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흐림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4℃
  • 맑음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순자산이 1천만 달러 이상인 사람들이 가장 많은 동남아시아 국가는?

이 나라는 작년에 최소 1천만 달러의 재산을 가진 9,600명 이상의 개인이 있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 6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다. 

 

 

데이터 연구원 나이트 프랭크의 '부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에서 순자산이 1,000만 달러 이상으로 가장 많은 개인을 보유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작년에 9,674명의 고액 자산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전 세계 인구의 0.4%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정책은 친기업적인 정책으로 간주되며, 이는 투자자들이 싱가포르가 더 나은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백만장자 또는 억만장자 가족의 재산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민간 단체인 가족 사무소의 인기 있는 선택지 중 하나이다.

 

태국은 작년 1천만 달러 이상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9,192명이었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이 그 뒤를 이었다. 나이트 프랭크(Knight Frank)는 또한 태국을 디지털 노마드에게 가장 이상적인 목적지 중 하나로 꼽았다. 태국은 최소 연 소득 8만 달러 이상을 소유한 원격 근무자에게 장기 거주 비자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작년 고액 자산가 90만 5,400명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 본토(47만 1,600명)와 일본(12만 2,100명)이 그 뒤를 이었다. 나이트 프랭크는 전 세계 부유층의 약 40%가 미국에 거주한다고 지적했다. 미국만큼 국내 부를 창출하거나 부유한 이민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적인 나라는 없다.

 

지난해 전 세계 순자산이 1,000만 달러 이상인 개인은 234만 명으로 2023년 대비 4.4% 증가했다. 그 수치는 2028년까지 2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더보기
[남호환의 골프] 42. 함께 하고 싶은 사람, 모르면 자칫 꼴불견 연출도....
요즘은 골프를 독학으로 하기에 좋은 환경인것 같습니다. 인터넷을 둘러보면 골프에 대한 정보가 넘쳐 나고 있고, 또한 골프전문 TV채널에서 수시로 골프레슨 방송도 하고 있고, 그리고 주변에 골프를 잘 치시는 분들도 많이 있어서 조언 받기도 쉬우니 말입니다. 골프 잘 치는 방법은 여러 채널을 통해 접할 수 있고 해서, 이번호에는 어떻게 하면 골프를 함께 하고 싶은 사람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올려 봅니다. 필자의 경우 골프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누군가 골프를 치러 가자고 불러 주기만 해도 감사하고 황송해 했던 기억이 납니다. 가고는 싶지만 잘 치지 못하는 실력인지라 동반자들에게 민폐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앞서서 섣불리 먼저 가자는 이야기는 꺼내지도 못하고 월요일부터 불러주기 만을 학수고대 했던 기억이 납니다. 월요일을 초조하게 보내고 화요일,수요일까지도 연락이 오지 않고 목요일이 되면 그야말로 초조,긴장속에 누구한테 부탁을 해야 할지 고민속에 하루를 보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그 당시 초보인 저와 동반해 주신 분들이 감사할 뿐입니다. 차츰 골프 실력이 늘어 자연스레 자주 어울리는 팀이 구성되면서 골프 약속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
데블스캔디,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peep’ 론칭… 캐릭터 엔터테크 기업으로 도약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기업 데블스캔디(Devil’s Candy)가 자체 개발한 AI 기반 캐릭터 IP ‘힙핍(Heepeep)’을 공식 론칭하며 ‘캐릭터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힙핍’은 사막에서 살아남는 작고 엉뚱한 개구리 캐릭터로, 잘하는 건 없지만 생존력 하나만큼은 강한 자연계의 최약체라는 콘셉트로 제작됐다. 이 캐릭터는 대사 없이 표정과 상황만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넌버벌(non-verbal) 3D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전개되며, 유튜브 및 글로벌 숏폼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데블스캔디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 기반의 콘텐츠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 캐릭터의 행동·표정·스토리 생성 과정 전반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 안에 다수의 에피소드와 캐릭터 변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AI-IP 프로덕션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데블스캔디 이동석 대표는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상상력을 현실로 확장시키는 엔진”이라며 “‘힙핍’을 시작으로 기술과 감성이 결합된 IP 비즈니스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K-엔터테크 스튜디오로 성장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