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포그래픽] 유엔의 '초고령 사회 국가' 순위

 

유엔은 "초고령화 사회"를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국가로 정의한다. 세계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 용어는 유엔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증가하는 고령 인구가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에 사용된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최신 세계 인구 전망을 바탕으로 2025년 전 세계 모든 초고령 사회를 시각화했다.

 

데이터 및 주요 시사점
수치는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각 국가의 비율을 나타낸다(2025년 추정치)

 

 

고령화 사회는 여러 가지 경제적, 사회적 과제를 안겨준다. 우선, 은퇴자가 늘어나고 그들을 부양할 근로자가 줄어든다. 이는 의료 시스템과 연금 계획에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미국에서 연금 계획은 이미 1조3400억달러의 적자에 직면해 있다.

 

모나코 가장 초고령화 
모나코는 인구의 36%가 65세 이상(중간 연령 57세!)으로 이 순위에서 선두를 달린다. 인구는 세금 피난처 지위로 인해 부유한 해외 거주자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출산율이 낮고 기대 수명이 길어졌다.

 

2025년 신규 진입국
일본이 고령화 문제가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 문제가 전 세계 다른 여러 지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그래픽에서 강조된 대로, 스위스, 한국, 캐나다, 루마니아, 대만은 모두 2025년에 초고령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국은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을 했다) 이 다섯 나라 모두 출산율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쥬얼캐피탈리스트


베트남

더보기
[베트남 사랑] 달랏에 머물며 행복의 소리를 듣다
8월 쏟아지는 비 속에서 쓴맛 나는 커피를 마시며 하얀 계곡을 바라보는 최영숙 박사의 눈빛에는 달랏의 꽃과 안개 속에서 행복의 목소리를 듣는 결의가 서려 있다. 한국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직을 포기하고 베트남 달랏으로 이주한 최영숙 박사(전 대구대 교수)는 장애아동 교육에 평생을 바치기로 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 남편 권장수 씨와 함께 수십억 동을 투자하며 현지 장애아동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영숙 박사는 대구대 특수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 부총장 임명 준비 단계에 있었으나, 2007년 베트남 방문 후 모든 것을 바꿨다. 람동성 교육훈련부와 달랏 농아학교, 지적장애아동학교 교장단과의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 교육 환경의 열악함을 목격한 것이 계기였다. "시설 부족, 전문 커리큘럼 부재, 그리고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내 인생의 모든 결정을 바꿔놓았다"고 최 박사는 회상했다. 그녀의 결심에 남편 권장수 씨(한국 자동차 사업가)도 동참했다. 성공적인 사업을 접고 2009년 중반 베트남으로 이주한 권 씨는 "아내가 불우아동 돕는 의미 있는 일을 원한다고 하자, 망설임 없이 결정했다.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고 했지만, 우리는 항상 함께해야 했다"고 말

경제

더보기

문화연예

더보기