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그룹의 베트남 자회사인 오리온푸드비나가 베트남 제3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이는 오리온의 베트남 장기 투자 및 지속가능성 전략의 새로운 국면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베트남 북부 박닌성의 옌퐁 2C 산업단지에 위치한 옌퐁 2C 공장은 연포장재 생산에 특화될 예정이다. 52,600㎡ 규모의 이 시설에는 필름 제작 작업장과 현대식 물류 창고가 포함된다. 이 공장은 2005년 남부 빈증성(Binh Duong)의 미푹(My Phuoc) 공장과 2007년 박닌성(Bac Ninh)의 옌퐁(Yen Phong) 공장에 이어 오리온의 베트남 내 세 번째 생산 시설이다. 공사는 14개월이 소요될 예정이며, 2026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한다. 1단계에는 2개의 생산 라인과 1만 팔레트를 수용할 수 있는 창고를 갖춘 단층 필름 생산 작업장이 포함된다. 2단계에서는 4개의 필름 라인으로 확장하고 8개의 제과 생산 라인을 추가할 예정이다. 오리온은 이 신규 공장이 동남아시아 사업의 전략적 제조 허브로서 베트남의 중요성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 공장은 오리온이 베트남에서 연포장재 생산에 투자하는 첫 번째 사례이다.
베트남 최대 현대식 소매업체인 윈커머스(WCM)는 5년 안에 전국 매장 수를 1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마산그룹(Masan Group)의 대니 레(Danny Le) CEO가 온라인 주주총회에서 밝혔다. 레 CEO는 현대식 소매 형태가 현재 10% 미만인 베트남 소매 시장의 2029~2030년까지 25~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윈마트(WinMart), 윈마트+(WinMart+), 윈인(WiN) 체인을 운영하는 WCM은 2025년 3분기 기준 전국에 4,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6년에는 1,000~1,500개의 신규 매장을 오픈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기별 지속 가능한 성장 WCM의 매출은 네트워크 확장과 동일 매장 성장률에 힘입어 1분기 10%, 2분기 13%, 3분기 22% 증가했다. 신규 매장의 수익성 또한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2024년 손익분기점 대비 첫해 1~2%의 EBIT(이자 및 세금 차감 전 이익) 마진을 달성했다. 전략적 확장 목표 지역인 농촌 지역에서는 투자 회수 기간이 지역 벤치마크에 맞춰 3년 미만으로 단축되었다. 임원진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이 데이터 기반 경영과 디지털 혁신에 힘입은 것이라고 밝혔다. 수익
구글 베트남 총괄사장인 마크 우(Marc Woo)는 국내 애플리케이션 개발 부문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11월 12일 베트남에서 열린 최초의 지역 규모 통합 컨퍼런스인 구글 앱스 서밋 2025(Google Apps Summit 2025)에서 마크 우(Marc Woo)는 "베트남은 이제 단순한 신흥 시장이 아니라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강국이다."라고 말했다. "인상적인 수출 수익은 베트남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의 재능을 입증했다." 우 사장은 수치를 인용하며 전 세계 앱 경제 규모가 2030년까지 7,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아시아 태평양 시장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가장 빠른 매출 성장률을 보이는 국가이다. AppMagic의 데이터에 따르면 베트남은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 부문 매출이 65% 증가하며 역내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했다. 동시에 베트남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세계 기술 시장에서 점차 입지를 굳건히 하고 있다. 2024년에는 국내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게임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60억 건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57억 건은 해외 사용자로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베
베트남 호치민 증시가 이날 '줄다리기' 장세를 보였으나, 기둥주(대형주) 매도 압력에 VN지수가 소폭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44% 이상 종목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합의가 약해 추가 반등 동력이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VN지수는 장 초반 상승 출발 후 개장 주문 소화 과정에서 기준선 아래로 급락했다. 오전 장은 오가며 혼조세를 보였으며, 거래량은 전일 대비 개선됐으나 자금 흐름이 크게 차별화됐다. 오후 들어 줄다리기가 지속됐으나 오후 1시 30분부터 호세(호치민 증권거래소) 지수가 긍정적 국면을 타며 1,640포인트 근처를 시험했다. 그러나 2시 이후 다시 하락으로 전환, ATC(장마감 동시호가)에서 1,625포인트까지 밀렸으나 막판 반등으로 1,631포인트에 마감했다. 전일 대비 0.4포인트(0.02%) 하락한 수준이다. 호세 전체 종목 중 163개(44% 이상)가 상승, 138개 이상이 하락을 기록하며 시장 내 합의 수준이 낮음을 드러냈다. 상한가 종목 4개 중 DGC, GEE, PVD가 두드러졌으며, 이들 거래대금은 각각 800억 동, 177억 동 규모를 기록했다. 시장 지지 상위 10종목에 포함된 세 종목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으나, 전체
