연속 최고 부자인 석유 재벌 무케시 암바니는 2010년 290억 달러에서 올해 368억 달러로 최근 10년간 총자산이 가장 많이 증가한 개인이다.

 

5.홍콩

현재 억만장자 수: 66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41명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이름이 등장함: 주오준, 땅신보

지난 10년간 억만장자가 41명이나 늘어나면서 홍콩은 러시아를 제치고 랭킹 5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난 1년은 국내 억만장자들에게 어려운 시기로 여겨져 왔다. 수개월 동안 계속된 정치적 시위로 관광객들은 코비드-19 대유행이 일어나기 전에 홍콩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업가 중 한 명인 리카싱은 19년 동안 홍콩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올해 부동산 재벌인 리샤우 키에게 추월당했다.

 

6. 러시아

현재 억만장자 수: 99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38명

주목할 만한 새 이름: 타티아나 바칼추크, 알렉세이 레픽

러시아의 억만장자 수는 2010년 이후 62퍼센트 증가했다. 지난 10년 동안 엘레나 바투리나, 타티아나 바칼추크는 러시아에서 억만장자가 된 최초의 여성이었다. 바투리나는 남편인 유리 루즈호프 모스크바 시장과 함께 2010년부터 포브스의 억만장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바칼추크 - 전자상거래 사이트 와일드베리의 설립자 겸 CEO는 작년에 억만장자가 되었다.

 

 

7. 프랑스

현재 억만장자 수: 39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27명

주목할 만한 새 이름: 모헤드 알트래드, 패트릭 드라히

2020년 프랑스는 억만장자 39명이며 베르나르 아르놀트는 여전히 프랑스 최고 부자, 세계 3위의 부자로 순자산 760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프랑스의 10년 동안 떠오르는 유명한 이름 중 하나는 알트란트 그룹의 건설 및 유지보수 서비스 회사의 대표인 모헤드 알트래드라고 한다. 그의 어머니는 일찍 돌아가셨고, 모헤드는 시리아 사막의 베두인 부족의 할아버지와 유목 생활을 하였고, 어느 날 하루 한 끼만 먹었다. 그러나 현재 모헤드의 재산은 33억 달러에 이르렀다.

 

8. 브라질

현재 억만장자 수: 45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27명

주목할 만한 새 이름: 루이스 프리아스, 루치아노 항

브라질의 억만장자는 2015년 극심한 경제위기와 미국 달러화에 대한 브라질 통화 가치 하락으로 최근 몇 년 사이 요동치고 있다. 브라질은 2010년 불과 18명의 억만장자로 시작했으며 2014년에는 기록적인 65명이 되었다. 

그러나 브라질의 억만장자의 수는 그 이후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브라질의 억만장자는 2019년 58명에 이렀다. 주목할 만한 이름은 루치아노 항으로 1986년 공동 설립한 하반 백화점 체인의 성공으로 억만장자가 되었다.

 

9. 스위스

현재 억만장자 수: 35명

2010년 이후 억만장자 증가 : 24명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이름 등장: 우르스 비에틀리스바흐, 마이클 파이퍼

작지만 강력한 스위스의 국가는 2010년 초에 비해 3배 이상의 억만장자를 보유하고 있다. 스위스는 2010년 총 자산 400억 달러로 11명의 억만장자로 시작했지만 현재까지 이 수치는 960억 달러에 이른다.

유명한 이름인 마이클 파이퍼는 아버지로부터 부엌 싱크대와 기타 산업용 주방가전 제조업을 물려받은 지 24년 만인 2013년 억만장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의 순자산은 2017년 42억 달러에 달했다. 2020년까지 파이퍼의 자산은 26억 달러가 될 것이다.

 

10. 이탈리아

현재 억만장자 수: 36명

억만장자는 2010년 이후 23명 늘었다.

주목할 만한 새로운 이름: 로마노 미노지, 구스타보 드네그리

10년 후 이탈리아에서 억만장자는 177퍼센트로 늘었다. 포브스 통계에 따르면, 이 나라에서 가장 부유한 36명 중 19명은 자수성가한 억만장자들이다; 그 안에 로마노 미노치처럼 친숙하지 않은 이름도 포함한다. 이 85세의 남자는 다국적 세라믹 회사인 아이리스 세라마카 그룹의 설립자 겸 회장이다. 그러나 미노찌가 만드는 자산은 천연가스 회사인 스남과 이타체아스의 다른 투자를 통한 것이 대부분이다.

-출처:포브스


베트남

더보기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 2026학년도 재외국민전형을 위한 주요 14개 대학 입시설명회 개최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는 지난 3월 5일(수)부터 4월 10일(목)까지 약 6주에 걸쳐 12학년 학생과 10~12학년 학부모님들을 대상으로 14개 대학(가천대, 계명대, 성균관대, 연세대, 아주대, 경희대, 한국외대, 이화여대, 동국대, 중앙대, 인하대, 건국대, 고려대, 한국항공대) 의 입시설명회를 개최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 입시설명회 역시 각 대학의 입학처장과 입학사정관 등 입학 관계자들이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가온홀과 시청각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전년도와 달라진 입시전형과 대학별 주요 특색 학과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학생들이 직접 기획한 입시설명회를 통해 각 대학 입학팀은 호치민 KIS 학생들의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설명회는 열띤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가천대 입학부처장은 무전공 제도 시행 등 학제 상의 특장점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보건 계열뿐 아니라 바이오로직스, 클라우드 공학, 반도체 등 첨단 분야 학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학교에서 의예과, 약학과 동시에 합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성과라며, 호치민 KIS의 저력을 높이 평가했다. 연세대는 2026학년도 대입에서 전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