주가가 4포인트 이상 상승한 이번 거래에서 NVL과 HAG는 높은 유동성을 바탕으로 상한가를 기록하며 가장 큰 호재로 작용했다. NVL은 오늘 거래 시간 대부분 동안 상한가인 14,150동을 유지했다. 이로 인해 노바랜드 그룹의 주가는 약 3주 전 가격대로 회복되었다. 유동성은 3,160억 동을 돌파하며 호치민증시(HoSE)에서 21위를 차지했다. NVL은 동나이성 건설국이 아쿠아시티 프로젝트의 저층 주택 204채가 미래 부동산으로 지정되어 사업에 착수했다는 소식에 고무되었다. 부이탄년(Bui Thanh Nhon)은 노바랜드에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던 이 프로젝트는 10월 말까지 약 2,400채의 주택에 대한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HAG도 마찬가지로 최고가를 기록하며 주당 17,650동을 기록했다. 이는 2015년 6월 중순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이다. 이 코드의 유동성은 6,660억 동을 넘어 HoSE에서 5위를 차지했다. 약 3,830만 주가 거래되었으며, 이는 8월 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최근 호앙안자라이(Hoang Anh Gia Lai)는 2026년 흥탕로이자라이(Hung Thang Loi Gia Lai)와 2027년 자숙로팡(Gia Suc Lo
베트남 산업무역부와 재무부가 공동 조정에 나서면서 휘발유와 유가(마줄트 제외)가 리터당 160~540동 동시 인상됐다. 글로벌 유가 변동과 지정학적 요인 반영으로 국내 연료 가격이 다시 올랐다. 오후 3시부터 적용된 신규 가격에 따르면, 시장에서 가장 보편적인 RON95-III 휘발유는 리터당 160동 오른 20,570동으로 책정됐다. E5 RON92 휘발유도 동일 폭 상승해 19,840동이 됐다. 경유와 등유는 540동씩 올라, 각각 19,860동과 19,930동으로 마감했다. 다만 마줄트(연료유)는 킬로그램당 250동 하락한 14,070동에 거래됐다. 품목 신규 가격(VND) 변동(VND) RON95-III 휘발유 20,570 +160 E5 RON92 휘발유 19,840 +160 경유 19,860 +540 등유 19,930 +540 마줄트 14,070 -250 (단위: 리터 또는 kg, 품목별 상이) 에탄올 10% 혼합 바이오휘발유(E10)는 8월 1일부터 페트롤리멕스(Petrolimex)와 PVOIL이 시범 판매 중이며, 산업무역부는 내년
상위 10대 민간기업 순위에서 빈그룹(Vingroup)은 여전히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호아팟(Hoa Phat), 모바일월드(Mobile World), VP뱅크(VPBank), 마산그룹(Masan Group)은 2024년 대비 이 네 곳의 순위를 유지했다. 2025년 11월 12일, 베트남 리포트(Vietnam Report Joint Stock Company, 이하 베트남 리포트)는 비엣남넷(VietNamNet) 신문과 공동으로 2025년 베트남 500대 기업 순위(VNR500 Ranking)를 발표했다. 삼성전자 베트남 타이응우옌(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 Nguyen Co., Ltd.)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베트남 국립산업에너지그룹(PetroVietnam, 이전 명칭: 베트남석유가스그룹), 베트남 국립석유그룹(Petrolimex), 군수산업통신그룹(Viettel), 베트남 국립석탄광물산업그룹(Vinacomin),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베트남농업농촌개발은행(Agribank), 베트남산업무역은행(VietinBank) 등 베테랑 기업들이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빈그룹(Vingroup)은 202
HD 현대 에코 비나는 2025년 12월까지 꽝응아이성 둥꾸앗 경제구역에 위치한 두산 에너빌리티 베트남(두산 비나) 산업단지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회사 임원이 밝혔다. 베트남 중부 해안의 100헥타르에 건설된 3억 달러 규모의 산업 단지는 발전소 장비, 포트 크레인, 담수화 플랜트, 난방기, 모듈 및 철강 구조물, 해상 풍력 발전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세 개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인수 계획은 응우옌호앙장 꽝아이성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HD 현대 에코 비나 최승현 대표 간의 회동에서 논의되었다. 최 대표는 성 지도자들에게 회사가 양도 관련 법적 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도가 완료되면 HD 현대 에코 비나는 해양 환경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는 LNG 및 특수 가스 탱크 제조라는 추가 사업 부문을 등록하게 된다. 이번 양도를 통해 HD 현대는 두산 비나의 모든 기존 자산, 시설, 직원, 재무 구조,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그리고 기존 고객과의 계약을 모두 인수하게 된다. 최 대표는 꽝아이성 당국에 친환경 조선업을 중심으로 사업 부문 확장 및 다각화를 위한 추가 부지 제공을 검토해 줄 것을 제안했다. 꽝아이성 당국은 두산 비나와 HD 현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